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 대한 펄스광선 치료의 임상효과

        김보윤(Boyun Kim),권형구(Hyunggoo Kwon),최아영(Ayoung Choi),김주혜(Juhye Kim),전소희(Sohee Je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포함한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펄스광선 치료(intense pulsed light;IPL)를 시행한 후 안구건조증에 대한 임상적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부전으로 진단된 환자 62명 124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3주 간격으로 3차례의 IPL을 치료받았으며;치료 전과 3주 간격의 시간에 따른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score (MGS);눈물띠검사(TMH);비침습적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break-time;NIBUT);플루오레신 각막염색 점수(Oxford scale);환자의 증상(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IPL 치료 후 마이봄샘 기능관련 지표(MGE;MGS);안구 표면 관련 지표(NIBUT;Oxford scale);안구건조 증상(OSDI score;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IPL 1차 후;IPL 3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모두 p<0.05). 하지만 눈물띠검사는 IPL 치료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가진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IPL 치료는 눈물막을 안정시키고;마이봄샘 기능 이상 및 주관적인 증상을 개선시키므로 안구건조증의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124 eyes of 62 patients with dry eye with MGD who underwent 3 IPL sessions at 3 week intervals. All patients underwent clinical examination before and during treatment as well as 3 weeks after the last treatment. Measured parameters include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MGS) score;tear meniscus height (TMH);noninvasive break-time (NIBUT);corneal staining score (Oxford scale);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and 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Results: Meibomian gland function (MGE;MGS);ocular surface parameters (NIBUT;Oxford scale) and dry eye symptom (OSDI;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baseline to after the 1st IPL;and the 3rd IPL weeks (p < 0.05 for all). However;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MH was observ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PL was a useful and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of dry eye with MGD to stabilizes the tear film and improve meibomian gland function and ocular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