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ductive PEDOT:PSS/Silane Aerogels

        Jaehwan Shin(신재환),Young Been Lee(이영빈),Felix Sunjoo Kim(김선주) 한국고분자학회 2021 폴리머 Vol.45 No.2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PEDOT:PSS에 실란 전구체인 TEOS 또는 GOPS를 혼합하여 고분자 에어로젤을 제작하고, 전자선 조사 공정에 따른 비저항과 스트레스-스트레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PEDOT:PSS/실란 에어로젤은 혼합 수분산액의 균질화와 동결 건조를 통해 제작하였으며, 복합체 에어로젤에 대한 전자선 조사선량은 1에서 50 kGy까지 달리하였다. 용매 증기 처리를 통해 전도도를 향상시킨 에어로젤의 저항은 전자선 조사에 따라 증가하였다. PEDOT:PSS/TEOS 에어로젤은 전자선 조사에 따라 경직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PEDOT:PSS/GOPS 샘플은 경직도가 1~5 kGy에서 최대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 차이는 전자선 조사에 의한 공유결합 절단과 가교 기작의 경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We prepared polymer aerogels based on a conducting polymer,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and silane precursors, such as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and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OPS), and investigated their specific resistance and stress–strain behaviors as a function of electronbeam dose. PEDOT:PSS/silane aerogels were easily made by homogenizing and freeze-drying from the aqueous mixtures. The composite aerogels were irradiated by the high-energy electron beams with a dose ranging from 1 to 50 kGy. Solvent vapor treatment was also used to se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resulting aerogels. The resistance of high-conductivity aerogels increased when irradiated. PEDOT:PSS/TEOS aerogels became stiffer when irradiated, whereas PEDOT:PSS/GOPS samples peaked the stiffness at 1~5 kGy. Different behaviors were likely from two competitive mechanisms of chemical scission and cross-linking caused by electron beams.

      • KCI등재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전도도 향상 연구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응용

        임소은 ( Soeun Im ),김소연 ( Soyeon Kim ),김세열 ( Seyul Kim ),김선주 ( Felix Sunjoo Kim ),김중현 ( Jung Hyun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5 공업화학 Vol.26 No.6

        투명 전극의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기존 투명 전극 재료인 ITO (Indium Tin Oxide)를 대체할 차세대 투명전극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양한 후보군 중에서도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인 PEDOT : 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 sulfonate)]는 기계적 유연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소재와 공정 상의가격 경쟁력이 크기 때문에 미래 소자 구현을 위한 투명전극 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재 PEDOT : PSS의 전기전도도 수준을 ITO나 금속의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처리를 통한 기능성 향상에 많은 연구가진행 중이다. 본 총설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정 기술에 대한 연구 현황을짚어보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유기용매, 이온성 액체,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제와 박막에 대한 산 처리 공정, 물리적 인장을 통한 전기전도도 향상 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을 적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투명 전극을 전자및 에너지 소자에 응용한 사례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As the need for next-generation flexible electronics grows, novel materials and technologies that can replace conventional indium tin oxide (ITO) for transparent electrodes have been of great interest. Among them, a conducting polymer, especially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 sulfonate) (PEDOT : PS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because it is mechanically flexible, inexpensive, and capable of being processed in solution. Currently, there are a lot of research efforts on enhancing its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level of ITO or metal electrodes through chemical and/or physical processing. In this review article, we present various additives and pre-/post-deposition process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EDOT : PSS. Some of representative reports are also introduced, which demonstrated the use of conductivity-enhanced PEDOT : PSS as transparent electrodes in electronics and energy conversion.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o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ardness of Polyaniline-Silica Composites

        Young Been Lee(이영빈),Sung Kyu Jang(장성규),Chung Hyoi Park(박정회),Felix Sunjoo Kim(김선주) 한국고분자학회 2019 폴리머 Vol.43 No.5

        전도성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은 전자소자 응용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고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폴리아닐린과 실리카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과 전기전도도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닐린과 실리카 전구체의 혼합 수용액과 산화제 수용액을 순차적으로 떨어뜨려 전도성 복합체 박막을 만들고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분광분석 결과를 통해 에메랄딘염 상태의 폴리아닐린과 실리카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노인덴테이션을 통해 복합체의 경도가 순수 폴리아닐린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으나, 열처리 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5.5 S/cm에서 1.9 S/cm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했는데, 이는 열처리에 의한 디도핑의 결과로 분석된다. Physical stability of conducting polymers is considerably important for their applications in electronics. Here, we studied the thermal annealing effects of conducting polyaniline (PANI) composites with a sol-gel silica on their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Films were prepared onto a substrate by simple drop-casting method using solutions including aniline,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and ammonium persulfate. Spectroscopic analyses confirm the emeraldine-salt phase of PANI and the presence of silica network in the film. Nanoindentation measurement showed that, although the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PANI/TEOS hybrid films, the annealing temperatur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hardnes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decreased from 5.5 to 1.9 S/cm after annealing, due to the slight dedoping of PANI by heat-induced removal of the HCl dop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