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공치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김용억,명정구,최상웅 한국수산학회 198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7 No.2

        The horn fish, Hemiramph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apan and Taiwan. On April 13, 1983, mature adults of the horn fish were collected from Changson channel, Namhae. The authors carried out artificial insemination on the field, and incubated the eggs and reared larvae in the laboratory. And these larvae were reared for about two weeks in glass jars, fed brine shrimp nauplii. The eggs of this species are demersal and adhesive, with 4 to 6 filaments at the animal pole and a filament at the vegetal pole. the diameter of these eggs varies 1.80 to 2.00mm. The hatching took place in ca. 376 hours after fertiliz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13.5�� and 20.0��.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elongate in shape 7.40~8.00mm in total length with 10+16~17=56~57 myomers. Many melanophore were distributed on the head, both sides of dorsal body contour, peritoneum and ventral line of the tail part. Four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from 9.00 to 9.65 mm in total length, at this time the larvae absorbed the yolk completely, and became postlarvae. Fourteen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attained 13.25mm in total length, with 14 rays of the dorsal fin, 13 rays of the anal fin, and 4 rays of pectoral fin. The lower jaw has somewhat projected.

      • 한국産 밀복屬과 은띠복屬(國名新稱) 魚類의 分類學的 硏究

        韓景鎬,金容億 여수대학교 1998 論文集 Vol.12 No.2

        The taxonomic revision of the six species(L. lunaris, L. goloveri, L. wheeleri, L. inermis, L. laevigatus and P. sceleratus) of the genera Lagocephalus and Pleuranacanthus from Korea carried out based 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Six species representing 2 genera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in Korea redescribed, and provisional keys to species were provided. Of thses, 2 species are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They are Lagocephalus laevigatus (Linnaeus) and Pleurancanthus sceleratur (Gmelin). Lagocephalus inermis differs from the other four congeneric species, since it shows different synapomorphic characters of the black gill slits and prickles. The Genus Pleurancanthus has different characters of body form, meristic and measurements characters, and lateral line system in Lagocephalus, therefore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Genus rank.

      • 가리비(Scallop)採苗의 開發 硏究

        柳晟奎,朴炅洋,金容億 釜山水産大學校 1979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19 No.2

        1973년, 1978년 및 1979년의 3개년 간에 걸쳐 영일만에서 가리비 채묘의 개발연구로서 부유유생, 채묘 및 종묘의 성장 등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가리비가 서식하고 있는 영일만의 저층 수온의 연간 변화는 10∼19℃였고, 저층염분농도의 연간 변화는 32.58‰∼34.55‰였다. 부유유생이 나타나는 시기는 3월 초순부터 6월 중순 경까지이고,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였다. 채묘시기는 4월 10일 경부터 6월 하순 경까지이지만 그 성기는 5월 중순부터 6월 초순 사이였다. 채묘성적이 가장 좋은 해는 부유유생이 가장 많이 나타난 1979년 이었고, 채묘장소로 가장 좋았던 곳은 부유유생이 가장 많이 나타난 대동배 부근의 수역이었다. 가리비의 부유유생은 저층에 많고 표층으로 가면서 급격히 줄어든다. 저층에서부터 위로 4m 수층 및 8m 수층까지 사이에는 전체수층에 나타난 유생수에 대해 수심 24m인 곳은 40% 및 80%, 수심 16m인 얕은 곳은 50% 및 90%를 각각 차지했다. 채묘수층인 치패의 부착층은 저층 가까이에 가장 많이 부착했고, 표층으로 올라가면서 급격히 적어지는데, 이는 부유유생의 수직분포 경향보다 더욱 심한 편이기 때문에 채묘수층은 저층에서부터 위로 8m 수층 사이라야 한다. 종묘의 성장은 4월 초순에 채묘한 경우 각장이 2개월만에 0.8∼4.4mm(평균 1.9mm), 4개월 만에 3.6∼18.5mm(평균11.3mm) 및 8개월만인 12월에는 14.9∼32.5mm(평균24.5mm)로 각각 성장하는데, 성장이 빠른 것은 12월 경에 종묘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종묘의 관리나 양성하는 수층은 저층 가까이의 수온은 주년에 걸쳐 성장에 알맞는 범위로서 안전하지만, 표층은 한 여름에 위험수온 이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한다. Distribution of drifting larvae, spat collection and growth of the spats of Patinopecten yessoensis were studi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of seed scallop production in Yeong-il Bay in 1973, 1978 and 1979. The larvae appeared from early from early March to mild-July with maximum abundance from mid-April to early June. The highest density of the drifting larvae was observed in the vicinity of Daedongbae,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spats were settled on the unit collector in this area in 1979 compared to the other years. High density of the larvae was observed in the lower layer of the water culumn, and the settling layer was also within the larval aggregation layer. Regardless to the depth of the water column, most larvae(>80-90%) was aggrigated in the bottom most 8 m depth layer, and the maximum settlement was observed in the layer near the bottom. The larvae began to settle on the collector from early April to late June in Yeong-il Bay. The favorable time of spat collection is mid-May to early June. The mean shell length of the spat collected in April attained to 1.9 mm(0.8-4.4 mm) in 2 months, 11.3 mm(3.6-18.5 mm) in 4 months and 24.5 mm(14.9-32.5 mm) in 8 months. In Yeong-il bay surface water temperature in August was usually higher than 25℃. Bottom water temperature range was 10-19℃, and bottom water salinity, 32.58-34.55‰. The scallop do not susta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 over 23℃. In Yeong-il Bay the seed scallop culture should be performed in the bottom layer where the annual water temperature do not exceed 19℃.

      • 흰베도라치, Enedrias fangi(Wang and Wang) 稚仔魚期의 形態 및 골격발달에 관한 硏究

        유재명,金容億 釜山水産大學校 1985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25 No.2

        黃海에 주로 棲息하는 種으로서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채집된 흰베도라치의 仔魚後期부터 未成魚期까지의 體長에 따른 外部形態, 골격의 骨化시기 및 形態의 變化를 硏究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흰베도라치는 모든 지느러미의 줄기가 定數에 달하는 體長 40mm 이후에 稚魚期로 移行되며, 體長 94mm에 未成魚期로 된다. 초기발육단계에 있어서는 그 形態 變化幅이 크며, 대체로 體長 30mm 전후의 後仔魚期에 급격히 형태가 발달하며 變態期를 맞는다. 本 種의 分類形質이 되고 있는 頭部비늘의 有無, 가슴지느러미 길이, 黑色素胞의 形態는 초기발육단계에서 그 變化가 심하므로 초기발육단계의 分類形質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體長에 따른 골격의 형성시기 및 變化는 體長 20mm 전후에서 먹이섭취, 운동 및 호흡에 관여하는 顎骨, 脊椎骨, 內臟骨 들이 대체로 骨化가 빨리된다. 그 밖의 골격은 體長 40mm 이전에 대부분 骨化되며, 제일 늦게 骨化되는 부분은 배지느러미를 지지하는 腰帶骨로서 體長 40mm 전후에서 骨化된다. The external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s related to the body length of Enedrias fangi were studied for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Yellow Sea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hrough July, 1982. Transformation from post larval stage to young stage take place at about 30mm BL, and young stage to immature stage take place at about 94mm BL. The degree of morphological change of E. fangi is accelerated during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especially the period of the BL between 25mm and 30mm. Accordingly, it seems that the metamorphosis takes place at this stage. The general sequences of ossification take place at about 15-20mm BL, first from the jaws, vertebral column and visceral skeletons, which are known to be essential for feeding, movement and respiratory functions. These followed by most of cranial bones, suspensorium and fin and fin supports, etc.

      • 돌돔, Oplegnathus fasciatus(Temminck et Schlegel)의 卵發生 및 仔稚魚期의 形態

        高正樂,金容億 釜山水産大學校 1992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32 No.2

        1991年 7月 6日에 제주도 한림 水産振興院 水産種苗 培養場과 1991年 6月 19日 경남 통영군 산양면에서 自然産卵하여 얻은 受精卵의 卵發生過程과 仔稚魚의 成長에 따른 外部形態와 내부골격의 骨化過程을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受精卵은 1개의 油球를 가지는 分離浮性卵으로서 卵徑은 0.85±0.03 ㎜(n=20)였으며, 油球徑은 0.20±0.01 ㎜(n=20)이고, 水溫이 22.2℃에서 受精卵은 약 36時間만에 孵化하였다. 孵化直後의 仔魚는 全長이 平均 1.75㎜로 卵黃을 가지고 등쪽 막지느러미에 4∼6개의 黑色素胞가 있으며, 體表에는 黑色素胞와 黃色素胞가 골고루 분포한다. 孵化後 27日째 全長이 平均 10.42㎜에 달하면 기條數가 D.ⅩⅠ∼ⅩⅡ, 18,A. Ⅲ - 11, Ⅴ.4,C.9+9,P.14로 定數에 달하여 稚魚期로 移行하다. 頭蓋骨 및 內臟骨의 骨化는 孵化後 6日째(全長 3.74㎜)부터 처음으로 骨化가 시작되며 孵化後 34日째(全長 14.53㎜) 稚魚期에 달하면 대부분의 골격이 완성된다. 脊椎骨의 椎體는 後期稚魚期때가 되어서야 骨化가 일어나며, 腹椎骨의 중앙부에서 腹部 앞으로, 그리고 尾部로 骨化가 진행되며, 神經棘이 血管棘보다 먼저 骨化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어류에 있어서 골격의 발달은 攝餌와 呼吸에 關聯된 部位부터 먼저 骨化가 일어 나는데, 돌돔의 경우에는 攝餌物이 미소하여 呼吸器 보다는 顎骨 부위의 骨化가 늦었다. 後期仔魚期에서 부터 빠른 속도로 骨化가 되어져 孵化後 35日째(全長 15.51㎜)에 달하면 골격이 完成된다. In July 6, 1991,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embryonic development, morphology, and ossification of skeleton process according to growth of larvae and juveniles of naturally spawned eggs at Che Ju island and Chung Mu is shown. A mature eggs with oil globule has a diameter of 0.85�0.03 ㎜(n=20), the oil globule diameter of 0.20�0.01 ㎜(n=20). Hatching takes 36hrs at 22.2�. The newly hatched larvae reached 3.75 ㎜ in total length, approximately, and possess yolk sac, about 4�6 melanophore at dorsal memberanous fin and distributed melanophore and xanthophore on body surface. Twenty seven days after hatching, the juveniles measured 10.42 ㎜ in mean total length, and each fin ray was identical with the juveniles, D.ⅩⅠ~ⅩⅡ, 18,A. Ⅲ-11, Ⅴ.4,C.9+9,P.14. Six days after hatching(T.L. 3.74㎜), ossification of cranium and visceral skeleton have occured and reached the juvenile stage, thirty four days after hatching(T.L. 14.53㎜), all bone was ossified. Ossification of vertebrae of centrum have occured in post larva stage. At first, ossification of skeleton occuring at the parts of related respiration, so that ossification of respiratory organ is faster than maxilla because the size of food is very small. From the post larvae skeleton development, after thirty five days of hatching(T.L. 15.51㎜), skeleton formation was completed.

      • 참복科 魚類의 外部形態와 내부골격 比較

        金英燮,金容億 釜山水産大學校 1985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25 No.1

        참복科 魚類中 3屬 11種에 대하여 外部形態, 皮膚棘 및 내부골격 등의 特質을 比較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外部形態面에서 Liosaccus cutaneous는 다른 모든 種에 비해 肛門이 현저히 뒤쪽에 位置하며, 頭長은 큰데 반해, 兩眠間隔은 좁게 나타나고, 또한 Lagocephalus lunaris와 함께 Fugu sp. 들 보다 꼬리자루의 높이가 낮다. 2. 실험된 11種中 Liosaccus cutaneous, F.paradalis, F. vermicularis radiatus 및 F. vermicularis porphyreus 등은 피부가시가 存在하지 않으며, 피부가시를 가지는 種中 Lagocephalus lunaris와 F.stictonotus는 다른 種들에 비해 배쪽가시가 등쪽가시보다 크기가 훨씬 크고 뿌리도 잘 發達되어 있다. 3. 頭蓋骨에서는 鋤骨, 篩骨, 額骨 및 副楔骨에서 種間에 뚜렷한 形態的 差異를 보이는데, Lagocephalus lunaris는 篩骨이 등쪽에서 鋤骨을 완전히 덮고 있어 直四角形을 나타내며 額骨의 뒤쪽이 연장되어 翼耳骨에 닿아 있고, F. pardalis는 다른 種들에 비해 副楔骨이 크고 아래쪽에는 작고 둥근 2개의 突起가 나와 있다. 4. Liosaccus cutaneous와 Lagocephalus lunaris는 前上顎骨의 위쪽 突起가 三角形 모양이고, Fugu sp.은 막대기 모양이며 앞쪽으로 약간 굽어 있다. 齒骨은 대부분 날카로운 부리 모양이나 F. pardalis만이 그 끝이 뭉툭하다. 5. 懸垂骨中 주새개골의 위쪽 突起와 간새개골의 아래쪽 突起는 Liosaccus cutaneous, Lagocephalus lunaris, Fugu sp. 順으로 길고 날카롭게 突出되어 있다. 6. 肩帶骨中 後鎖骨 下骨片의 形態는 Liosaccus cutaneous가 마름모꼴, Lagocephalus lunaris가 중앙부가 두꺼운 가지모양, Fugu sp.가 가는 막대기 모양을 나타낸다. 7. 脊椎骨數는 18∼23개 범위로 Liosaccus cutaneous가 18개로서 가장 적었으며, F. pardalis는 제1椎骨에서 第5椎骨까지 神經棘이 쌍으로 存在하고 나머지 種에서는 第4椎骨까지 쌍으로 되어있다. 尾椎骨의 血管棘은 Liosaccus cutaneous가 가장 발달 狀態가 나쁘며 첫 번째, 두 번째 血管棘이 거의 직선적으로 뒤로 뻗어 있다 The specimens belonging to eleven species (3 genera) of Tetraodontidae were collected at Pusan Cooperative Fish Market to investigate the body form, spinous scale and osteology comparatively from January 1983 to January 1984. Of the species studies, Liosaccus cutaneous, has the largest head, and the anus was located most posteriorly. Among seven species which have spimous scales, Lagocephalus lunaris and Fugu stictonotus have larger ventral spinous scales than dorsal ones. Fugu pardalis has two characteristic small-orbicular processes on the bottom margin of its large paraspenoid. Upper processes of opercle are elongated with sharply pointed tip in Liosaccus cutaneous, Lagocephalus lunaris and Fugu sp. and in that order. Posterior postclavicle is rhomboid in Liosaccus cutaneous, eggplant-shaped in Lagocephalus lunaris and bar-shaped in Fugu sp. The number of vertebrae ranged from 18 to 23 with the minimum of 18 in Liosaccus cutaneous. Paired neural spines appear at Nos. 1-5 vertebrae in Fugu paradalis and at Nos. 1-4 vertebrae in the other species. The first and second haemal spines of Liosaccus cutaneous are almost linearly extended backward.

      • 척수손상 흰쥐에서 수영훈련이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용억,김경윤,Kim, Young-Eok,Kim, Kyung-Yo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7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3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DNF has a role in plasticity and survival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and treadmill exercise increases BDNF levels in the normal brain and spinal cord.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swimming exercise improve motor function following experimental contusive spinal cord injury and whether motor outcome is associated with BDNF expression. Methods: Thirty six Sprague-Dawley rats (weight, 250 to 300 g) were divided into control (n=18) and experimental swimming group (n=18). Spinal cord injury was produced using NYU-spinal impactor at the eleven thoracic levels in both groups. Swimming exercise started $7^{th}$ day from SCI operation, lasted 5 min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and then exercise times a day were increased in one number to each week. Motor functional recovery was determined by the Basso-Beattie-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modified inclined board plane test, histological findings, H&E and BDNF expression observed at $1^{th}$, $3^{rd}$, $7^{th}$, $14^{th}$, $21^{st}$ and $28^{th}$day after injury. Results: 1. The BBB scores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14^{th}$, $21^{st}$ day (left hind limb) and at $21^{th}$ day (right hind limb) (p<0.05) after injury. 2. The inclined board plane tes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7^{th}$ day (p<0.05), $14^{th}$ and $28^{th}$ day (p<0.01) after injury. 3. The BDNF expression was severe revealed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7^{th}$, $14^{th}$ and $28^{th}$ day after injur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wimming applied from the early phase after spinal cord injury be beneficial effects in motor functional recovery.

      • KCI등재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 1 .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 3종 , 자리돔 Chromis notata , 노랑자리돔 C . analis , 연무자리돔 C . fumea 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1 . External Morphology of Three Damselfishes of the Genus Chromis ( Teleostei : Pomacentridae ) from the Korean Water

        김용억,김진구 한국어류학회 1996 韓國魚類學會誌 Vol.8 No.2

        1993션 4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남해안 등지에서 채집된 자리돔속 Chromis 어류 3종, 자리돔 Chromis notata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 노랑자리돔 Chromis anlis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검토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노랑자리돔은 체장에 대한 체고의 비가 자리돔과 연무자리돔에 비해 크며, 자리돔은 채집지역에 따른 형태적 변이를 보였는데 제주도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가 삼각형에서 원형으로 되며 배지느러미의 길이는 더욱 짧아졌다. 연무자리돔은 자리돔과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의 유무, 전새개골의 형태에서 서로 달랐다. 본 조사에서 자리돔은 남해안 및 제주도에 걸쳐 광범위하게 서식하며, 노랑자리 돔과 연무자리돔은 제주도에만 서식하였다. External morphology of three species of damselfishes, Chromis notata, C. analis and C. ficmea were studied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from the Korean waters from 1993 to 1994. In morphology of the black spot at base of pectoral fins, C. notata has a large triangluar spot at Cheju population and a small circular spot at Sin - am. In the length of pelvic fin, C. notata of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First group has a pelvic fin that extends to the origin of anal fin, second extends to the anus, third not extend to the anus. C. analis has higher body depth than C. notata and C. fumea in % of standard length. C. fumea has a minute serrate preopercle and no black spot at base of pectoral fins. In distribution, C. notata has a more widly distriubtion area than C. analis and C. fumea. Therefore, C. notata has more tolerance of cold waters than C. analis and C. fumea.

      •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초기생활사 : ll. 仔稚魚의 골격발달 ll.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韓景鎬,金容億 여수대학교 1998 論文集 Vol.13 No.2

        넙치 친어를 1995년 5월 19일 오전 8시에 경상북도 포항시 종묘배양장에서 건식법으로 인공수정한 후 수정난에서 孵化한 仔魚를 사육하면서 孵化後 50일까지 매일 10개체를 무작위 추출하여 5% 중성 formalin에 고정시킨 뒤 표본을 염색하여 성장에 따른 골격의 정상적인 發達 過程을 관찰하였다. 1. 孵化後 6∼7일째인 全長 3.75∼3.87㎜의 仔魚에서 額骨과 頭蓋骨이 가장 먼저 骨化되기 시작한다. 2. 脊椎骨은 腹椎骨이 먼저 發達하여 尾椎骨 쪽으로 骨化가 진행되며 각 椎骨에 대응하는 神經棘과 血管棘이 椎體보다 먼저 骨化한다. 3. 腰帶骨은 肩帶部의 鎖骨 下部에 접착되어 있다. 4. 담기골은 脊椎骨과 각 지느러미 연조가 거의 완성된 후에 骨化한다. 5. 尾骨의 尾部棒狀骨은 앞의 椎體와 거의 동시에 骨化하기 시작한다. 6. 모든 내부 골격은 全長 14.60∼20.90㎜ 전후(孵化後 40∼50일째)에 肩帶骨과 腰帶骨이 완전하게 骨化됨으로서 모두 완성된다.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used in the experimental were caught at Pohang brook was performed in May 19, 195 and hatched larvae were reared for 50 days to describe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ssification of the cranium took place at 4.75㎜ of mean total length(MTL) in frontal, supraoccipital, parasphenoid and sphenotic. Ossification of the viseral skeleton occurred in areas where active movements of bones were required, notable in the parts for feeding(premaxillary, dentary, articular) and respiration(opercle, prepercle). Vertebrate began to develop from the anterior end and to ossify posteriorly. Neural and haemal spines of vertebrae ossified always prior to the corresponding centra. In jaw bones, maxillary and a part of dentary appeared first at 4.75㎜ of MTL and attained a fundamental structure at 6.47㎜ of MTL. Ossification of all bones was nearly completed at 16.80㎜ in MTL(45 day after hat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