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강승자(Seung-Ja Kang),서남숙(Nam-Sook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직접 및 간접적으로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상자는 G광역시와 M시 지역에 소재한 혈액투석 전문센터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30명을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한 대상자 수는 20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구성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상관관계 및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 = 41.32, GFI = .96, AGFI = .92, RMR = .04, NFI = .96, CFI = .91, TLI = .95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보다 적합도가 크게 개선되어 설정한 22개의 연구가설 중 12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결론은 자기효능감, 우울, 자가간호행위가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수면장애, 스트레스, 피로, 가족지지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58.6%였다.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우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고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통해 자가간호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uil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factors that affect hemo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and identify directly and indirectly significant paths. To accomplish this, 230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registered at study hospita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M City were randomly selected, and 201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14. SPSS WIN 18.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r reliability analysis of the research tools. In addition, AMOS 18.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lat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of the hypothetic model, and hypothese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t of the modified model was 41.32, GFI = .96, AGFI = .92, RMR = .04, NFI = .96, CFI = .91 and TLI = .95. Twelve out of the 22 research hypotheses that were improved and improv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hemo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directly by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elf-care behavior, and indirectly by sleep disturbance, stress, fatigue, and family support. These variables explained 58.6% of the variation in quality of life.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hemodialysis patients require strategies for managing patient depression and for increasing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to improve quality of life.

      • KCI등재

        혈액투석환자의 증상지수,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와의 관계

        서남숙(Seo, Nam-Sook),강승자(Kang, Seung-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의 빈도, 심각성, 영향 등을 조사하고, 이런 증상과 자기효능감 및 가족 지지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어떤 요인이 환자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지역 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243명의 환자들을 증상의 발현과 심각성을 측정하는 질문지로 투석 증상 지표(DSI)를 이용했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 독립 t-test, Pearson 상관계수, 다중 회귀분석 등을 이용해 분석했다. 증상 점수는 가족지지(r=-.35, p<.001) 및 자기효능감(r=-.16, p=.006)과 눈에 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연령과 혈액투석 기간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가족지지 가 증상을 예측하는 가장 큰 변수였다. 또한 가족지지는 증상 점수 변화량의 16%를 차지했다. 혈액투석환자들은 수많은 고통 스러운 증상들을 경험하는데, 이런 증상들은 그들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가족지지를 고취시킨다면 혈액투석환 자들이 경험하는 고통스러운 증상들을 줄이고 억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severity or impact of symptoms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self efficacy and family suppor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symptom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and the subjects were 243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t local units. The patients were Dialysis Symptom Index (DSI), a questionnaire about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symptom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 coeffici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of symptoms according to age and duration of hemodialysis. Symptoms scor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family support (r=-.35, p<.001) and self-efficacy (r=-.16, p=.006). Family support explained 16.0% of the variance in symptoms score.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many distressing symptoms, which have negative effects on quality of their life. Promoting family support can help to reduce and control distressing symptoms in hemodialysis patients.

      • KCI등재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 대한 개념분석

        서남숙(Nam-Sook Seo),강승자(Seung-Ja Kang),김재희(Jae-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개념분석의 혼종모형을 기반으로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혼종모형의 3가지 단계를 적용하여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단계, 개념의 주 속성과 지표를 조사하는데 사용되는데 현장 작업 단계에서 데이터는 질적 조사를 포함한 관찰 및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현장작업 단계,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최종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개념의 주 속성과 지표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 2개 병원의 혈액투석 센터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10명이었다. 연구결과,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개념은 신체 활동, 정서적 기분, 사회적 역할, 인지적 반영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 대한 정의는 "말기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과 반복적인 혈액투석으로 야기되는 에너지 수준의 감소와 제한된 기능에 대해 신체적 활동, 정서적 기분, 사회적 역할, 인지적 반영차원에서 인식하고 대처하는 과정 중에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주관적인 느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의 속성 및 정의를 규명함으로서 도출된 혈액투석환자의 피로개념의 네 가지 차원과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attributes of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The Hybrid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ain attributes and indicators of the concept by applying three stages. After a literature review,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s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work stage. The participants included 10 patients in hemodialysis center of two hospitals in Gwang-ju, Korea. The attributes of fatigue concept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physical activity, affective mood, social role, and cognitive reflection. The definition of fatigue by hemodialysis patients was defined as "subjective feeling usually experienced in four dimensions during the process to recognize and adjust energy deficiency and limited functions caused by uremia and repeated hemodialysis for chronic renal failure". Considering the dimensions and attributes derived from this study, it may be possible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이 지각한 각 유형별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건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하미옥(Ha, Miok),강승자(Kang, Seungja) 한국노인간호학회 2021 노인간호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is longitudi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ich typ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over time among Korean older adults. We further explored whether these associations vary by older adults gender. Metho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3,650 older adults drawn from additional survey data of the 6th and 7th waves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Higher perceived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decline in subjective health over 2 years. Gender onl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That is, higher emotional support associated with less decline in subjective health among older women, but not among older me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mental support is the strongest predictor of older adults changes in health over time, indicating the need for public supports for those who lack instrumental support from their social ties.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older women should aim to enhance their perceived emotional support to protect them from faster declines in subjective health over time.

      • KCI등재

        아로마요법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이하나LEE, Ha-Na,강승자(Kang, Se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아로마요법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실험군(n=29)은 2주간의 임상실습 기간 중 아로마 에센셜오일이 든 목걸이를 착용하였고, 대조군(n=30)은 2주간의 임상실습 기간 중 생리식염수가 든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22일부터 6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²-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피로 및 심박변이도에 있어서 두 군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아로마요법은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관리방법 뿐만 아니라 임상실습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fatigue and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n=29) wore aroma necklaces containing essential oils and the control group(n=30) wore necklaces containing Normal salin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2 to June 7, 2019.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23.0 program to calculate real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ubject s characteristics, t-test and χ²-test for homogeneity test, and Independent t-test for hypothesis test. As a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ess, fatigue and heart rate variability. Therefore, aromatherapy may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improve clinical training aswell as management method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 KCI등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취업 선호도 조사

        정효주 ( Hyoju Jung ),강승자 ( Seungja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취업 선호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취업과 관련된 올바른 진로지도 방안을 찾고, 병원 고용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J도 소재 D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476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8일부터 2019년 4월 26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은 직장 내 분위기와 인간관계, 급여의 적절성 항목의 점수가 높았으며, 희생과 봉사 정신의 발휘할 가능성의 항목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 선호도는 성별, 학업성취도, 임상실습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교육 기관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취업 선호도를 고려한 진로 설계 및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겠으며, 병원과 같은 노동 수요자 측면에서는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의 취업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반영한 근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right career guidance plan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by grasping the employment prefer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paring hospital employment poli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6 nursing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in J province.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pr. 8, 2019 to Apr. 26, 201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using SPSS/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ing students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atmosphere, human relations, and appropriateness of salary in the workplace, and the lowest score in the possibility of sacrifice and service exposition. The job pre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refore, nurs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operate career design and programs considering the employment prefer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labor demanders such as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employment prefer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future nurses,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