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위험물제조소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권혁식(Kwon, Hyeogsic),곽대훈(Kwak, Dae-Hoon),고왕열(Ko, Wangyoul)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위험물제조소 화재는 발생빈도는 낮으나 피해의 규모가 크므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기준, 화재현장조사서 및 소규모 제조소 위험물안전관리 전수검사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정수량 배수에 따른 보유공지 세분화, 지정수량 10배 이상인 경우 피뢰침 의무설치, 모든 제조소의 예방규정 작성 및 정기점검 의무화, 외부의 안전관리대행기관에서 실시하는 정기점검, 위험물안전관리자의 대리자에 대한 신고 및 실무교육 의무화, 위험물안전관리자 자격은 시험 합격자로 제한하는 등 관련법령을 개정하여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Although fires in plants that manufacture hazardous materials do not occur frequently, the damages caused in a single such event are relatively large. Thu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uch factories.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standards according to the Dangerous Substances Safety Management Act, fire site surveys, and complete inspection of small-scale factories manufacturing dangerous substances. The specifications of the open holding area should be greater in number than the designated quantity; for example, the lightning rods should be mandatorily installed in a quantity of 10 times or more than the designated one. Other suggested measures include mandatory preparation of preventive regulations and regular inspection of all manufacturing plants by an external safety management agency, mandatory reporting and on-the-job training for substitutes of hazardous substance safety managers, and conducting a minimum qualification test for the post of safety manager and ensure that only those who have passed the test are employed.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amended to ensure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through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 KCI등재

        비상구 인지 개선에 관한 연구

        권혁식(Kwon, Hyeogsic),고왕열(Ko, Wangyo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화재시 피난로에 채워진 연기에 의해 피난구유도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피난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 관련법령에서 비상구까지 피난자를 유도할 수 있는 설비가 규정되어 있으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이 사례로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 및 규정을 분석하여 비상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비상구를 쉽게 인식하기 위해 피난구의 설치방향을 규정하고, 복도⋅통로 및 계단에는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선을, 비상구 하부에는 표지나 유도등을, 옥상으로 통하는 비상구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설치를 의무화 하고 또한 비상구보다 높은 층은 차단장치 및 경고표지를 부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any cases have been reported in which evacuees fail to escape during a fire because they could not identify the emergency exit sign owing to the fire evacuation route being smoke-filled. Although there are a few laws that regulate the equipment that would guide evacuees to an exit, several cases have indicated equipment malfunction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a means for people to easily recognize emergency exits by analyzing cases and regulations. We suggest a few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emergency exits in a way that they may be easily recognized. Additionally, we suggest that the following be made compulsory: the installation of emergency exit lines containing light sources in corridors, passages, and stairs; the installation of signs above or exit lights below the exits; and the installation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s onto emergency doors leading to roof doors. In addition, blocking devices and warning signs should be installed on all floors higher than the emergency ex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