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

        고영만,Ko, Young-Man 한국문헌정보학회 200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5 No.3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ormation problem and the informational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e two cultural paradigms of ‘system‘ and ‘life world’, which are used to interpret the social problems in modern age. Information problem concerns the individual problems such as reference and validity problem of information and social problems like paradox of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equal opportunity. From the discussion was deduced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al education is the cultural media to arbitrate the conflict between the reasonable solution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problem in ‘life world’ and the control attempt by ‘system’ to cope with the social information problem.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aim of the informational education is the information autonomy which can be built through the information literacy. 본 연구에서는 정보사회에서의 정보문제와 정보교육의 문제를 체계와 생활세계라는 사회과학의 상호 경쟁적 패러다임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정보문제와 관련해서는 정보와 정보기술의 패러독스, 기회의 패러독스, 정보의 참조문제와 타당성문제가 다루어졌으며, 정보교육과 관련해서는 정보자주성과 정보소양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정보교육이 개인적 정보문제의 합리적 해결과 사회적 정보문제의 합리적 통제 사이의 갈등 현상을 치유하기 위한 문화적 중재요청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교육의 목표는 지식 자주성이 아니라 정보 자주성이어야 하며, 정보 자주성은 컴퓨터소양이 아니라 정보소양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전적(古典籍) 정리․번역서의 종이책과 전자책 이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고영만,심원식,송민선,윤현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1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general users’ perceptions regarding publication preferences for Korean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in order to formulate future directions for these materials. For this purpose, an overview of changes in publishing in general as well as current status of collation/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n particular are being identifie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data regarding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expert users and general users of Korean classics.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analyses of more than 1,000 responses. The analyses show that electronic books will not completely replace printed books and publishing both electronic and printed books in tandem for the time being is most preferable in order to satisfy varying user needs. Statistical analysis shows differences in terms of use value, value from possession, and readability of electronic and printed books in the two groups of users. However, as for the value of preservation by relevant institution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wards printed books unlike their electronic equivalents. The research shows strong preference towards printed forms of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for the purpose of scholarly research and translation. Actual usage statistics reveal much heavy use of online database of classics translations compared to the use of available electronic books. For future publishing decisions for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will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nature. Proper representation of these materials into electronic format would require a standardized platform that enable various uses in different environments. 본 연구는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향후 출판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출판 방식의 변화와 현황 및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출판 형태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종이책과 전자책의 이용에 관한 국내외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국내 주요 기관의 고전적 정리․번역서 출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의 메일링리스트를 활용해 전문가와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책은 종이책을 완벽하게 대체하는 매체로 간주되기는 어려우며,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당분간 종이책과 전자책의 병행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종이책과 전자책의 개인적 사용가치, 소장가치, 가독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일반이용자와 전문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이나 관련 기관에서의 보존가치에 대한 평가에서는 종이책에 대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었으나 전자책의 경우에는 집단 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술 연구나 번역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종이책 형태의 고전적 정리․번역서가 전자책에 비해 더 선호되며, 온라인을 통한 이용에 있어서는 전자책보다 데이터베이스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전자책 구현을 위해서는 고전적의 특수성과 상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기술적으로 모든 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한 표준화된 플랫폼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전문정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수요에 관한 연구

        고영만,Ko Young-Man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현황을 조사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의 발전 경향을 조사함으로써 전문정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수요를 분석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개발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의 상용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와 비상용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분야별 재현형태별 분석을 하였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전망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는 국내의 멀티미디어 전문가를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환경, 시장, 이용자와 관련된 사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The tendency of multimedia services and market of specialized information is currently much debated issur in our country. Nevertheless,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demand for multimedea database is nowadays nowhere to be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general overview of market and demand of service relating to multimedea database. At first, various definitions of multimedia, multimedia content, and multimedia database are analysed and evaluated from the point of technical and practical views. For the study on the demand for multimedia database of specialized information, database catalogue of DPCK 1997 and multimedia database on internet are analysed. After that the results of expert survey to estimate an accurate tendency of multimedia services in Korea are analysed.

      • KCI등재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학술지 발행기관별 차이 및 학문분야별 차이에 관한 연구

        고영만,김보애,박태식,이길신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journal publishers and among academic disciplines on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open acces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e identified five such factors: journal publishers' attitudes, ability, confidence, social influence and material resources available for open access.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journal publishers from social influence factor. This result implies that efforts toward journal subscriber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material resources are important factors for journal publis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cademic disciplines in terms of journal publishers' attitudes and ability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result imply that academic journals need to share more information about open access and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journals that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the adoption of open access.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 그리고 학문 분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술지 발행기관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 능력, 자신감, 발행기관에 대한 사회적 압력 및 물질적 자원의 다섯 요인이 도출되었다.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서는 사회적 압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행기관 회원들의 긍정적 인식을 위한 노력과 해당 기관에 대한 물질적 자원이 중요한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학문분야에 따라서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와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홍보 강화 및 능력이 있는 학문분야의 학술지를 오픈 액세스의 우선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