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운동역학 : 미끄럼 발생에 따른 보행 동적 특성 연구

        김선필(SeonPilKim),원문학(WenXueYuan),이민형(MinHyongLee)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정상보행과 미끄럼상태에서 자세회복을 위한 동적 균형제어 메커니즘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정상 성인 6명을 대상으로 3 종류의 보행형태(정상보행, 가상미끄럼, 미끄럼)에 대한 동작수행을 측정하였다. 특정변인에 대한 통계와 변인 변화곡선을 표준화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보행주기동안 미끄럼이 발생되면 지지시간을 길게 하고 스윙시간을 감소하여, 균형유지를 확보하기 위한 동작패턴이 변형된다. 발 분절의 착지각도는 정상보행과 미끄럼 상태간에 차이를 보였다.2. 미끄럼을 경험한 이후에는 미끄러지는 발의 착지 전부터 동작 변형이 발생되어 정형유지에 유리한 인체중심을 높이는 경향을 보였다. 정상보행 수직방향 속도의 최대치는 스윙쪽 다리의 발끝이 이지 직후에 나타났지만 미끄럼 위험이 있는 경우 최대치가 이지 전에 나타났다.3. 미끄러지는 경우 지지기 후반에 양의 모멘트가 적고 족 관절의 신전이 정상으로 이루지 못하여 에너지 출력도 미미하였다. 또한 슬 관절은 신전이후 굴곡을 정상으로 이루지 못한 경향을 보였다. 고 관절에서는 미끄럼 실험 모두 착지 전반의 고 관절 굴곡 모멘트를 정상으로 이루지 못했으며 지지기 중반에 에너지의 흡수가 크게 나타나 이는 평형유지를 위한 반사반응에 기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lance adjustment of walking to prevent a slipping accident. Gait analyses for six subjects were performed on three different road conditions; normal, virtual slip information, slippery surface with oil contaminant.1. On the slippery ground surface, the gait pattern was modified into the longer supporting time to secure balance recovery Also, the foot strike angle showed significant variation.2. Prior to foot strike on the surface, the subjects appeared a tendency to raise their body center, and at heel strike. The maximum vertical velocity of the body center was adjusted to before take-off on the slippery surface from right after the toe’s take-off of the swing leg in normal gait.3. During the later supporting period after slip, the subjects decreased the positive moment and the joint extension of the ankle. Thus, the ankle energy wa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ait. At the knee, the subjects showed an abnormal flexion after knee-extend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근골격 최적제어 모델을 이용한 최대높이뛰기의 도약시간에 대한 연구

        김선필(SeonPilK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발의 지면 접촉시간은 최대 높이뛰기 운동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하지 근골격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을 최적제어기법을 이용하여 최대높이뛰기 동작을 재현하였다. 접지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전체 관절의 신근이 조기 활성화되어도 완전히 신전하지 못하여 인체 질량중심의 수직위치는 증가하지 못하고 인체중심의 상향수직속도에 의해 도약운동을 수행하였다. 이륙직전 전체 관절에서 발생하는 관절일률의 최대값 발생위치가 일치하지 않았으며, 지면반력의 크기도 0.45초의 경우 이륙직전 체중의 1.38배의 최대값에서 다소 완만하게 유지하였다. 지면접촉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이륙순간 전체 관절이 완전히 신전되어 인체 중심의 수직위치와 수직속도를 증가시켜 도약할 수 있는 최대 높이를 증가시켰다. 이에 수반하여 전체 관절에서 발생하는 관절일률의 최대값이 일치하는 현상을 보였다. 지면 반력은 이륙직전 급격하게 상승하여 1.01초의 경우에 체중의 2.5배의 최대값까지 도달한 후 급감하는 특징을 보였다. The ground contact time on the take-off stage is an principal factor in determining performance of maximum high jump. The study simulated the maximum height jumping movement using the optimal control model of human lower extremity. In the case of short contact time, joint extensors are early activated, but joints are not fully extended. Thus, the model does not increas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 of mass of the body, and it can jump due to vertical upward velocity at lift-off. Three peaks of joint power did not have coincidence for all joints. In the case of 0.45 sec, the ground reaction force reached 1.38 times body weight just prior to lift-off and keep up a while. Then it decreased at lift-off. As the ground contact time is prolonged, all joints are fully extended at lift-off. Thus, the model can jump higher due to the increase of the vertical position and velocity of center of mass. In addition, the peaks of joint power coincide,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s show a sharp increase and decrease just prior to lift-off. In 1.01sec, its maximum reaction force becomes 2.5 times body weight.

      • KCI우수등재

        운동역학: 미끄럼 발생에 따른 노인의 보행 동적특성 연구

        조병준(ByungJoonCho),원문학(WenXueYuan),김선필(SeonPilKim) 한국체육학회 2002 한국체육학회지 Vol.41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lance adjustment of walking to prevent a slipping accident in the elderly. Gait analyses for six elderly subjects were performed on three different road conditions; normal surface, slip information on the normal surface, slippery surface with oil contaminant.1. On the slippery ground surface, the gait pattern was modified into the longer supporting time to secure balance recovery. However, the foot strike angle showed insignificant variation from slippery motion.2. On three different road conditions, the subjects appeared a tendency to raise their body center, and restricted the vertical body motion in comparison with the young subjects.3. During the supporting period after slip, the subject showed the rapid increase of the positive moment and notable energy loss. At the knee, the subject experiences the rapid increase of the negative moment, and the similar power patterns on the normal gait. At the hip, the subjects maintained the noticeable pattern of the flexion moment and diminished the pattern of the extension moment at the latter supporting period. In addition, the subjects did not show the peak of the energy absorbtion during the supporting period. This result shows the tendency to lessen the response for balance adjustments in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