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자생 제주아그배 (Malus micromalus Makino)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

        이주엽(Ju-Yeop Lee),강민철(Min-Chul Kang),이정아(Jung-A Lee),고광효(Kwang-Hyo Ko),김봉석(Bong-Seok Kim),한종헌(Jong-Heon Han),김세재(Se Jae Kim),김기옥(Gi-Ok Kim)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4

        본 연구는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제주아그배의 생리활성, 즉 항산화 효과와 항염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 아그배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비교 분석한 결과, 제주 아그배 에탄올 추출물 (DPPH 소거활성 IC50 값, 16.1 μg/mL; NO 소거활성 IC50 값, 901.2 μg/mL; superoxide 소거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50 값, 42.5 μg/mL, 2.7 μg/mL) 은 좋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그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 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실험 모두에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제주아 그배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식 세포 모델을 이용하였다. LPS로 자극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NO 활성과 세포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를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9와 12.2로 가장 높은 상대적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NO 생성 억제율에 대한 IC50 값은 각각 16.7 μg/mL, 4.1 μg/mL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주아그배의 에탄올 추출물의 NO 감소가 iNOS 단백질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iNOS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iNOS 단백질의 억제가 mRNA의 감소로 인한 것인지 조사하고자, RT-PCR 을 통해 iNOS 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인 mRNA 발현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제주아그배의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COX-2 단백질과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분획물 중에서는 NO 활성과 세포 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가 높았던 에틸아세테 이트 분획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도 NO, iNOS, COX-2의 억제 정도가 더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Malus micromalus were studied in vitro.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showed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nitric oxide (NO) radicals. In addition,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inhibited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anion (O2 -) radical and uric acid by xanthine oxidase.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on NO production in a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nd this inhibitory action was not due to the cytotoxicity.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as markedly down-regulated by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on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acropages might be due in part to abrogation of iNOS and COX-2 protein induction.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ethanol extract of M. micromalus could contribute to the chemoprevention and therapy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 KCI등재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한천유역의 홍수유출 변동 분석

        양세창 ( Se Chang Yang ),양성기 ( Sung Kee Yang ),이준호 ( Jun Ho Lee ),정우열 ( Woo Yul Jung ),고광효 ( Kwang Hyo Ko ) 한국환경과학회 201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4 No.4

        A number of projects for development have been done continuously due to the increase of tourist in Jeju Island. However flood disaster countermeasure due to urbanization is not considered during this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is to make basic process for the flood estimation in Han stream of Jeju Island. The variation of stream discharge due the every 5 years` land use change from 1980 to 2005. Data for flood events (rainfall and discharge) were collected for HEC-HMS model. Clark method was used for unit hydrograph analysis. For the estimation of Clark unit hydrograph parameters, Kraven II and Sabol`s empirical equations were applied. The peak discharge increased 9.9~33.67% and total discharge amount increased 12.53~30.21%. Also, time of concentration for peak discharge was reduced by 10 minutes for each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