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 피조개의 채묘와 초기 성장

        류명숙,류성규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2

        1973년 8월 1일부터 1974년 4월8일까지 경남 창원군 구산면 석곡만에서 자연산 피조개의 치패를 채묘하여, 경남 거제군 사등면 사곡리 연안에 移殖하여 천연산 치패의 채묘 및 성장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1. 석곡만의 피조개 幼生의 出現量은 비교적 적었고 큰 量的 變動이 없었다. 그러나 길이 1.5m, 폭 12㎝의 짚으로 만든 섶부착기에 각각 200∼400개체의 유생이 부착한 점으로 보아 산업적인 채묘 방법으로서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부착 치패의 평균 각장은 1973년 9월17일 0,54㎜, 10월 21일 4.11㎜, 11월 25일 10.47㎜였고, 1974년 4일 8일에는 11.08㎜였다. 3. 각장(L)에 대한 最大放射肋길이 (R)의 관계식은 각장 2.5㎜ 이하일 때 R=0.7393 L -0.0080이었고 각장 2.5㎜ 이상일 때 R=0.8448 L -0.2491이었다. 또, 각장(L)에 대한 각폭(B)의 관계식은 각장 2.5㎜ 이하일 때 B=0.3505 L+0.527이었고 각장 2.5㎜ 이상일 때 B=0.4448+0.1722이었다. 이와 같이, 각장 2.5㎜ 부근에서 각장, 最大放射肋길이 및 각폭의 比成長에 변환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다. 4. 각장에 대한 전체 무게의 곡선식은 각장 16㎜ 이하일 때 Y=0.19957 X^(2.5726)이었고 각장 16∼20㎜ 일 때 Y=0.20602 X^(2.8400)으로서 각장 16㎜ 부근에서 성장비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9 남해안의 피조개유생에 관하여(1974년도)

        류명숙,류성규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4

        우리나라의 沿岸淺海開發을 위한 貝類養液事業은 近年에 와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피조개養殖業은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이 피조개 養殖을 施行함에 있어 가장 큰 問題点은 種苗確保인데, 피조개 稚貝生産의 基礎調査의 하나로써 1974년 7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全南 得粮灣 일대, 全南 高興郡 羅老島 연안, 西部 鎭海灣, 中部 鎭海灣, 閑山灣 일대의 피조개 幼生의 出現狀況을 調査했다. 그 結果, 1) 例年보다 낮은 水溫으로 因해 全般的으로 幼生외 出現時期가 늦어졌다. 2) 得粮灣의 內灣側에는 피조개幼生이 보이지 않았고 多量의 새꼬막幼生群이 나타났다. 3) 幼生出現群이 많았던 곳은 巨濟郡 加助島 일대 및 鎭海內灣을 위시한 鎭海灣 일대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東醫寶鑑』에 나타난 錢乙의 五臟辨證 硏究

        柳明淑(Lyou Myung Sook),車雄碩(Cha Wung Seok),金南一(Kim Nam Il) 한국의사학회 2004 한국의사학회지 Vol.17 No.1

        In Dongeuibogam『東醫寶鑑』, Qian Yi(錢乙)’s 〈Wu Zang Bian Zheng-Patterns of 5 Organs(五臟辨證)〉 had been reorganized in more elaborated ways, comprising Ju dan Gae(朱丹溪)’s ‘Yang is always sufficient and Yin is always deficient theory(陽有餘陰不足論) and Li Dong Yuan(李東垣)’s ‘Theory of the Spleen and Stomach(脾胃論)’. In organizingthe contents, 5 Organs(五臟) were mostly concerned especially ‘the Heart, the Fire (心火) and the Kidney, the Water(腎水)’ as the axis and ‘the Spleen and Stomach(脾胃)’ as the center of 5 Organs. Based on this concept, the patterns of disharmonies were categorized and the table of content was organized. In this book, ‘Deficiency-Excess and Nourishing-Draining(虛實補瀉)’ is the basic treatment rule and the concept of ‘Yin and Yang(陰陽)’ and ‘Exterior and Interior(表裏)’ is considered to help tell the prognosis. This book has importance of systemizing Qian Yi(錢乙)’s 〈Wu Zang Bian Zheng-Patterns of 5 Organs(五臟辨證)〉, which was previously mentioned in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Euibangyoochui(『醫方類聚』), Euirimchyalyo(『醫林撮要』), by comprising the theories of Jin Yuan Si Da Jia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Jin Yuan Dynasties(金元四大家).

      • KCI등재

        유칼립투스 잎을 이용한 모직물 Eco-Printing 연구

        류명숙(Ryu Myung sook)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2

        에코 프린팅(Eco-Printing)은 자연에 산재한 식물성 소재가 가지고 있는 형태, 색소를 섬유질을 함유한 섬유나 종이 위에 배열하고 밀착시켜 열을 가하여 식물에 있는 색소가 그대로 침착되어 염색이 되는 것인데 이 방법을 이용하여 유칼립투스(eucalyptus)의 폴리안(Polyanthemos) 잎을 사용한 에코다잉은 증열 처리(Steming)와 열수 처리(dipping boiling water)하였고 무매염, 알루미늄 백반 선매염, 황산철 후처리, 탄산칼륨 후처리 한 후 염색물의 표면색 변화를 검토한 결과 (1) 유칼립투스 잎을 사용하여 압착 상태로 침착 염색할 때 증열처리 시간이 길어지면 염착량이 증가하였고, 색상은 주황색을 나타냈고, 또, 잎의 전 후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증열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두 적색기가 늘어났다. (2) 열수에서 처리한 경우 시간이 길어지면 이 또한 염착량이 증가하였고, 색상은 황산철 후처리, 탄산칼륨 후처리에서는 주황색을 나타냈고, 무매염, 알루미늄 백반 선매염도 열수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두 적색기가 늘어났다. (3) 처리 방법에 따른 시간의 변화는 색에 많은 영향을 주어 1시간은 노랑색 계열로 2시간은 주황과 주황색에 적색이 가미된 색이 나타났다. (4) 표면색 변화를 보면 황산철 또는 탄산칼륨 후처리한 경우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한 것이 무매염한 염색물에 비하여 노랑색이 현저히 많아졌다. 에코 프린팅은 식물 잎에서 유출된 색소가 피염물에 염색되는 것이기 때문에 잎과 피염물의 접촉상태, 잎 부위별 색소의 함량, 열전달의 정도 등이 모두 고르지 않기 때문에 염색된 무늬의 표면색 역시 균일하지 않았다. 때문에 측색기로 측정하는 것과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문제의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차후 염색방법을 바꾸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후속연구로는 여러 종류의 섬유에 다양한 유칼립투스 잎을 에코 프린팅함으로써 어떤 잎이 색과 형태를 떠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비교 연구 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이 결과로 제시된 자연 형태와 색상을 하나의 단위형 패턴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텍스타일 패턴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co-printing, shapes and pigments of botanical materials were arranged on textiles or paper and were compressed with heat through which pigments were deposited on the textiles or paper and they were dyed. After steaming and dipping boiling water using eucalyptus leaves based on method, no-mordanting, AI pre-mordanting, Fe post-processing, and K2CO3 post-processing were conducted and then change on the surface of the sample was observed: (1) If heating time was longer when the textiles were compressed and dyed with the use of eucalyptus leaves, dye amount increased and orange color appeared. When heating time was longer regardless of pre or post processing, more red color appeared. (2) If dipping boiling water time was longer, dye amount increased and orange color appeared after Fe post-processing and K2CO3 post-processing. As dipping boiling water time was longer in case of no-mordanting and AI pre-mordanting, red color increased. (3) Time change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s had much influence on colors. For 1 hour processing, yellow color appeared and for 2 hour processing, orange color and reddish orange color appeared. (4) As for change on surface colors, yellow color increased remarkably after Fe or potassium carbonate post-processing and 1 hour dipping boiling water in comparison with no-mordanting dye. As surface colors of patterns after dyeing were not regular, there was a limit to use of a color digitizer, and to overcome the limit, different dying methods are recommended.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should compare and examine the results of eco-dyeing according to colors and shapes of eucalyptus leaves on diverse kinds of textiles and it is expected that diverse textile patterns for which natural shapes and colors of eucalyptus leaves are applied in units can be created.

      • 호장근을 이용한 염색물의 후처리에 나타난 표면색 연구

        류명숙(Ryu, myung-sook), 한선주(Han, Sun-Ju) 조선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2017 조형미술논문집 Vol.17 No.1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은 풍요 속에서 편리함과 자연 친화적 생활을 요구하며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항균, 소취, 항알레르기성 등의 기능성을 가진 새로운 천연 식물 재료에 의한 다양한 염재들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염색의 산업화 대중화를 위한 전통염재를 확대 응용하고자 황색에서 거의 흑색에 가까운 색을 낼 수 있는 염재로 알려져 있는 호장근을 선택하였다. 호장(虎杖)은 우리나라 전국 각 지역에서 자생하며 민간에서 화농성 피부염, 방광염, 항암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해온 생약으로 주로 의학, 약학 분야에서 연구는 활발하다. 하지만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아 염재로서 호장근에 대한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천연염색에 적합한 단백질 섬유인 견직물(명주)을 사용하여 염재로서 호장근의 특성을 알아보고 호장근 추출액 농도에 따라 견직물을 염색한 후 알루미늄백반(Al), 황산구리(Cu), 황산철(Fe), 염화제1주석(Sn)으로 후매염한 후 그 표면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염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도 증가하였으며 표면색상은 10∼40%까지는 약간의 붉은 끼가 나타나다가 60∼100%의 농도에서는 황색끼가 증가하였다. Fe 처리 농도가 진하면 반사율이 감소하여 색은 짙어졌지만 파장의 형태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호장근은 염색 조건과 매염제의 조건에(종류, 농도) 처리에 따라 Yellow에서 Yellow Red 계열의 색상을 보였으며 황색계의 천연염료 중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염재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 천연염색, 호장근, 표면색

      • KCI등재

        Venezuela 국 Cocineta 호산 Mangrove oyster 의 채묘시기

        류성규,조창환,류명숙 한국수산학회 197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9 No.4

        1976년 2월부터 5월까지 사이에 Venezuela國 서북부에 있는 Cocineta湖産 굴의 採苗時期에 대하여 조사했다. 수분 함량 중 개체간의 수분 함량 범위는 2월에서 부터 5월로 되면서 차차 넓어졌고, 月別 수분 함량의 평균 값은 그 범위가 80.67∼82.25%로서 큰 차가 없었다. 성숙 부유 유생 및 전 부유 유생의 출현수로 부터 채묘 시기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시기는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사이이고 채묘 장소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곳은 station 3이었으며 그 다음이 station 4였다. An investigation on the breeding time of the Mangrove oyster, Crassostrea rhizophorae, in the lagoon of Cocineta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Venezuela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through May in 1976.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high, over 25 ℃ and specific gravity was around 1.0258. Transparency to water depth varied between 29 and 80%. The range of water content of the oysters increased from February through May. However, the averge monthly range of water content varied only slightly from 80.67 to 82. 25%. From the numbers of matured planktonic larvae together with total numbers of planktonic larvae found, we may assume that the best seedling period is from late April through early May. We may also assume that the best area is around stati ons 4 and 3, station 3 being slightly better than station 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