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하브루타 교수전략의 실행 경험

        강상욱 ( Kang¸ Sangwook ),양광희 ( Yang¸ Kwanghee ),이영석 ( Lee¸ Young Su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스키 실기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 중 ‘짝 가르치기’의 적용이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미치는 효과성을 탐색하고 교원 양성기관에서 체육실기 교과를 지도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체육수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일간의 스키 집중수업기간에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으며, 하브루타 방식의 스키수업 참여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에 해당하는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상담학급 운영, 학교업무 행정, 교직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학습효과 측정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개방형 설문에 대해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각 영역별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짝과의 상호 피드백을 통해 교수기술 향상 및 학습효율과 수행능력 향상 등 교육과정 수업전문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심 고양 및 라포 형성, 학습자의 어려움 체험 등을 통해 상담학습 운영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키수업 체험, 짝 가르치기를 통해 예비교사로서 예행연습이 되었으며 체험학습 기획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 학교업무 행정 역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창의적인 교수방법이 고안되었으며, 새로운 지도법에 대한 도전정신을 자극하여 교직소양이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발달시켜야 하는 교육대학교 스키 실기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고 실제로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교원양성기관 및 교수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guiding physical education practice courses at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through the search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peer learning" amo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y of education ski practical classes on the key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60 students during the four-day intensive ski class, and then open surveys were conducted. The data analysis was categor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for open survey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feedback with a partner strengthens the curriculum expertise such as improving teaching skills, learning efficiency, and performance skills. Second, the ability to operate counseling and learning is strengthened through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spirit and Lapo, and the difficulty experience of learner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rehearsal has been conducted as a preliminary teacher through ski class experience and peer learning, and that the administrative ability of school work has been improved due to confidence in the planning ability of experience learning. Finally, its own creative teaching methods were devised, and teaching skills were developed by stimulating the spirit of challenge to the new teaching methods. Through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n university of education ski practical classes h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key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se finding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ors.

      • KCI등재

        세종 전자사전과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강상욱(Sangwook Kang),김민호(Minho Kim),권혁철(Hyuk-chul Kwon),전성규(SungKyu Jeon),오주현(Juhyun Oh)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7

        21세기 세종계획을 통하여 개발된 세종 전자사전은 한국어 어휘의 내재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정보를 담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텍스트 사전이 가지는 전산적 표상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자연언어처리 분야에서 끊이지 않는 문제인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 문제 또한 세종 전자사전의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지만, 실제 제시된 문형과 논항의 선택제약 명사로는 어의 중의성 해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전자사전의 용언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한 어의 중의성 해소의 한계점을 보이고, 한국어 어휘의미망(Korean Lexico-semantic network)을 이용하여 논항의 선택제약 정보를 일반화한다. The Sejong Electronic(machine readable) Dictionary, which was developed by the 21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a systematic of immanence information of Korean words. It helps in solving the problem of electronical presentation of a general text dictionary commonly u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problems can also be solved using the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as a limitation of suggesting structure of sentences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In this paper, we discuss limitations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by using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as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 selection-restricted noun of argument using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 KCI등재

        점성토 지반에 시공된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 산정

        강상욱(Kang, Sangwook),이동현(Lee, Donghyun),정동혁(Jung, Donghyuk),한택희(Han, Taek Hee),안재훈(Ahn, Jaehun) 한국지반공학회 2024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40 No.2

        세계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주거 공간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인류 거주 영역의 새로운 대안과 해양 환경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해저 공간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석션 케이슨 기초는 해저 공간 개발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기초 유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해양 환경하에 조합하중이 가해진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을 산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의 지반은 깊이에 따라 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점토 지반으로 가정하였으며, 점토의 구성모델로 von Mises 모델을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파괴포락선의 형태는 기울어진 타원의 형태를 나타냈다. 깊이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의 증가 추세가 커지는 경우, 파괴포락선은 장축과 단축의 비율은 유지되며 크기가 증가하였다. 길이 대 직경비가 다른 두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을 비교했을 때, 길이 대 직경비가 증가함에 따라 석션 케이슨 기초의 파괴포락선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해석 결과는 해양 환경에서 석션 케이슨 기초의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lobal increase in population and subsequent scarcity of terrestrial living spaces necessitates explo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underwater living areas provides promising avenues for the expansion of human living spaces and the use of marine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ilure envelope of suction caisson foundations subjected to combined loads in a marine setting, utiliz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foundation is assumed to be embedded in clay characterized by a linear increase in undrained shear strength with depth, employing the von Mises constitutive model for the clay. The resulting failure envelope is represented as a tilted ellipse which expands a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increases, maintaining a constant ratio between the major and minor ax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suction caisson foundations with varying length-to-diameter ratios revealed that this ratio influences the dimensions of the failure envelope, with a tendency for the major-to-minor axis ratio to increase as the length-to-diameter ratio increases. These findings are critical for the design of suction caisson foundations in offshore environments.

      • KCI등재

        세종 전자사전과 준지도식 학습 방법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강상욱(Sangwook Kang),김민호(Minho Kim),권혁철(Hyuk-chul Kwon),오주현(Jyhyun Oh) 한국정보과학회 201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2 No.2

        국립국어원의 주관으로 10년에 걸쳐 구축된 21세기 세종 계획의 결과물들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자연언어 처리 시스템 및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21세기 세종 계획의 결과물 중, 세종 전자사전은 한국어 어휘의 내재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정보를 담고 있어 세종 전자사전 내의 상세정보를 이용하여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 규칙을 구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의 특성상 다양한 문형과 논항이 출현할 수 있으므로 문형과 논항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을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 전자사전의 용언 하위범주화 정보와 한국어 어휘의미망(Korean Lexico-semantic Network)을 이용하여 구축한 어의 중의성 해소 규칙을 준지도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논항의 선택제약 정보를 확장 및 일반화한다. The Sejong Electronic(machine-readable) Dictionary, developed by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systematically organized information on Korean words. It helps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electronic formatting of the still-commonly-used hard-copy dictionar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has a limitation relate to sentence structure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This paper discuses the limitations of word-sense disambiguation(WSD) that uses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d selectionrestricted nouns from the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An alternative method that utilized semi-supervised learning, the chi-square test and some other means to make WSD decisions is presented herein.

      • 다양한 스타일의 비사실적 렌더링을 위한 스트로크 텍스처 제어

        강상욱(Sangwook Kang),박경주(Kyoungju Park)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는 입력된 영상을 다양한 스타일의 비사실적 렌더링 결과로 나타내기 위해 스트로크 텍스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된 영상을 밝기 차에 의한 에지의 강도에 따라 단계별로 레이어를 구분하고, 각각의 레이어에 다른 속성을 갖는 텍스처를 적용 시킨다. 텍스처의 방향은 입력영상의 흐름정보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적용하고, 영상의 흐름 방향에 따른 해당 픽셀의 지역적인 곡률을 사용하여 텍스처의 길이를 제어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단조로운 부분은 단순화 하여 추상적인 표현을 하고, 세밀하게 그려져야 할 부분은 표현의 정확성을 높여 형체와 외곽선을 유지하여 대상을 명확히 묘사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n-photorealistic rendering technique that renders image into the various styles. Depending on the image edge magnitude and divide step-by-layer, each layer having different properties applies a texture. Orientation of the texture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input image edge flow,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ocal curvatur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texture. Using this method, the area of which the monotonous part is abstractly described. The details of the shape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우수등재

        가속고장시간모형을 이용한 우중도절단된 생존자료의 분석

        강상욱(Sangwook Kang),김규현(Kyu hyun K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6

        준모수 가곡소장시간모형은 로그화된 생존시간과 공변량벡터간에 선형관계를 가정한다. 직관적인 형태와 공변량의 효과를 생존시간에 대해 직접적으로 모형화하는등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Cox 모형에 비해 우중도절단된 생존자료의 분석에는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어 왔다. 가장 큰 이유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추정량의 계산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프트웨어의 부재였는데 2000년대 중반부터 많은 발전을 이루어 이런 문제가 많이 해소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속고장시간모형, 특히 준모수적 가속고장시간모형의 통계추론방법에 대해 근래 제안된 방법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Semiparametric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 postulate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log-transformed failure time and a set of covariates. Since covariates work directly on the failure time, the effects of covariates are easy to understand. Despite these merits, the model has been less popular than the Cox model in analyzing rightcensored failure time data. It is mainly due to the inefficiency and instability in calculating model parameter estimates and lack of computer software implementing these methods. Since the mid 2000, these problems have been dramatically reduced with the emergence of some promising methods. In this paper, we review recently developed statistical inference procedures for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 with focusing on semiparametric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