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조규대,김상우,강기홍,이충일,김동선,최윤선,최광호,Cho Kyu-Dae,Kim Sang-Woo,Kang Gi-Hong,Lee Chung-Il,Kim Dong-Sun,Choi Yun-Sun,Choi Kwang-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동해의 오징어 어획량이 급증한 최근 $1990{\sim}1999$년 기간에 주목하여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 변동과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동해에서 오징어 어획량의 경년변화 특징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에 감소하고 1980년대 후반에 증가하였다. 이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regime shifts의 변동과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어획량은 9-12월까지 풍어기, 3-5월 사이가 흉어기를 보이고, 최대 어획량은 10월에, 최소어획량은 4월에 나타났다. 해구별 안정 어장의 지표로 제시한 변동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이 1.0 이하로 매년 안정된 어장은 구릉포 연안역과 울릉도 주변해역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오징어의 최대 어획적수온 $16^{\circ}C$를 기준으로 한 어획적수심은 해역이 북상함에 따라 얕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해역에 따라 조업시의 어획적수심에 대한 차등성을 둘 필요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조업 어장과 수온의 관계는 흉어기인 4월에 $10{\sim}14^{\circ}C$이고, 풍어기인 10월에 $10{\sim}20^{\circ}C$의 범위로서 오징어 어장 형성은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역의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scribed relationships between fluctuation of fishing conditions for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s in the East Sea from 1990 to 1999. Annual catches of common squid have been higher since the late 1980s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late 1970s to the mid-1980s. These catches fluctuations might be related to the effect of regime shifts. Monthly catches of common squid appear the timing of a large catch from September to December and a poor catch from March to May. The monthly catches are also the highest in October and are the lowest in April. Annual stable fishing grounds for coefficient of variation below 1.0 are formed in waters around Guryongpo and Ullung Island Based on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catch, $16^{\circ}C$, optimum water depth for catch shallow going north. It indicates that the optimum water depth of fishing work different of each area Fishing ground formation and horizontal water temperature appear the minimum $10{\sim}14^{\circ}C$ in April, the maximum $10{\sim}20^{\circ}C$ in October. If seem, that seasonal fluctuation of fishing ground is related to the extens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East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