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안지역에서 이모작을 위한 벼 안전재배기술

        윤성탁 ( Seong Tak Yoon ),곽노일 ( No Il Kwak ),신현억 ( Hyun Eak Shin ),심상인 ( Sang In Shim ),김영복 ( Young Bok Kim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3 No.4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establish the proper cultivation method of rice for double cropping in Cheonan area and practical cultivation was carried out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Cheonan ADTEC. The treatments consisted of four transplanting dates and three varieties that were one early maturing rice (Unkwangbyeo), and two medium-late maturing rices (Chillbobyeo, Hopumbyeo). All varieties headed before August 25, when the threshold date for stable grain filling even the late maturing variety that was transplanted on June 20.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orm the plot transplanted on June 5 for early maturing variety and on June 25 for medium-late maturing varieties compared to the other transplanting data. Yield of three varieties transplanted on June 30 were lower than the average yield in this experiment. In double cropping of rice after barley and wheat harvest, it isdesirable to transplant rice before June 20 at Cheonan area. It was shown that if the transplanting of rice were processed after June 20, there would be some problems of poor ripening because of reduced vegetative period and low temperature, etc.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recommended to cultivate early maturing varieties for safe ripening in Cheonan area.

      • KCI등재

        친환경농자재 처리가 배과수원 토양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윤성탁,허진우,장경우,김태호,남중창,박상헌,곽노일,문수학,이혁재,최진호,Yoon, Seong-Tak,Xu, Zhen-Yu,Zhang, Qing-Yu,Kim, Tae-Ho,Nam, Jung-Chang,Park, Sang-Hun,Kwak, No-Il,Mun, Su-Hak,Lee, Hyuk-Jae,Choi, Jin-Ho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Coming with the well-being era, consumer's demand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by using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th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in pear orchard, the content of total carbon, organic matter, Ca and Mg increased a littl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2008,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EC and Mg content in the soil among treatments. The content of leaf N, P and Ca in 2009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2008, while Mg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2008 and 2009 years. Average pear weight in 2009 was 31g higher than that of 2008 (682g)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ear weight (738g) among treatments. The averag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2009 (12.6$^{\circ}Bx$) compared with that of 2008 (12.2$^{\circ}Bx$) and the plot of 2nd treatment highest sugar content (12.6$^{\circ}Bx$) among treatm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unter value of L among treatments, but hunter value of a showed higher 1.62 in 2009 than that of 2008 (3.73). The highest of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1st treatment and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3rd and 1st treatment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 increased a little in 2009 compared with that of 2008, while the highest firmness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with 1.63kg/5mm$\oint$ among treatments. Phosphate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of fruit skin in 2009 (0.97g/kg) showed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0.91g/k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1.15g/kg). Potassium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in 2009 was 8.20g/kg, which is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kg) and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kg) among treatments. The highest nitrogen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4.32mg/g), while it was the lowest in control plot (3.10mg/g). Phosphate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in 2009 (8.20g/kg) showed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k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kg).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fruit peel of 'Niitaka' pear between years, but 1st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ent (11.81g/kg) among treatments,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plot (10.83g/kg). 웰빙시대의 도래와 함께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요구가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배 생산체계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유효미생물제제인 Amo 등을 비롯한 몇가지 친환경농자재를 조합 처리하여 친환경 배 생산체계를 수립코자 2년간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친환경농자재 처리에 의한 배과수원의 토양양분의 변화는 T-C, 유기물, Ca 및 Mg 함량은 2008년에 비해 2009년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에는 EC, Ca 및 Mg 함량이 2 처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2. 엽내 질소 및 인산함량은 2008년에 비해 2009년 각 처리구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칼륨 함량은 2008년 1.93%에 비해 2009년은 2.06%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구가 2.17%로 가장 많았다. 칼슘함량도 2008년에 비해 2009년 각 처리구 모두에서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처리간에는 3처리구가 1.52%로 가장 많았다. 3. 연차간 과실특성을 보면 과중은 2008년 평균 682g에 비해 2009년에는 713g으로 31g이 높았으며, 처리간에는 2처리구가 738g으로 가장 높았다. 과실의 당도함량은 12.2~12.6$^{\circ}Bx$로 2008년 평균 12.2$^{\circ}Bx$에서 2009년 12.6$^{\circ}Bx$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처리간에는 대조구와 2처리구가 12.6$^{\circ}Bx$로 가장 높았다. 4. 과피색의 L값은 연차간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a 값의 경우 2008년 3.73에 비해 2009년에는 5.35로 1.62 높은 경향을 보여 성숙진행이 2009년에 다소 빨랐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처리간에는 2처리구가 4.82로 가장 높았다. 5. 과실 조직의 처리간 응집성 및 점착성은 1처리구가 각각 1.97, 0.1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은 2008년과 비교하여 2009년이 -0.86이 적었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처리간 부착성은 3처리가 -2.58로 가장 높았다. 과실의 경도는 1처리구가 14.4로 가장 높았으며, 씹힘성도 1처리가 1.77로 가장 높았다. 6. 과피의 무기성분 함량 중 인산함량은 2008년 0.91g/kg에 비해 2009년 0.97g/kg으로 0.06g 더 많았으며, 처리간에는 3처리가 1.15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륨함량은 2008년 7.82g/kg에 비해 2009년 8.20g/kg으로 2009년이 더 많았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가 8.34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슘은 처리간에는 3처리에서 166.80ppm을 나타내 가장 함량이 높았다. 7. 과육의 질소함량은 처리간에는 3처리가 4.32mg/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인산함량은 2008년 평균 1.59g/kg에 비해 2009년 1.42mg/g로 함량이 적었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 3처리가 1.68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륨함량은 년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가 11.81g/kg으로 가장 함량이 많았다. 칼슘함량은 2008년 34.13ppm에서 2009년은 35.10g/kg을 나타내 함량이 증가하였다. 마그네슘 함량은 3처리가 0.93g/k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