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한 선량분포의 평가

        강세식,고성진,장은성,Kang, Se-Sik,Ko, Seong-Jin,Jang, Eun-Sung 대한방사선과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2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에서 작은 조사야에 대한 선량분포를 측정, 분석하는데 있어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조직 등가물질인 water 팬톰의 diode와 아크릴 팬톰내의 $EBT^{(R)}$ 필름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실제 뇌정위방사선수술의 평가를 위해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하여 인체모형 두부 팬톰내 치료부위 위치를 확인하고 선량을 측정하여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diode와 $EBT^{(R)}$ 필름 모두 1.5cm에서 6MV 광자선에 대한 Dmax가 있었으며 팬톰내의 깊은 영역으로 빔이 진행하면 $10{\sim}20\;cm$서 두 측정방법 모두 $2{\sim}3%$ 정도의 오차로 중심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Gafchromic $EBT^{(R)}$ 필름의 실제 조사된 선량분포를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선량분포와 비교하면 90% 등선량곡선에서 5%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정위방사선수술에서 팬톰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어진 목표점에서의 방사선 조사선량이 정확하게 측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정도관리의 한 방법으로도 그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Dose evaluation for small field such as stereotactic radiosurgery was performed using $Gafchromic^{(R)}$ EBT film. Every film which irradiated 6MV photon beam was scanned and obtained the optical density(OD) by flat bed scanner after 24 hours of irradiation. This study compared dose from diode in water and Gafchromic $EBT^{(R)}$ film in acrylic phantom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ilm, and to evaluate the SRS in clinical dose distributions from calculation and measurement in the region of virtual target in humanoid and cylindrical phantoms were compared. The Gafchromic $EBT^{(R)}$ film was found to be linear up to 9Gy. The $D_{max}$ for 6 MV was measured at 1.5 cm from the surface by both of diode and the film. As the depth is deeper, the error was measured within $2{\sim}3%$ at $10{\sim}20\;cm$ depth. Comparing between distribution from calculation and measurement, we found that there is 5% error at 90% isodose line. We found that given dose could be measured accurately by using the phantoms. It was feasible to use the Gafchromic $EBT^{(R)}$ film in quality assurance of S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부지역 유방촬영술의 팬톰영상에 관한 연구

        강세식(Se-Sik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4

        목적 : 일부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방촬영술에 대한 유방팬톰영상을 분석하여 화질관리의 실태를 알아 보고져 한다. 대상과 방법 : 2005년 5월에서 6월까지 2개월간 일부지역의 47개 병원에 설치된 유방촬영기기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유방팬톰영상의 분석은 확대경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보이는 섬유소, 작은 석회화그룹, 종괴의 개수를 세어 점수로 기록 평가하였다. 유방팬톰영상평가시험의 평가기준에 의해서 섬유소 4개 이상, 작은 석회화그룹 3개 이상, 종괴 3개 이상이 보인 경우를 합격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유방팬톰영상 47예 중 합격이 33예(70.3%), 불합격이 14예(29.7%)였으며 합격한 경우에 사용한 관전압 범위는 23~30㎸p, 관전류량 범위는 20~60㎃s, 사진농도 범위는 0.48~1.77로 나타났으며 격자를 사용한 경우는 31예(91%)로 나타났다. 결론 : 일부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방촬영술의 영상에서 약 70.3%가 유방팬톰영상평가 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범위의 관전압, 관전류, 격자 사용으로 적절한 사진농도를 얻어 시험기준에 합격된 우수한 화질의 유방영상을 얻어야 한다. Purpose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quality control of mammographic phantom images in some area. Methods : Between May and June, 2005, I have got a total of 47 mammographic phantom images collected from 49 hospitals and were analized about phantom score of fibrous, speck, tumor with enlargement scope. By critic level of experimental mammographic phantom case images, classified through the pass case that fibrous score 4, speck score 3, tumor score 3 over. Result : It passed 33case (70.3%), failed 14case (29.7%) about 47case. Passing case images showed tube voltage 23~30 ㎸p, tube current 20~60 ㎃s, photographic density 0.48~1.77 Conclusion : It passed case about 70.3% of mammographic phantom image in some area. Optimum range of tube voltage, tube current, photographic density have to use to get fine quality of mammographic images.

      • KCI등재후보

        의료방사성폐기물 관리방안에 대한 인식 분석

        강세식(Se-Sik Kang),최석윤(Seok-Yoon Choi),김정훈(Jung-Ho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1

        방사선작업종사의 배경인자에 따른 의료 방사성폐기물관리 방법 및 안전관련 인식 그리고 자체 처분실시에 따른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모집단은 부산 경남소재 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PC+Win 13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방사성폐기물관리 인식에 있어서는 대부분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변화, 처리에 대한 인식 변화로 개선책을 제안 하였다. 올바른 의료방사선폐기물관리 방안은 주기적인 교육 강화를 통한 방사선종사자들의 올바른 인식변화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medica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methods by background factors of radioactive workers, their awareness of safety management and reduce the difficulty of self-disposal. A population of 102 radiotechnologist who work at hospital in Busan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m. th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used SPSS/PC+Win13 version and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of verif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workers had correct awareness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lso, about the difficulty of self-disposal, legal procedures were mentioned most often, and as efficient improvement of management methods is concerned, changing the awareness of safety management and disposal was propos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ight way of managing medical radioactive waste is to change the awareness of radioactive workers by reinforcing regular training.

      • KCI등재후보

        192 Ir를 사용한 자궁경부암 치료시 주변 장기 및 근접한 사람의 선량 평가

        강세식(Se-Sik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3

        한국인의 신체 특성에 맞는 방사선치료 선량 평가를 위해 한국표준여성에 기초하여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제작하였다. 이후 자궁을 선원장기로 하여 자궁경부암 근접치료 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궁 및 주변장기의 흡수선량과 치료환자에 근접한 사람의 선량을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방사성핵종은 자궁경 부 근접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192Ir을 선정하였고, 초기 방사능 1 Ci를 투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선원장기인 자궁에 4.92E-14 Gy/Ci를 나타냈으며, 치료 환자로부터 거리에 따른 사람의 선량은 전방 30 cm 거리에서 1.24E-07 Sv를 나타났다. In order to evaluate radiation dose on the uterus and surrounding organs during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ncer, of whic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high in Korean women, as well as radiation dose on medical staffs in proximity of patients receiving the therapy, a mathematical phantom based on refer-ence Korean was established and the radiation dose was calculated accordingly. For simulation,192 Ir, which is useful in brachytherapy, was selected as radionuclide. Also, it was presumed that the intensity of initial radiation was 1 Ci. The result indicated the radiation of 4.92E-14 Gy/Ci in the uterus, the source organ. In addition, radiation on people around patient receiving the therapy was found to be 1.24E-07Sv at a distance of 30 cm.

      • KCI등재

        두부 CT촬영 시 비스무스 차폐체를 활용한 시각 기관의 방사선피폭평가

        강세식(Se-Sik Kang),김창수(Changsoo Kim),김정훈(Jung-H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방사선방호목적의 두부용 수학적 모의 피폭체를 제작하여 두부 CT촬영 시 시각기관(눈, 각막, 수정체)의 흡수선량을 분석하였다. 이후 안구차폐에 따른 방사선량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구의 흡수선량은 에너지가 증가 할수록 높은 선량을 나타냈으며, 선량이 높은 장기는 두부를 제외하고 눈(eye), 각막(cornea), 수정체(lens)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눈의 경우 차폐체 전 · 후 선량 감소율을 약 38%에서 55%까지, 각막은 약 35%에서 52%를, 끝으로 수정체는 전면만 차폐한 경우 약 51%를 전면과 측면을 동시에 차폐한 경우 약 67%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To analyse the absorbed radiation dose of the visual organs (eyes, corneas, lenses) during a head CT scan, a with the purpose of radiation protection was designed. Afterwards, the reduction rate of radiation dose when using an eye-shielding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nergy, the higher the absorbed dose of the eyes. Excluding the head, the organs with high dose were the eyes, corneas, and lens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dose reduction rate before and after shielding was between 38% and 55% for the eyes, and between 35% and 52% for the corneas. In the case of the lenses, when the front was shielded, the reduction rate was 51%, and when the front and the side were shielded simultaneously, the reduction rate was 67%.

      • KCI등재

        Gafchromic EBTⓇ 필름을 이용한 선량분포의 평가

        강세식(Se-Sik Kang),고성진(Seong-Jin Ko),장은성(Eun-Sung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2

          Gafchromic EBT<SUP>?</SUP> 필름을 이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에서 작은 조사야에 대한 선량분포를 측정, 분석하는데 있어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BR>  조직 등가물질인 water 팬톰의 diode와 아크릴 팬톰내의 EBT<SUP>?</SUP> 필름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실제 뇌정위방사선수술의 평가를 위해 Gafchromic EBT<SUP>?</SUP> 필름을 이용하여 인체모형 두부 팬톰내 치료부위 위치를 확인하고 선량을 측정하여 계산값과 비교하였다.<BR>  diode와 EBT<SUP>?</SUP> 필름 모두 1.5㎝에서 6MV 광자선에 대한 Dmax가 있었으며 팬톰내의 깊은 영역으로 빔이 진행하면 10~20㎝서 두 측정방법 모두 2~3% 정도의 오차로 중심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Gafchromic EBT<SUP>?</SUP> 필름의 실제 조사된 선량분포를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선량분포와 비교하면 90% 등선량곡선에서 5%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뇌정위방사선수술에서 팬톰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어진 목표점에서의 방사선 조사선량이 정확하게 측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정도관리의 한 방법으로도 그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Dose evaluation for small field such as stereotactic radiosurgery was performed using Gafchromic<SUP>?</SUP> EBT film. Every film which irradiated 6MV photon beam was scanned and obtained the optical density(OD) by flat bed scanner after 24 hours of irradiation. This study compared dose from diode in water and Gafchromic EBT<SUP>?</SUP> film in acrylic phantom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ilm, and to evaluate the SRS in clinical dose distributions from calculation and measurement in the region of virtual target in humanoid and cylindrical phantoms were compared.<BR>  The Gafchromic EBT<SUP>?</SUP> film was found to be linear up to 9㏉. The Dmax for 6MV was measured at 1.5㎝ from the surface by both of diode and the film. As the depth is deeper, the error was measured within 2~3% at 10~20㎝ depth. Comparing between distribution from calculation and measurement, we found that there is 5% error at 90% isodose line.<BR>  We found that given dose could be measured accurately by using the phantoms. It was feasible to use the Gafchromic EBT<SUP>?</SUP> film in quality assurance of SRS.

      • KCI등재후보

        인버터식 X선장치의 성능평가 시 비접속형 측정기의 유용성

        강세식(Se-Sik Kang),김창수(Chang-Soo Kim),고성진(Sung-Jin K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2

          목 적: 임상에서 인버터식 X선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간편한 성능평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국내에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는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model : Xi (unfors)-prestige)를 이용한 성능평가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BR>  방 법: 인버터식 X선장치의 성능 평가시 접속형 측정장비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Dynalyzer Ⅲ를 이용한 성능평가를 기준으로 하여 비접속형 측정장비인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model: Xi(unfors)-prestige)의 성능평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BR>  결 과: 두 측정기에 대한 X선 출력선량은 큰 차이 없이 측정되었으며 촬영조건 등의 변화에 따라서 접속형인 Dynalyzer Ⅲ가 약간 증가된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출력의 재현성은 두 측정기 모두 성능평가 합격 기준 0.05 이하인 0.002 이하로, 직선성은 합격기준인 0.1 이하로 평가되었다. 촬영조건의 정확도에서는 관전압은 1.8과 2, 관전류는 2.01과 2.3, 촬영시간은 T>0.01sec에서 ±10% 이하로 나타났다. 모두 성능평가 기준의 허용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결 론: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model: Xi(unfors)-prestige) 측정기를 이용한 인버터식 X선장치의 X선 출력의 재현성, 직선성과 촬영조건의 정확도에 대한 성능평가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As the demand of a simple and precise method increas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inverter type x-ray unit,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recently-introduced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 (model: Xi (unfors)-prestige).<BR>  Method: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 (XMFTD) which is non-invasive type device with the performance of Dynalyzer Ⅲ that has been most widely used invasive type measure device.<BR>  Result: X -ray output dose was increased a little in the XMFTD, but both devices were below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0.002 in the output reproducibility. Linearity of XMFTD were below 0.1 which means that Dynalyzer Ⅲ showed more excellency in linearity. As for the accuracy of exposure factor, 1.8 and 2 tube voltage, 2.01 and 2.3 tube current were measured. The exposure time was also measured by 0.01 sec ±lO%. Both devices were within the accep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BR>  Cooclusion: We proved the usefulness of X-ray Multi-Function Test Device (model: Xi (unfors)-prestig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n reproducibility and linearity of X-ray output and accuracy of exposure factor of inverter type unit.

      • KCI등재

        유방촬영 영상의 유용성 평가

        강세식(Se sik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4 방사선기술과학 Vol.27 No.4

        목적 : X-선을 이용한 유방촬영술에서 영상수용시스템과 현상시스템에 따른 화질 관리를 하고자 phantom을 이용하여 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실험방법 : 동일한 유방촬영장치를 이용하고(모든 조건 동일) 영상수용시스템인 필름/증감지와 현상 시스템을 control 그룹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 실험하였다. Control group은 영상수용시스템(A사의 편면증감지, 편면필름), 자동현상시스템(A사의 mammo용 자동현상기) , 현상액등(A사의 mammo용 자동현상액)의 시스템이 동일하며 A group은 영상수용시스템이 다르고(A사의 양면증감지, 양면 필름으로 mammo용이 아니고 일반촬영용임) 자동현상시스템, 현상액등의 시스템 동일하며 B group은 영상수용시스템 동일, 자동현상시스템, 현상액동의 시스템이 다르며(B사의 자동현상기이며 일반촬영용) C group은 영상수용시스템 및 자동현상시스템 현상액시스템이 다르며(A사의 양면증감지, 필름의 조합과 B사의 일반촬영용 자동현상기 및 현상액), D group은 영상수용시스템 동일, 수동현상의 경우로 실험하였다. 결과 : phantom 1에서 평가항목은 3개였으며 32점 중에서 control 그룹은 29점, A 그룹은 25점, B 그룹은 16점, C 그룹은 11.5점, D 그룹은 28.5로 B, C 그룹을 제외하고 우수한 화질을 표현 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phantom 2에서는 평가항목은 4개였으며, 38점 중에서 control 그룹이 38점, A 그룹은 30점, B 그룹은 16, C 그룹은 12.5, D 그룹은 37점을 각각 얻었으며 phantom 2 에서도 B, C 그룹은 화질이 불량한 촬영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결론 : phantom 1, 2 촬영에서 얻어진 유방촬영시스템에서 화질에 영향을 미치고있는 인자는 모든 촬영인자에서 가지고는 있지만 이중에서도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는 영상수용시스템과 현상시스템 등이 화질에 대한 영향이 크게 미치고 있었다. Purpose: To valuate the usefulness of mammographic image by using phantom 1, 2 to controls the enhancement of image quality Procedure: Set up same equipments for experiment (all the qualification must be the same). Control group and 4 other experiment the developing mammographys by using the image system with film/intensifying screen and distribute marks on each test objects of phantom 1, 2. Resul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using phantom 1, 2 on control group and 4 others are. 1 phantom 1's valuation with 3 items. - control group received 29 out of 32 - group B received 16 - group D received 28.5 - group A received 25 - group C received 11 5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system has proved to display excellent image quality except group B and C. 2. Phantom 2'S valuation with 4 items - control group received 38 out of 38 - group B received 16 - group D received 38 - group A received 30 - group C received 12.5 Even with phantom 2, group Band C has displayed poor image quality Conclusion: Both experiments using phantom 1 and 2 have shown that the most strong factor that control and influence the image quality are the filming equipments. Especially, the developing system has most powerful influence above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