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ctinase 처리에 따른 미숙 복숭아 당절임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황희영(Hee-Young Hwang),김미정(Mee-Jeoung Kim),박승우(Seung-Woo Park),정우식(Woo-Sik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1

        본 연구에서는 적과 후 폐기되는 미숙 복숭아의 활용을 위해 당절임액을 제조하여 펙틴 분해효소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성,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미숙 복숭아 당절임액 제조 시 펙틴 분해효소 처리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적정산도는 증가하고 pH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효소 처리시 fructose, glucose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함량의 경우 효소 처리 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tartar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백도의 NPT, PT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모든 품종에서 효소 처리 시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경우 백도의 NPT, PT에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천도의 NPT, PT에서 가장 높았으며, 효소처리 시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 성분은 총 15종이 동정되었으며, aldehyde 9종, ester 2종, acid 1종, alcohol 1종, 기타 2종이 검출되었고 모든 품종에서 효소 처리 시 휘발성 향기 성분의 종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펙틴 분해효소 처리는 미숙 복숭아 당절임액 제조 시 품질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을 개선시키며, 이를 통해 다양한 가공식품 및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ctinas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capaci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unripe peach sugaring solutions. Three different unripe peaches including white peach, nectarine, and yellow peach were mix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and treated with or without pectinase, and stored for 5 weeks. The pectinase treatment in unripe peach sugaring solutions increased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hile it decreased pH when compared to the non-treated sample. The content of free sugars such as fructose and glucose increased with the pectinase treatment, but maltose was not detected in all varieties. Organic acid content, citr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diminished, whereas tartaric acid, lactic acid, and acetic acid increased after pectinase treatment. Among the unripe peach varieties, white peach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gardless of the pectinase treatment, in both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s. On the other hand, pectinase treatment caused an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in all peach varieties.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creased in all varieties following pectinase treatment. The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was the highest in white peach,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nectarine. I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15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9 aldehydes, 2 esters, 1 acid, 1 alcohol, and 2 other types. In all varieties, volatile flavor compounds increased with pectinase treatment. Taken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pectinase treatment improved over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unripe peach sugaring solution.

      • SCOPUSKCI등재

        UPLC-MS를 이용한 국내 유통 헴프씨드, 헴프씨유 및 헴프 기반 제품의 THC 및 CBD 함량 분석

        황희영(Hee-Young Hwang),김미정(Mee-Jeoung Kim),심혜미(Hye-Mi Shim),정우식(Woo-Sik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전에 고시된 시험법에 기초하여 LC-MS/MS를 활용한 THC와 CBD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국내에서 유통 및 판매 중인 헴프씨드, 헴프씨유, 헴프씨드 함유 가공식품의 THC와 CBD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분석법의 선택성, 직선성, 회수율을 통한 정확성, 반복실험의 재현성 모두 실험법이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효성을 확인한 분석법으로 국내 판매되는 헴프씨드, 헴프씨유, 헴프씨드 함유 가공식품의 THC 및 CBD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헴프씨드가 4건 모두 기준규격에 적합하였고, 헴프씨유는 9건 중 3건이 부적합으로 확인되어 지속해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헴프씨드 함유 가공식품은 3건 중 2건에서 THC와 CBD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는 헴프씨드 및 헴프씨유의 품질관리가 지속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UPLC-MS method for analyzing Δ-9-tetrahydrocannabinol (THC) and cannabidiol (CBD) levels. The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hemp seeds, hemp seed oil, and processed foods containing hemp seeds in South Korea.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 method was appropriate with high selectivity, reproducibility, linearity, and recovery for both THC (94.1∼108.3%) and CBD (84.9∼109.0%). It was determined that 13 out of the 16 tested products were within the suitable range of THC and CBD levels. However, three out of nine hemp seed oil products exceeded the standards for these compounds, indicating the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The results of our study verify and conclude the reliability of LC-MS/MS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C and CBD concentrations in hemp seeds and hemp seed oil.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