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대 이전의 전통적 제작방식에 의한 中國景德鎭 도자산업의 특징 고찰

        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12 한국도자학연구 Vol.9 No.2

        Ceramic production originated from ancientearthenware is the oldestskillin the human history.Ithasbeen closelyrelatedwith human life asitincludesthe technologycreating new materialsaccording to necessityand artisticelementsatthe same time.We allperceive that wehavemadeexcellentceramicculturewithuniquecharacteristicsineacherasuchasancient times,Goyeo and Chosun,with the historicalfactthatthe ceramic technology was imported from China.Butthe presentstatus ofour ceramic industry is very low considering the excellenceoftheindustryinoldtimes.Weexperiencedifficultiesinproduction,distributionand export. Accordingly,itcan help the developmentofourceramicindustryto understand the ceramic industry of‘Jingdezehn’and the backgrounds ofthe development,which is the origin of ceramics and was the centerofworld ceramic industry,and to summarize and study the materials on the traditionaland unique ceramics production method.We may improve our competitivenessandthestatusofceramicindustryinworldmarketbasedonthestudyresults. ‘Jingdezehn’inJiangxiProvince,Chinaisfamousforceramics.Itistheplacewherethefirst 'Cheonghwa Baikja' was made and the best 'Cheonghwa Baikja' has been produced. ‘Jingdezehn’is the producerofKaolinite which is essentialto make a ceramic.Ithas been producing ceramicscontinuouslysince ancienttimesincluding ancientkiln plots.The studyon theceramicindustryinthisplacecansaidtobethestudyoforiginofworldceramicindustry. The authortri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ofceramicindustriesin ‘Jingdezehn’based on this historicalbackgrounds and to identify the direction ofthe developmentofourceramic industry.Todothis,theauthorreviewedtheliteratureandrelicsandvisitedtheplacetoreview theuniqueandtraditionalmanufacturingmethod.

      • 한국 전통 옹기의 조형적 특성과 장식요소에 관한 연구

        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05 한국도자학연구 Vol.1 No.1

        Onggi is Korean traditional living vessel that has been handed over through Korean dietary culture and history. Korea is the origin of fermented food. For example, bean, which is the material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at are essential in cooking, has been grown in advanced method of cultivation since long ago and the natural condition of Korea resulted in the spontaneous outbreaks of many kinds of ferment foods such as wine, vinegar, 'Kimchi' and salted shrimp. Fermented foods generated in such ways were available only thanks to Onggi, an excellent vessel for food storage, and consequently unique Onggi culture was develop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Onggi is found in its functional aspect. As called wine Onggi or soy sauce Onggi, Onggi was made in variety of shape, size, orna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locality, need and use. Until recently the shape of Onggi was diversified in response to use and necessity. However, Onggi is losing its function as living vessel because of modern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in economy, society and home environment, facing the crisis of extinction. It is fortunate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pottery Onggi that a few large-sized containers are still used for the storage of fermented food, the original use of Onggi, but they may also be likely to disappear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food processing factories. Recently with the ris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people's high interest in health related to environmental hormones and other issue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prefer breathing Onggi, which is manufactured in a traditional method, to plastic or metallic containers and recognizing the advantages of Onggi. In addition, Onggi with such outstanding characteristics must last as long as our dietary culture continue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non-polluted Onggi fit for modern life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based on scientific 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in the future to develop Onggi of new concept fit for modern living space in response to new demands. But we doesn't forget to plastic characterization and decoration element in our traditional vessel Onggi. The development of Onggi of new concept requires research on Onggi design that adopts modern senses free-hand drawings pattern on the merits of traditional vessel Onggi. 우리나라를 ‘陶磁器의 나라’ 또는 ‘항아리의 나라’라고 한다. 질이 좋고 편리하면서도 잘 생긴 도자기를 우리는 몇 천년 동안 사용해 왔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보통 항아리라 일컫는 ‘옹기(甕器)’는 한국의 식생활문화와 역사 속에서 전통적으로 지녀온 민속고유의 생활용기이다. 한국의 식생활문화를 대표하는 음식들은 대부분이 발효식품으로 저장식품류에 속하며 이러한 발효음식에 있어서는 우리나라가 거의 종주국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예로 음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간장과 된장의 원료인 콩은 그 재배법이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술과 식초, 김치류, 젖갈류등 많은 발효식품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되었다고 보며, 그러한 요인에 의해 나타난 발효식품들은 이를 담는 용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옹기라고 하는 그러한 식품들을 저장하기에 탁월한 용기가 있었기에 가능하였고 또한 우리의 독특한 용기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제 고유의 전통 민속 문화의 한 유형으로 뿐만 아니라 도자사적으로도 자리매김해야 될 전통옹기는 이러한 발효음식에 있어서도 가장 적절한 기능성 용기임이 여러 연구결과에 의해 입증된 바 있다. 옹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능적인 측면으로 술독, 장독 이란 말에서 보듯이 발효식품들에 대한 지역 및 필요와 용도에 따라 형태, 크기, 장식, 제작기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 유형들은 근래에 이르기까지 용도와 필요성에 따라 그릇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경제적․사회적인 변화와 가정 생활환경의 변화 등 내적, 외적변화로 생활옹기로서의 기능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절의 위기를 맞고 있다. 옹기의 본래용도인 저장과 발효식품의 보관을 위해 조금씩 사용되고 있는 큰 용기류는 그나마 전통옹기의 보존에 있어 다행이라 아니할 수는 없지만 이것도 여러 가지 가공 전문공장들의 출현으로 머지않아 사라지지 않을까 염려된다. 우리 생활에서 옹기가 외면당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간편한 인스턴트식품과 아파트 생활문화 등 식생활과 주거문화의 변화를 우선적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전자․정보화문명과 물질만능주의에 삭막해진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젠 옛것에 대한 향수 속에서 전통옹기의 보존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되었고 앞으로는 더욱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 그리고 현대와의 접목 등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잊혀져가는 우리 전통옹기의 종류와 제작기법 및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고 옹기의 문양에 나타난 우리민족의 정서와 서민적 미의식을 이해함은 물론 이를 정리, 보존하여 앞으로 전통옹기의 현대적 가치와 전통적 미의식에 입각한 새로운 옹기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 전통공예의 산업화와 공예문화상품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강성곤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1

        Traditional craftwork, so to speak, inherent craftwork formed by historical transmission for long time, has the meaning that it is such kind of craftworkhanded down by the lineage already form in earlier periods. Thus, traditional craftwork can be taken to have the meaning of the craftwork that has been continuing the vein established by transmission in modern times. That is tosay, the traditional craftwork, among other things, is a great cultural asset thatthe nation has inherited from its antecedents. As they arealso traditional craftwork transmitted and formed l over long time, craftworks in the region of Jeollanamdo can be said to be excellent traditional ones that have succeeded to particular techniques by accommodating productive methods and conventions based on nature and climate in this region. However, though traditional craftwork naturally distinguishes working areas and techniques according to its materials and on the other hand, has specialty since it necessitates special natural materials and the special techniques that deal with them, it has come to have its small economical scale as one of its characteristics due to the fact that it has been its instinct to maintain the small productive scale because it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professional handcraft tha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needless tosay, given that traditional craftwork takes handwork as its basic way of production, it has been naturally continued up to now with self righteousness and exclusiveness as its features. Though we need to make multi-sided attempts in order to activate traditional craftworks in the domestic market and take them into the global market, we should first improve workshop facilities for industrialization, and make sufficient human resources available. Also, they should have the ability to develop forms, quality, and utilities of craftworks, and especially we should make core efforts to develop special technology. In addition, to make plan for goods and develop them, marketing investigation an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and only when such extensive conditions have been equipped with, we can attend the industrialization. That is to say, it seems that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work, improvement in various areas including facilities of relevant compani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and for this we should now make attempts at commercialization of ‘craftwork culture’ on the basis of tradition. Thus, we cannot help converting structural matters for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recognition shift also in Jeollanamdo’s traditional craftwork, and we should provide a better productive system and establish a complete plan for activation to take them as momenta for new development.

      • KCI등재

        인지 센서가 내장된 도자제 LED Mood Light를 겸한 Flowerpot 개발

        강성곤,윤정호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2

        Along with today’s social phenomena such as accelerated nuclearization of family and an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urban citizens, who represent contemporary human races, are suffering from overwork and resultant fatigue of the body in the busy work life and harsh survival competition, and these problems cause ment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hysteria, and insomnia. In this sense, psychological stability is keenly required and its importance is recognized widely, and various studies and discussions are being made to find solutions in the area of social psychology. As a result of the rapid individualiz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al structure, ‘one‐person household’ has appeared as a new trend and new term ‘saladent’ was coined from this trend. The population of saladents is expanding fast, and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6 out of every 10 workers are saladents. The expanding population of urban citizens and saladents is working as a factor that fosters the toughness of society and this, in turn, generates many social problems. For workers including urban citizens who are tired from making a living, accordingly, it is an essential requisite to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at home, the most comfortable resting place to them. With this requirement, we need more emotional and sensuous indoor environment (i.e. interior articles, mood lights, indoor spaces for growing flowering plants, flowerpots for flowering plants, etc.) as well as various goods that can give mental comfort to the residents. Thus, it is a natural response to the need to develop related products and design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flowerpot with the function of ceramic LED mood lamp’ as an interior ceramic article to meet urban citizens’ sensitivity. In addition, we tried to mount a recognition sensor on the flowerpot so that when the resident returns home and opens the door, the light of calm mood turns on automatically and relieves the resident, entering the dark room, from fear and loneliness to some degree and gives psychological comfort. That is, the flowerpot was designed with CAD so that its inside can be equipped with a human recognition sensor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 switching on/off of the lamp. For mass‐production, this study aimed to build a plaster model through CNC and to develop a prototype of ceramic flowerpot light finished through slip casting. 현대인으로 대표되는 도시민들은 ‘핵가족화’ 및 ‘1인가구화’가 가속되는 사회현상과 더불어 바쁜 직장업무와 생업이라는 생존경쟁 속에서 과로로 인해 몸에 피로가 쌓이고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하여우울증, 히스테리, 불면증 등으로 부터 심리적 안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연구와 그 해소 방안이 사회심리학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특히 현대 사회구조의 급속한 개인주의적인 변화로 ‘1인가구’라는 독특한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고, 신조어로‘샐러던트(Saladent)’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어 냈으며 그 인구도 급속도로 증가 추세를보이고 있다. 또한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샐러던트라는 통계가 최근에 나온바 있다. 즉 지난해 선진국에서는 대체로 샐러던트가 직장인의 66.5%시대에 이르렀고 ‘일하며 공부도 하는 직장인’이 대세라는 기사가 2014년 3월 세계 파이낸스지에 실렸다. 이와 같은 도시민들과 샐러던트의 증가는 각박한 사회를 형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많은 사회문제를 야기하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생업에 지친 도시민을 포함한 바쁜 직장인들의 가장 편안한 휴식처인 집안에서의 심리적 안정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들을 위한 정서적이며 감성적인 실내 환경, 즉인테리어 소품은 물론 무드조명 및 화초를 기를 수 있는 실내공간과 화분(Flowerpot)까지, 그들에게 정신적으로 위안을 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용품들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관련된제품개발과 디자인 개발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민들의 감성을 위한 생활도자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도자제 인테리어 LED Mood Light(조명등)를 겸한 Flowerpot(화분)’를 개발하고자 하며, 여기에 인지센서를 내장시켜 사람이 집으로귀가하여 문을 열었을 때 깜깜한 방에 들어오는 두려움과 외로움을 심리적으로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있도록 차분한 분위기의 무드조명이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기술적인 접목을 시도하였다. 즉 사람인식감지장치와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멸하는 제어장치를 Flowerpot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설계는 CAD에 의한 설계와 실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CNC로써 석고원형을 제작한 후 슬립케스팅에의한 완성된 도자조명화분의 시제품까지를 개발하여 도자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제품설계 프로그램 및LED조명을 활용한 IT기술과의 융복합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개발 모형을 제시함과 아울러 효과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그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고려청자에 나타난 중국자기의 특징과 상관성에 관한 연구

        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Korea and China have been exchanging mutual cultures since ancient times, and both countries have been highly appreciated for their porcelain culture as well as for their excellent aesthetic ability. Especially, China has formed a good culture as a suzerain state for porcelains, which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 Among them, the influence and exchange of porcelains are a significant part of the culture for both countries and are an important example of representa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is generally well known, in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Goryeo produced excellent porcelains with celadon color, and it cannot be denied that this reflects some influence of China Song dynasty. However, the influx of China porcelain culture seems to need tangible presentation not only in the record but also in various areas such as formative beauty and patterns. For this purpose, historical materials and literature data centered on the major celadon sites in China Song, which contemporarily had many cultural exchanges with Goryeo dynasty, are required to be surveyed with relics produced at that tim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o research on the firing method, fabrication technique, shapes and decoration method in major sites of South Song and North Song. Therefore, in recognizing the fact that celadon in the Goryeo era are influenced by China as presupposed, this study attempts to logically find similarities and original aspects with China porcelains as a basis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our traditional cultur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celadons and China porcelains in various areas and presenting the correlations, through various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d literature data on major sites of porcelains and excavated artifacts of Song dynasty in China.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Goryeo porcelains appearing from the late 10th to the early 11th century show diverse aspects such as the simultaneous production of brick kiln, celadons and white porcelains by the influence of kiln in northern and southern China, the start of biscuit firing, the stacked-f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 of fireproof clay bases, and the emergence of inlaying technique and oxidized steel painting technique, etc. However, in the end of the 11th and the early 12th centuries, Jin dynasty emerged in China, which became the occasion that northern China porcelains had much influence on Goryeo celadon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ose representative sites of porcelains that have influenced celadons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can be referred to Dingyao, Yaozhouyao, Ruguanyao, Cizhouyao in northern China and Wuezhouyao, Jingdezhenyao and Longquanyao in southern China. In conclusion, celadons fabrication techniques and decorations derived from sites of various China porcelains of North Song and South Song were influential in the development of Goryeo celadons, demonstrating diverse aspects in exchange of porcelains between the two countries. 한국과 중국은 역사 이래로 상호 문화의 교류가 오래된 국가로, 도자문화에 있어서 뛰어난 미적 창출능력과 그 제작 기술이 높이 평가되고 왔다. 특히 중국은 도자의 종주국으로서 우수한 문화를 형성하여한국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청자의 영향과 교류는 양국 문화교류에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대표하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나타난 바에 의하면, 고려청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 지는 대표적인 도요지로 중국 북방의 여관요, 요주요, 자주요와 중국 남방의 월주요, 용천요 등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실제로 중국 송대의여러 청자요지에서 파생된 청자 제작 기술과 장식기법 등은 고려청자 발전 과정에서도 많은 영향으로보여져왔고 이후 양국 도자 사료에 있어서도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북송대의 관요로 일컬어지는 대표적인 가마들인 보풍청량사요, 문묘여관요, 장공항요 등에 대한기초조사는 고려자기와의 관계, 그리고 각 요지별 도자의 양식과 이들의 상관성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사료되어 기본적인 고증 자료와 문헌 등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대표적인 요지들에서나타난 도자의 특징과 고려청자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고려청자와 북송 청자의 실증적사례를 들어 여관요, 여주요의 청자 기형과 문양, 유사형태 기물 등을 비교하여 고려청자가 발전하는데있어서 상호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청자의 근원과 변화의 근거와 체계를적립함은 물론 앞으로 전통 청자의 올바른 인식과 발전적 방안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도자제인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지역 축제 캐릭터를 중심으로 -

        강성곤,김숙희,강광묵 한국도자학회 2008 한국도자학연구 Vol.5 No.1

        What kinds of dolls are there in Korea? The matter "Are there any Korean dolls?" is equivalent to the question "Are there any Koreans?" These questions show us that our cultures are mostly lacking in the identity. Not only dolls but also living space of food, clothes and shelter and traditional industrial arts seems considerably to imitate those of other countries. Though a little too late, it is an extremely good luck that there is the atmosphere to recognize our identity. Even in the middle of 1980s there was necessarily the curriculum to make traditional dolls in school home economics classes. Students in those days might take the classes that made dolls stitch by stitch with a needle. However even this remains as just an old scene which vanishes in our memory. Even in the world doll exhibition held every year, surrounded with plastic smile from a lor of character dolls and Barbies and ball jointed dolls whose nationalities are unknown it seems that we start serious agony on the absence of our tradition. Based upon this concept, as it is regarded that the classical novels has the closest relation with Korean traits, if we develop the characters of "The Story of Chun Hyang, a Chaste Woman", "The Story of Shim Chung, a Filial Daughter", "The Story of Hong Gil dong, a Chivalrous Robber" related with local festivals and inform the public of them, they will be the area with the rich developmental possibility as high added value products.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pottery dolls as meaningful souvenirs in local festivals for us and foreigners who visit our country and to make them tourism souvenir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through the easy and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They will become the good means of showing our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transmitting even our warm heart.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interest of the pottery dolls and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will result in the bright future. 한국의 특징을 나타내며 한국을 대표하는 인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한국적 인형이 존재 하는가 라는 질문과 일치하는 의미로서, 이와 같은 질문이 쉽게 대두됨은 우리 문화의 오늘이 다분히 주체적이지 못했음에서 연유되는 것이라 본다. 비단 인형뿐만이 아니라 일상적 의식주에 따르는 생활공간은 물론 전통공예에 이르기까지 남의 것을 모방하는 추세 속에 뒤늦게나마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바람이 불고 있음은 그나마 다행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학교의 미술이나 가정시간에는 전통인형을 만드는 교과과정이 꼭 들어가 있었다. 한땀 한땀 손바느질로 인형을 만드는 수업 시간을 한 번쯤은 거쳤을 것이다. 이 또한 옛날의 풍경으로 우리의 추억으로만 자리한다. 국내에는 각종 인형 공모전 및 많은 문화관광 상품전이 열린다. 그런데 국적 불명의 캐릭터 인형인 바비와 미미의 플라스틱 미소에 둘러싸인 우리는 이제야 전통의 부재를 놓고 심각하게 고심하기 시작한 듯하다. 그러면 우리는 전통적이며 한국적 이미지가 잘 나타난 인형이나 캐릭터는 어떠한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한 고전문학소설에 나타난 캐릭터야말로 한국적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 있다고 생각된다. 즉, 호남지역의 지역축제 중 고전문학 소설을 주제로 설정한 남원시의 춘향제, 곡성군의 심청 축제, 장성군의 홍길동축제 등의 주제인 춘향전, 심청전, 홍길동전의 캐릭터나 이를 입체화 한 공예품으로 개발하여 홍보한다면 고부가가치를 지닌 상품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한 캐릭터 도제인형을 개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어 관광 상품화 한다면 우리의 고전문학이 단순한 상품화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따뜻한 마음까지도 전달할 수 있는 뜻 깊은 기념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국 전통 도자 다호(茶壺)의 조형 분석 연구

        강성곤,孙静民 한국도자학회 2018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2

        A teapot has ceaselessly continued with human history, showing custom, cultural tradition, and artistic essence of each country and ethnic group. Humanity selects materials such as clay from nature, so works clay with fire by using long-accumulated wisdom and experience, and fires earthenware with clay, so uses it in everyday life. The teapot started from primitive times developed continuously, and through this process, this jar became a necessity in life with practicality and beauty. The teapot is an important media in ceramic and tea cultures, and in China, the teapot has a long history, and then form and decoration of the teapot have changed with tea culture. Today, the tradition of drinking tea still continues, but the tradition of the teapot has disappeared. In addition, letting the legacy continue, the teapot has developed by receiving a modern art form, but the real state is biased not towards inherent culture value of the teapot but towards production because machine and technology develop. The teapot not only plays a simple role to drink tea but also acts as important value purifying the human heart and giving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the demand preferring the modern teapot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thesis desires to access the teapot reflec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eramic teapot in a generic sense by stud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apots in China through observation of history and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the teapot targeting the traditional teapots in China. In addition, This study method analyzed and systematized literature study and field research for a study of the ceramic teapot. Materials for the literature study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through advanced research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nd books. As a result of examining historic and period background of the Chinese ceramic teapot, and role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teapot in tea culture, the teapot had developed from Tang to Qing, and has a close relation to Chinese life.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will be basic information to study and develop the modern teapot in China succeeds the tradition with this as a momentum. 다호는 각 국가와 민족의 풍습과 문화 전통, 그리고 예술적 진수를 보여주면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면면히 이어져 내려왔다. 인류는 자연에서 점토라는 재료를 취하여 오랫동안 축적해온 지혜와 경험으로점토를 불로 가공하고 토기로 구워내서 일상생활 속에 사용해왔다. 고대부터 시작된 다호는 점진적으로발전해 갔고, 이 과정을 통해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생활 속의 필수품이 되어왔다. 다호는 도자기 문화와 다도 문화에서 중요한 매체이며, 특히 중국에서 다호는 오랜 역사를 거쳐 차문화와 함께 다호의 형태와 장식도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오늘날에도 차를 마시는 전통은 여전히이어져 오고 있지만 다호에 대한 전통은 사라져 가고 있다. 최근의 다호는 전통의 맥을 이어오면서 현대의 예술 양식을 수용하여 점차 발전하고 있으나 다호의 고유의 문화가치라기보다는 기계와 기술이 발전되어 생산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다호는 차를 마시는 단순한 역할을 떠나 인간의 마음을 정화시켜주고 정서적 안정을 주는 중요한 가치로 작용한다. 그러한 감성적, 심리적 이유로 현대 다호를 선호하는 수요 또한 서서히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자 다호의 조형에 있어서 형태를 중심으로 한 분석 연구로써, 중국의 전통 다호를대상으로 다호 발전의 역사와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의 전통 다호의 조형적 특징을 탐구하고 분석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중국의 차 문화 및 도자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자료를 조사하고, 세부적인 형태분석을 위해 필요에 따라 현장 연구를 통해 시대별 형태를 분석하고 체계화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는 국내·외 문헌과 고대도자 도록 등의 관련분야의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조사, 인용하였고, 현장연구는 중국의 전통 다호를 대상으로 한 지역 박물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중국 도자다호의 시대적 발전과 차 문화에 있어서 다호의 형식과 변천 양식을 조사한 결과 다호는 당대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인의 삶과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차 문화의 변천에 따라 서로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국 현대다호가 전통 다호를 계승하고 향후 다호를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염기성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밀폐옹기 개발에 관한 연구

        강성곤 한국공예학회 1999 조형디자인연구 Vol.2 No.1

        Koreans have accomplished and developed the glorious porcelain culture from the pest. Above all, Onggi is koreans' the most favorite kind of utensil which were continuously and commonly used within their food culture and the heart of them. The remarkable usage of Onggi mainly focuses on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food. Nothing that the feature of Korean food culture is the history of fermentative food, the relationship between Onggi and fermentative food is essential. However, our proud cultural heritage seems yo lose the standing where it used to be with the fast industrialization and modenization of the lifestyle. Therefore, by using the superiority of Onggi, I would like to work on developing the airtight Onggi with the modern style, so that we can have the food whenever we need, and keep it for a designated time with relative ease. besides, the use of basic ceramic material enables it to preserve the freshness of the food longer time period than its original could do. The tru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tribution to the modern use of the traditional Onggi and industrialization. For this study, I will select and analyze the basic ceramic material. I will also compare and assay the difference of fermentative food in the genuine Onggi and the new type of Onggi. In addition, I'll do the survey regarsing this product, set the new standard of the development with it, and notify you the way to use the basic ceramic.

      • KCI등재후보

        전라도 서남부지역 분청자기 고찰 및 산업화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With its long history of ceramic ware, Korea has developed outstanding ceramic culture. Especially Buncheong Porcelain, which appeared limitedly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represents Korean people’s original pictorial sentiment, was created in the southwest area of Jolla-do, the Muan‐gun area, Wundae-ri in Duwon-myeon of Goheung-gun, Mt. Mudeung at Chunghyo-do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etc. Buncheong Porcelain, as Korean unique ceramic ware that is not found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is considered the most Korean‐style ceramic ware that is plain and practical, representing our ancestors’ naïve and humble mentality. Many reports and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on Buncheong Porcelain in Korea, but they are mostly limited to the history of fine arts or archaeology such as excavation reports, and few studies have been made in connection to ceramic culture or ceramic industry. Despite their importance and historicity, what is more, almost no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 patterns and ornaments of Buncheong Porcelain from the southwest area of Jolla-do and the Muan area even throughout the entire sphere of ceramic culture. The patterns and designs observed in the southwest area of Jolla‐do and Muan were developed newly out of the craft designs of the degenerated porcelain, and lasted from the 15th to 17th centuries. They used mostly inlay, stamp, and under‐glaze iron techniques, and various original patterns and decorating techniques distinguished Buncheong celadon in these areas from that in other regions. Therefore, it is highly required to establish the base for the contents of local culture contributing to local industry and economy by activating and industrializing traditional ceramic ware in these area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find major pottery kiln sites of Buncheong Porcelain in the southwest region of Jolla-do,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to discus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Buncheong Porcelain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outhwest region of Jolla‐do through materials including historical records and ceramic shreds as an effort to lay an academic ground supporting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Buncheong Porcelain in this area. Moreover, this study aimed at the characteriz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at the industrialization of Buncheong Porcelain. 우리나라의 도자기는 오랜 역사 속에서 우수한 도자문화를 형성해 왔으나 조선 시대에 한정적으로 나타났던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회화적 정서로 대표되는 분청자기는 전라도 서남부와 무안군 지역을 비롯하여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광주광역시 충효동 무등산 지역 등지에서 제작되었고, 이러한 분청자기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만이 갖는 독창적인 도자기로서 서민적이며 실용적인 용기로 발달하여 소박하고 겸손한 우리 선조들의 심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가장 한국적인 도자기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분청자기에 관련된 일반적인 연구와 자료는 매우 다양하고 많으나, 대체로 발굴보고서 등의 미술사학이나 고고학분야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도자문화 또는 도자산업 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더구나 전라도 서남부 일대와 무안 지역의 분청자기의 문양과 장식에 관한 연구는 그 역사성과 중요도에 비에 도자문화 전 분야를 보아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특히 전라도 서남부 일대와 무안지역에 나타난 문양과 의장은 퇴화한 청자의 공예의장을 모태로, 새롭게 완성된 그릇으로 15세기와 17세기에 걸쳐서 존재하였고 상감, 인화, 철화기법 등이 대부분이며, 다양한 독창적인 문양과 명문, 장식기법 등은 타 지역의 분청자기와 다른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도자사적 가치가 높아 이를 지역 도자산업의 특성화와 산업화가 지극히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전라도 서남부 지역의 분청자기를 중심으로 도요지 조사와 학술적인 자료 등을 통하여 전라도 서남부 지역의 발달 배경 및 특징 등을 살펴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역 분청자기 문화의 계승은 물론 발전적인 측면에서 지역 전통도자를 특성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전통도자기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산업화로 연결시켜 지역 경제 및 산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업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