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Capsaicin의 투여가 안정시 및 운동시의 에너지 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임기원(KiWonLim),김규완(DewWanKim),서혜정(HeaJungSuh),이수천(SooChunLee),( Mayumi Yoshioka ),( Shinichi Saitoh ),( Masashige Suzuki ) 한국체육학회 1995 한국체육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capsaicin의 투여가 안정시 및 운동시의 에너지 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계 수컷 45마리의 rat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3주간의 예비사육 기간 중 실험동물용 treadmill을 이용하여 running 운동에 적응시킨다.실험 최종일에 비처리군(non-treatment), 안정대조군(sedentary control), 운동대조군(exercise control), 안정CAP군(sedentary-CAP), 안정CAP군(exercise-CAP) 등 5개군으로 나누었다. CAP군에는 체중 ㎏ 당 6㎎의 capsaicin을 복강내주사하였고, 대조군에는 僞藥을 주사하였다. 운둥군은 주사직후 27m/min의 강도로 running운동을 부하하여 운동 1시간 후 및 2시간 후에 도살하여 분석에 이용하였고, 안정군은 동일시간에 사육상자에서 안정을 취한 후 도살하였다.운동 1시간 후 및 2시간 후의 혈장포도당의 농도는 exercise-control군에 비하여 exercise-capsaicin군에서 높았으나, 유의한 차는 없었다. 혈장유리지방산과 간 및 가자미근의 글리코겐함량은 각 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한편, 운동 2시간 후의 비복근 글리코겐 함량은 대조군(exercise-control)에 비하며 CAP군(exercise-capsaicin)에서 유의하게 높았다.운동시의 capsaicin의 주사는 basal lipolytic activity는 증가시켰으나, epinephrine-stimulate activeity에는 capsaicin의 투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쥐에 있어서 capsaicin의 투여는 운동시의 에너지원으로 지방 동원을 증가시켜 근육의 글리코겐 절약효과(glycogen-sparing effect) 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psaicin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at rest and during exercise in rats. Forty-fiv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trained by treadmill running for 3 wk. On the final day of the experiment, the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n-treatment, sedentary-control, sedentary-capsaicin, exercise-control, and exercise-capsaicin. Rats were kept sedentary or given a treadmill-running for 1 or 2 h after the intraperitoneally injection of capsaicin or vehicle.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tended to be higher in exercise-capsaicin group than in exercise-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lasma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 and the glycogen levels in the liver and the soleus muscle, there was no significant capsaicin effect. The glycogen levels in the red and white gastrocnemius muscles tended to be higher in the capsaicin groups than in control groups, and this tendency wasy observed only in exercised groups at 2 h after the injection. The basal lipolysi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at 1 h after the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ercise-capsaicin group than in the exercise-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psaicin might have a glycogen-sparing effect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lipid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and that the effect of capsaicin during exercise seems to be different from those at 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