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체파열을 동반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길기현 ( Ki Hyun Kil ),김남희 ( Nam Hee Kim ),허성은 ( Sung Eun Hur ),장병우 ( Byung Woo Jang ),이성기 ( Sung Ki Lee ),정청일 ( Chung Il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Ruptured corpus luteum can cause massive hemorrhage. Because its symptoms are similar to those of ectopic pregnancy and/or acute appendicitis, its diagnose in early stage is not easy. When massive hemorrhage breaks out, it is reported that operational treatment is required. However, when accompanied with autoimmune disease such a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long with stable vital signs, a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corticosteroids and immunoglobulins can be carried out. A 23-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lower abdominal pain and diagnosed as intraperitoneal hemorrhage through ultrasonography and CT.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patient was carry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We experienced a case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ruptured corpus lutem which treat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s without complications and presen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정상 난소와 난소종양에서 p57kip2의 발현에 관한 연구

        안미진 ( Mi Jin Ahn ),김지연 ( Ji Yeon Kim ),이성기 ( Sung Ki Lee ),김경진 ( Kyung Jin Kim ),장병우 ( Byung Woo Jang ),허성은 ( Sung Eun Hur ),김남희 ( Nam Hee Kim ),길기현 ( Ki Hyun Kil ),김범경 ( Bum Kyeong Kim ),김성태 ( Sung T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CDK inhibitor인 p57kip2이 사람 정상 난소의 황체형성 과정과 난소종양발달에 있어 관여하는 지를 알기 위함이다. 방법: 난소종양으로 복강경 또는 개복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46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총 46명의 환자에서 채취한 난소조직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p57kip2 발현을 살펴보았다. 결과: 이 실험의 결과 p57kip2는 정상 난소의 성장 난포의 협막세포에서는 발현되었으나 황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난소종양 중에서는 성숙 및 미성숙 기형종, 자궁내막종에서만 발현이 되었고, 다른 상피성 난소종양에서는 p57kip2의 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p57kip2는 정상 난소의 황체화 과정과 상피성 난소종양의 발생과는 관련성이 적으며 난소종양 중 기형종의 발생과 자궁내막종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DK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 p57kip2 in human ovarian corpus luteum,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Methods: 46 women undergoing laparoscopic surgery or laparotomy for ovarian tumors were enrolled. Total 46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sections of corpus luteum,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were stained by immunohistochemistry for expression of p57kip2. Results: p57kip2 was stained in theca cell of growing follicle but not induced in human corpus luteum. There was the expression of p57kip2 in mature teratoma, immature teratoma and endometrioma but not in epithelial ovarian tumor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p57kip2 expression may be not important in luteinization of the ovary and seemed not to play a role in development of epithelial ovarian tumors. However, it may involve pathogenesis of mature teratoma, immature teratoma and endometrioma.

      • KCI등재

        복강경 수술 중 진단된 복강 임신

        안미진 ( Mi Jin Ahn ),김경진 ( Kyung Jin Kim ),허성은 ( Sung Eun Hur ),장병우 ( Byung Woo Jang ),이성기 ( Sung Ki Lee ),한혜정 ( Hye Jeong Han ),길기현 ( Ki Hyun Kil ),남안나 ( An Na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Approximately 1% of ectopic pregnancies are abdominal pregnancies and these may cause life-threatening bleeding and complications. Because of it`s high maternal mortality and morbidity, early diagnosis and prompt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But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is not specific, so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is difficult. Presented here is a case of primary abdominal pregnancy. A 31-year-old woman presented with lower abdominal pain at 8 weeks of gestation. Diagnostic transvaginal ultrasound revealed large amount of peritoneal fluid, no intrauterine sac, and mass on left adnexa. Laparoscopy was performed and abdominal pregnancy on the rectal serosa was confirmed. We experienced a case of abdominal pregnancy which treated with laparoscopy without complications and present it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산후출혈처치에 있어 Sengstaken-Blankemore 튜브의 효용성

        남안나 ( An Na Nam ),김경진 ( Kyong Jin Kim ),장병우 ( Byoung Woo Jang ),허성은 ( Seung Eun Hur ),이성기 ( Seong Ki Lee ),길기현 ( Ki Hyun Kil ),안미진 ( Mi Jin Ahn ),이지영 ( Ji Yo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고식적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산후출혈 환자에서 S-B 튜브 (Sengstaken-Blankemore tube)를 이용한 tamponade balloon 치료의 출혈조절 효과와 다른 침습적인 추가치료를 결정하기 전에 고려할 수 있는 중재적인 치료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2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90명의 산후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도 이후 약물처치에 반응 없는 산후출혈에서 침습적인 치료의 결정 이전에 modified S-B 튜브를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는데, 이들 중 17명의 환자에서 출혈 조절을 위해 S-B 튜브가 적용되었다.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임상적 상황, 산후출혈의 원인, ballooning 양 및 지속시간, S-B 튜브 처치 실패 시 시행된 추가치료 및 합병증 등 여러 요소를 조사하였다. 결과: Tamponade balloon치료의 성공률을 보면 전체 17명 중 11명 (64.7%)의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출혈이 조절되었다. 출혈의 원인에 따른 성공률을 보면 자궁이완증 환자에서 80%, 자궁퇴축부전 환자는 100%의 성공률을 보인 반면, 태반이상으로 인한 출혈에는 20%의 성공률을 나타내어 원인에 따른 성공률에 차이가 있었다. 2004년도 이후 침습적 치료의 결정 이전에 S-B 튜브를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는데, 이를 적용하지 않았던 2004년 이전의 산후출혈 예와 비교한 최종 치료결과는 2004년 이전에는 8예 (17.8%)에서 자궁적출술이 이루어 진 반면, 2004년 이후에 발생한 산후출혈 환자에서는 단, 1예 (2.2%)에서만 자궁적출술이 이루어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고식적인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산후 출혈환자에서 출혈이 지속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tamponade balloon의 적용은 효과적인 출혈조절 방법이며, 수술적 처치의 요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치료 실패 시 덜 침습적인 추가치료 방법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중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identify the role of interventional procedure of tamponade treatment with modified Sengstaken- Blankemore (S-B) tube on control of postpartum hemorrhage (PPH) unresponsive to conventional medical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on the clinical records of 90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PPH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OO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0 to September, 2005. We have actively applied tamponade balloon since 2004. As a result, tamponade balloon were applied to 17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such as clinical status, cause of bleeding, volume of balloon, duration of balloon, complication, success rate and additional treatment. Results: We have overall success rate of tamponade balloon in 11 (64.7%) of 17 patients of PPH. The causes of bleeding were subinvolution of uterus (100%), uterine atony (80%) and abnormal placentation (20%) in order of success rate. There was no major complication related to the tamponade procedure. We had compared final treatment during two period (before tamponade use v.s after tamponade use). 15 (33.3%) received invasive procedure and 8 (17.8%) received hysterectomy before tamponade use. However 10 (22.2%) received invasive procedure and just 1 (2.2%) received hysterectomy after tamponade use. Conclusion: Tamponade with modified S-B tube is effective on PPH unresponsive to conventional medical treatment and cuts down additional invasive procedure when tamponade treatment fai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