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이트헤드의 리듬과 김흥수의 하모니즘

        전병기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9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9

        We analysis Kim's 'Mangbuga' by Whitehead's concept of event and object. Aand this analysis gives the historic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Kim's Harmonism. The comparison of the picture of Francis Bacon(1909-1992), England artist, and 20 century spatio-temporal concept shows that Bacon completed the experiment of artistic creation of space-time. And we compare Barnett Newman(1905-1971)'s 'Day One, Onement, Creation, and Vir Herocius Sublimus(1950-1)' and atom which is matter of fact of science. This comparison shows that the togetherness of disjunctive two actual spaces passes into the togetherness of conjunctive two actual spaces. This togetherness of conjunctive two actual spaces showed the artistic completion of quantum theory. The relation of two pictures of Newman and Bacon is opposed to that of spatio-temporal and atomic concepts. The relation of Newman and bacon is analysed by the Whitehead's concept, event and object. In the view of Whitehead, there are no objects in the pictures of Newman and Bacon. Thus the non-object ar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but there is no cognition object to understand. Who put into the object at the picture is H. S. Kim and the works are named Harmonism. 본 논문은 김흥수의 하모니즘 미술을 회화사적으로 그리고 화이트헤드의 사건과 대상 개념으로 분석하고 하모니즘에 대한 의미 부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영국의 화가 베이컨의 그림과 20세기 시공간 개념을 비교했을 때, 이 비교는 베이컨의 그림이 시공간의 예술적 완성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뉴만의 ‘숭고하고 위대한 인간’이라는 작품과 과학적 사실인 원자와 비교했다. 이 비교가 보여주는 것은 이접적인 현실적 공간의 연접적 공재였으며, 이 연접적 공재에서 양자론의 미술적 완성이라는 사실을 볼 수 있었다. 이 두 그림에서 우리는 20세기의 과학적 내용에 대한 미적 실험의 완성을 볼 수 있었다. 두 작품의 관계가 갖는 의미는 20세기의 시공간 개념과 양자론의 관계와 같다. 화이트헤드 입장에서 볼 때 이 두 그림은 대상이 없는 사건의 파악만을 그린 것이다. 따라서 추상미술을 이해하기 힘든 것이 아니라 이해에 필요한 인지 가능한 대상이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 대상을 그려 넣은 것이 김흥수의 하모니즘 작품들이다.

      • KCI등재후보

        율곡의 擊蒙과 화이트헤드의 파악-현대인의 자기원인 상실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안

        전병기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2 동서정신과학 Vol.5 No.2

        율곡의 “격몽”과정의 진정한 기반인 “자기원인”과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의 요체인 “유기체”의 파악이론의 기반이 되는 “자기원인”이라는 공통성으로부터 과학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 혹은 과학시대의 교육이 안고있는 문제점 중의 하나인 “자기원인” 상실을 현대과학의 결과를 내포하고 있는 화이트헤드의 파악이론으로 분석하고, 그 “자기원인” 상실의 회복 방안으로 율곡의 “격몽”과정을 제안한다. 율곡의 사상은 농경사회에서 비 산업화와 사회를 배경으로 전개되었으며,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산업화사회에서 현대과학이 발생하는 현상을 목격하고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그로부터 100년 후 과학화 사회는 이들의 사상이 태동한 그 시대와는 이질적인 사회이다. 이 사회의 특성은 분절된 개체들의 집합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개체들 사이의 동일성 동등성이 강조되고 이러한 강조는 삶의 현장인 시간과 공간을 대칭화 시켰다. 그것은 인간으로부터 자연을 박탈하는 자해행위이며 생물학적 요소를 박탈하는 자살행위이다. 결과적으로 남는 것은 뉴턴적 입자군의 역동성만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결과는 유기체가 지금의 그 유기체가 되는 자기원인의 상실에서 오는 것이다. 이 자기 원인의 상실을 회복시키는 방안으로 율곡의 사상을 교육에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딥러닝을 이용한 재실정보 기반 건물의 전기 수요 예측 모델

        전병기,김의종,이경호,공민석,신영기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예측제어를 위한 운전계획 수립을 위해 전기 수요 예측을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는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을 위해 사용된 입력데이터는 시각, 기저부하, 재실정보로 비교적 단순한 데이터만을사용하였고, 연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건물에서 측정한 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학습은 딥러닝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해 진행되었으며, LSTM은 구성되는 레이어 개수를 단층과 다층으로설계해 두 케이스의 학습과 예측 정확도를 실제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델을 평가하였다. 과거 20일 동안 학습한데이터를 통해 다음날의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14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LSTM 모델은 모두 MBE가 0%에 가까운 높은 학습성능을 보였다. 예측성능에서는 각각 CVRMSE 23%(다층LSTM), 26%(단층 LSTM) 수준을 보였다. 상대오차가 60% 이상 발생하는 회수도 단층 LSTM이 40시간, 다층LSTM 모델이 28시간으로 심층 LSTM 모델이 예측모델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대부분의 오차는 20% 이하에서 발생하여 운전계획 수립을 위한 수요 예측모델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는재실정보 기반 전기 에너지 사용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단계 연구로 사용된 재실 정보가 전기 사용량을기준으로 추정되었는데, 실증을 고려한 향후 연구에서는 센서 및 사용자 개입을 통해 측정데이터의 정확성이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측정된 전기 사용 데이터를 활용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다음날 전기에너지 수요를예측을 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주거건물 단일세대의 시스템 운전계획용으로이용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Recently, numerous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electricity consumption using deep-learning models have been conducted. The prediction models were mostly developed for a district scale since the influence of occupants’ behaviors in such cases is small. On the other hands, the occupants generate huge uncertainty in predicting the future electricity demand. In this study, the unpredictable occupancy information was fed to a deep-learning model as a true value by assuming that in the future, the occupants may actively interact with the control systems using various smart device. The proposed model uses simple input values such as time of the day, base electricity load and occupancy information, while learning is achieved using measured data. Deep-leaning models with single and deeper layers were tested in this study. Both model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for data matching during the learning periods. The models also showed acceptable prediction performance for use in predictive control, with errors less than 30% in RMSE (cv).

      • KCI우수등재

        강화학습과 기존 직산분리 모델을 결합한 산란일사 예측모델 개발

        전병기,김의종 대한설비공학회 2022 설비공학 논문집 Vol.34 No.11

        An accurate irradiance prediction by orientation is important for solar systems installed in buildings. Thus, solar decomposition methods are essential. Existing solar decomposition models are site dependent. Thus, elaboration is required for local applications. In this work, we proposed reinforcement learning to improve Watanabe and Reindl models for a target location. For learning, measured solar diffuse irradiance data only for two weeks were required when existing models were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reduced the prediction error compared to the prediction case with existing models. Such an increase in the accuracy was apparent when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relatively inaccurate decomposition model such as the Watanabe model, showing an error reduction by 40%. This was obtained by simple two weeks reinforcement learning for predicting solar diffuse irradiance over one year.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이 결합된 새로운 직산분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기존의 직산분리 모델인 Watanabe 모델과 Reindl 모델의 오차를 강화학습 Agent가 학습하는 형태로 개발 되었으며 현장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산란일사 측정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단 2주 동안의 측정데이터만 학습에 사용하였다. 모델의 성능은 Watanabe 모델을 기준으로 학습을 진행한 경우 기존 CVRMSE 59%의 오차 대비 18.2%로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Rindl 모델을 기준으로 학습을 진행한 경우 CVRMSE 8.8%에서 6.4%로 소폭 오차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 모델은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강화학습 기반의 직산분리 모델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장기간 누적된 현장데이터를 사용해 대상지역의 기후 특성을 반영하는 기존의 직산분리 개선 방법과 달리 2주의 비교적 짧은 기간의 측정 데이터만을 사용하며 추가적인 모델의 업데이트 없이도 우수한 성능으로 장기 직산분리 계산할 수 있어 사용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 複製問題에 對한 一般的인 考察 :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The Classification of the Human Being

        전병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1998 현대사상연구 Vol.8 No.-

        At now we cannot the definition of a human beings. The problem of the definition of a human being is the same definition of the reproduced tire. The reproduced tire is a tire, which is adequate to some car. A human being produced from cloning is a human being. At now what we can do is classification of a human being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at being. The identity is the character of individual being in universe and it is the same age of the universe in which the individual being exist. A human being have two poles, one is the mental pole and the other is physical pole. In cloning the identity of mental pole is conserved strongly or strictly, whereas that of mental pole is terminated or conserved very weakly. Such unbalanced period have been started and will produce the harmonic human being and the mechanical human being. One is produced by God's requisite and the other is produced by man's requisite. In the later product we will see the reaction of mental pole to physical pole or that of physical pole to mental pole. This reaction will issue in the identity of that being and rearrange the position of the product in the universe. The disaster is in your mind!

      • 高麗人蔘의 組織培養에 關한 硏究 : 特히 Germanium의 效果에 對하여

        全炳機 圓光大學校大學院 1980 學位論叢 Vol.4 No.-

        Embryo and callus of Panax ginseng were culture i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germanium to examine the effect of germanium on the growth of seeding or callu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When the knudson C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5, 50, 100, 150, 200, 300㎎/ℓ of inorganic germanium, growth of embryo or seedling were slightly retarded or the same degree in the 5 ㎎/ℓ medium as compared with control(0 ㎎/ℓ). But when it was supplemented with inorganic germanium more than that, the growth was gradually retarded. When the Murashige and Skoog's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inorganic germanium, callus growth was slowed down in the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germanium.

      • 일치집합의 의미

        전병기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6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3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meaning of consentient set. The concept of consentient set is very important to a study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Whitehead's thought. The term, consentient set, is not that of mathematics and that of physics. It is Whitehead's technical term with which he criticizes Maxwell's equation and scientific relativities (Newton's relativity and Einstein's relativity). In this critique, he set a domain in which the traditional science holds. The concept of Einstein's ‘event’ is analyzed by the notion of consentient set. This analysis shows that he developed the notion of consentient set into that of togetherness and that of organism. Einstein's events, of which the world is composed, are not coincident in time. This fact is contradictory with the concepts of togetherness and organism. Thus Whitehead objects the signal theory by which the world is formed. 본 논문은 일치집합의 의미를 고찰한다. 일치 집합이 갖는 역사적 위상에 대한 고찰은 화이트헤드 사상의 발전을 조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일치집합 consentient set”이란 용어는 화이트헤드의 사상이 수학적인 단계에서 과학적인 단계로 그리고 다시 형이상학적인 단계로 발전했다고 보았을 때, 과학적인 단계에서 나타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전통과학을 그의 형이상학에 비판적으로 수용할 때 전통과학이 성립하는 범위를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이 개념에 의한 아인슈타인의 사건 개념의 분석을 통해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분석은 일치집합이란 용어는 일차적으로 공재성이라는 용어로 그리고 유기체라는 개념으로 발전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분석에서 세계를 구성하는 아인슈타인의 사건들은 시간적으로 일치coincident 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은 유기체 혹은 공재성이라는 사실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순 때문에 화이트헤드는 신호 이론을 부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