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공치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김용억,명정구,최상웅 한국수산학회 198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7 No.2

        The horn fish, Hemiramph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apan and Taiwan. On April 13, 1983, mature adults of the horn fish were collected from Changson channel, Namhae. The authors carried out artificial insemination on the field, and incubated the eggs and reared larvae in the laboratory. And these larvae were reared for about two weeks in glass jars, fed brine shrimp nauplii. The eggs of this species are demersal and adhesive, with 4 to 6 filaments at the animal pole and a filament at the vegetal pole. the diameter of these eggs varies 1.80 to 2.00mm. The hatching took place in ca. 376 hours after fertiliz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13.5�� and 20.0��.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elongate in shape 7.40~8.00mm in total length with 10+16~17=56~57 myomers. Many melanophore were distributed on the head, both sides of dorsal body contour, peritoneum and ventral line of the tail part. Four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from 9.00 to 9.65 mm in total length, at this time the larvae absorbed the yolk completely, and became postlarvae. Fourteen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attained 13.25mm in total length, with 14 rays of the dorsal fin, 13 rays of the anal fin, and 4 rays of pectoral fin. The lower jaw has somewhat projected.

      • KCI등재

        넙치 ,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기아시 형태변화

        김용억,명정구,김형선,김병기 한국어류학회 1992 韓國魚類學會誌 Vol.4 No.1

        1990년 3월 한국해양연구소 수조실에서 넙치 수정란을 부화, 사육시키면서 기아시 넙치자어의 형태 변화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넙치자어는 부화 5일째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무급이구는 부화 11일째 100% 사망하였다. 부화 6일째(1일기아) 먹이를 투여하였던 실험구는 급이구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으며, 7일째 이후 먹이를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13∼14일에 100% 사망하였다. 2. 넙치자어는 기아시 전장, 근절높이, 장 높이가 감소 성장하였으며 이중 장의 높이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3. 정상과 기아개체 사이의 어체 각 부위에 대한 비율중에서 장 높이/근절 높이(GH/MH)가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내었으며. 부화 13일 후 정상개체가 0.797, 기아개체는 0.467이었다. 4. 기아상태의 자어는 턱이 뾰족해지며, 쇄골의 아래 끝이 튀어나오고, 장이 가늘게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starvation on morphological change and survival rate of the left eye flounder larvae was examined at the KORDI laboratories in March, 1990. 1. The larvae of left eye flounder began of feed on rotifers in 5 days after hatching. In case of non-feeding, all of the larvae died in 11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hich fed 1 day after the normal first feeding schedule grew normally but 100 of the larvae died in 14 days when the feeding was delayed for 2 days after hatching. 2. With the exhaustion of the yolk, the total length, body length, myotome height and gut height of unfed larvae decreased. Gut height is the most decreased demensions while starving. 3. The ratio of gut height to myotome height in unfed larvae has declined most rapidly compare to other demensions during the starvation. At 13 days after hatching, the ratios of these between fed and unfed larvae were 0.797 and 0.467, respectively. 4. The morphology of starving larvae were characterized as sharpened jaw, projected edge of lawer part of clavicle and slender gut.

      • KCI등재

        한국산 놀래기과 어류 2미기록종

        김용억,명정구,고정락 한국어류학회 1995 韓國魚類學會誌 Vol.7 No.1

        1993년 4월 부터 1993년 8월중 제주도에서 놀래기科, Labridae 어류 가운데 Cheilio inermis(1개체)와 Labroides dimidiatus(2개체)가 채집되어 표본의 계수, 계측형질을 기재하고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Labroides dimidiatus는 Cuvier와 Valenciennes(1839)에 의해 Cossyphus dimidiatus로 기재된 후 Randall에 의하여 1958년에 Labroides屬으로 재검토되었다. 특히 이들 어류는 다른 어류의 아가미나 구강내 또는 외부에 기생하고 있는 기생충을 포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본 종의 한국명은 "청줄청소놀래기"로 명명한다. Cheilio inermis는 Forsska˚l (1775)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고 놀래기科 어류의 특징인 측선이 체측의 말단부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체장이 체고의 6배 이상으로 상당히 신장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놀래기科 어류들과 잘 구별된다. 본종의 한국명은 "꼬치놀래기"로 명명한다. Labrid fishes, Cheilio inermis and Labroides dimidiatus were collected around Cheju Island, between April - August, 1993, and described herewith as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Labroides dimidiatus was originally described as Cossyplus dimidiatus by Cuvier and Valenciennes(1839), then reclassified as genus Labroides by Randall(1958). Underwater observations of Labroides dimidiatus have revealed the unusual food habit of removing ectoparasites from other fishes. Cheilio inermis was originally described by Forsska˚l(1775).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labrid fishes by the continuous lateral lines and elongated body form.

      • KCI등재

        뚝지의 난발생과 자치어

        김용억,명정구,박양성 한국수산학회 198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0 No.2

        1960년 1월 16일 강원도 명주군 옥천면 금진3리 앞 500m 해상에서 3중자망으로 채포한 뚝지를 사용하여 선상에서 인공수정시킨 후 실험실로 운반 사육하면서 난발생과정 및 자치어의 형태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난경이 2.28~2.36mm로서 담유백색을 띤 구형의 침성점착란이다. 수조내의 사육수온은 7.5~21.4℃ 범위였으며 수정후 725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6.0~6.9mm로서 머리와 몸통이 크며, 배지느러미가 변형된 흡반이 형성되어 있고 수많은 흑색소포가 머리와 몸통부분에 발달한다. 부화후 17일째의 자어를 전장이 9.1mm이며 아가미 구멍은 가슴지느러미 기저 윗 부분을 제외하고는 융합되어있고, 꼬리 위에도 흑색소포가 나타난다. 부화후 31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10.6mm로서 각 지느러미 기조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로 되며, 제1등지느러미 가시는 소실된다. 부화후 105일째의 치어는 전장이 15.4~17.5mm이다.

      • KCI등재

        날치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 Ⅱ . 자치어의 골격발달 Ⅱ .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김용억,박양성 한국수산학회 198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0 No.5

        1986年 7月 14日 濟州道 牛島앞 海上에서 採捕한 날치親魚를 船上에서 人工受精시켜 實驗室로 운반하여 孵化·飼育한 仔稚魚의 成長에 따른 內部骨격의 發達過程을 觀察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頭蓋骨中에서 外後頭骨, 基底後頭骨, 副楔骨이 全長 5.06㎜에서 처음으로 骨化한다. 2. 脊椎骨은 앞쪽에서 뒤로 骨化가 進行되며 , 神經棘과 血管棘은 對應하는 椎體에 앞서서 骨化한다. 3. 尾部棒狀骨은 하나의 가는 骨로 이루어지며, 꼬리부분의 椎體보다 먼저 骨化한다. 4. 腰帶骨은 지느러미를 支持하는 骨中에서 가장 늦은 全長 7.23㎜에 이르러 처음으로 骨化한다. 5. 顎骨은 攝餌와 관련하여 頭部의 骨中에서 比較的 빨리 骨化하여 全長 7.23㎜에 이르러 基本的인 形態를 갖춘다. 6. 대부분의 內部骨격은 全長 20.01㎜에서 骨化가 거의 完了된다.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Prognichthys agoo was examined on the laboratory-reared materials of 5.06-20.01㎜ in mean total length(MTL). Cranium, vertebrae, caudal skeleton, shoulder girdle bone, pelvic girdle bone, pterygiophore and jaw bones were described in detail to examine the sequences of ossification. Ossification of the cranium took place at ca. 5.06㎜ of MTL in exoccipital, basioccipital, parasphenoid. Ossification of the visceral skeleton occurred in areas where active movements of bones were required, notably in the parts for feeding and respiration. Vertebrae began to develop from the anterior end and to ossify posteriorly. Neural and haemal spines of vertebrae ossified always prior to the corresponding centra. Urostyle bone developed as an elongated bone from the early larvae and ossified prior to the centra caudal part. In jaw bones, maxillary and a part of dentary appeared first at 5.06㎜ of MTL and attained a fundamental structure at 9.30㎜ of MTL. Ossification of all bones was nearly completed at ca. 20.01㎜ of MTL.

      • KCI등재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락 한국수산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앨퉁이,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79.52%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1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52.39%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갈양태속어류가 29.36%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쥐치, 조피볼락, 까나리 및 벵에돔이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4.3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연안쪽에 서는 온배수 영향으로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에서는 용승류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이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to Kori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1 to January, 1992. The dominant fish eggs included the eggs of Engraulis japonica, Maurolicus muelleri, Callionymus spp. and others. The eggs of Engrualis japonica and Maurolicus muelleri were 79.52% and 1.86% of the total eggs abundance, respectively. A total of 15 taxa of fish larvae were found. The dominant species was Eregraulis japonica accounting for 52.39% of the total larvae and followed by Callionymidae fish(29.36%). Other major species were Stephanolepis cirrhifer(6.30%), Sebastes schlegeli(3.16%), Ammodytes personatus(1.33%) and Girella punctata(1.70%). These 6 taxa constituted 94.30 of the total larvae collected. In this area, distributions of warm water had a great influence on larvae and juvenile distribution which usually is along the coast and the other places where there layer water movements since, upwelling in the open sea affects ichthyoplankton distribution.

      • KCI등재

        연어 , Oncorhynchus keta 의 난 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김용억,명정구 한국어류학회 1993 韓國魚類學會誌 Vol.5 No.1

        1989년, 1990년 12월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에서 채포한 연어로부터 수정난을 받아 양양내수면연구소와 한국해양연구소, 부화, 사육실에서 난 발생 과정 및 자치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수정난은 평균 난경이 7.2㎜이며 주황색, 적색을 띤 분리 침성난이다. 부화까지의 적산 온도는 480∼531℃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1.80∼2.56㎝범위이며 커다란 난황을 갖고 바닥에 누워 있었다. 부화후 35일이 지난 평균 전장 3.56㎝인 자어는 난황을 완전히 흡수하고 체측에 7∼11개의 parr무늬가 나타나 치어(fry)기에 이른다. 부화후 3개월이 지나면 평균 전장이 5.67±0.53㎝로 자라고 몸은 은색 광택을 띠면서 스몰트(smolt)가 된다. 연어의 초기 발육과정은 성장 체형의 변화로 미루어 1) 부상전의 자어기, 2) 부상기, 3) 스몰트기의 3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부상기에는 전장에 대한 주둥이, 몸통 길이, 체고의 비성장 속도가 빨랐다. In December of 1989 and 1990, matured adults of chum salmon were collected from Namdae-chun River in Yangyang-gun, Kangwon-do. Korea. Artificial insemination was made at captured locations. The fertilized eggs were hatched in trough incubators and the larvae were reared in laboratories of the Yangyang Fisheries Institute and the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The fertilized eggs of this species were demersal and separated, and red in color with mean diameter of 7.2㎜. The hatching took place from 480 to 531 degree(℃)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alevins were 1.80 to 2.56㎝ in total length with big yolk and lied on the bottom. In 35 days after hatching, the alevin attained 3.56±0.12㎝ in total length, and absorbed the yolk completely to become fry with 7 to 11 parr marks on the body. In 3 months after hatching, and the fries became smolt with silvery scales haring 5.67-6.53㎝ in total length. The early larval developments of chum salm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body shapes and length : larval stage before swim up, swim up stage and smolt stage. The growth of snout, trunk and body height to total length were faster than other body parts in swim up stage.

      • KCI등재

        아산만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김용억,한경호,강충배 한국수산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아산만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충 채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민어속 어류, 멸치,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민어속 어류의 난이 전체 어란 출현량의 97.7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2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조사 기간중 망둑어과 어류는 7종이 출현하여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32.84%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까나리가 16.69%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뱀장어, 민어속어류, 덕대 및 멸치가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0.4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내만쪽에서는 담수의 영향으로 아산호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 보다는 이들 기수 지역에서 많은 양이 출현하여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Asan Bay,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Bongo net at 8 stations from April, July and October of 1991, and January of 1992. The dominant fish eggs included the eggs of Nibea spp., Engraulis japonica, Callionymus spp., and others. The eggs of Nibea spp. and Engraulis japonica were 97.70% and 1.30 of the total egg abundance, respectively. Twenty three species of fish larvae were identifie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gobiid fishes accounting for 32.84% of the all fish larvae, and followed by Ammodytes personatus(16.69%). Other major species were Anguilla japonica, Nibea spp., Pampus echinogaster and Engrualis japonica. These 6 taxa constituted 90.40% of the total larvae col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