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ile-Image Merging and Delivering for Virtual Camera Services on Tiled-Display for Real-Time Remote Collaboration

        CHOE, Giseok,NANG, Jongho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 2010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Vol.93 No.7

        <P>The tiled-display system has been used as a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CSCW)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local (and/or remote) participants cooperate using some shared applications whose outputs are displayed on a large-scale and high-resolution tiled-display, which is controlled by a cluster of PC's, one PC per display. In order to make the collaboration effective, each remote participant should be aware of all CSCW activities on the titled display system in real-time. This paper presents a capturing and delivering mechanism of all activities on titled-display system to remote participants in real-time. In the proposed mechanism, the screen images of all PC's are periodically captured and delivered to the Merging Server that maintains separate buffers to store the captured images from the PCs. The mechanism selects one tile image from each buffer, merges the images to make a screen shot of the whole tiled-display, clips a Region of Interest (ROI), compresses and streams it to remote participants in real-time. A technical challenge in the proposed mechanism is how to select a set of tile images, one from each buffer, for merging so that the tile images displayed at the same time on the tiled-display can be properly merged together. This paper presents three selection algorithms; a sequential selection algorithm, a capturing time based algorithm, and a capturing time and visual consistency based algorithm. It also proposes a mechanism of providing several virtual cameras on tiled-display system to remote participants by concurrently clipping several different ROI's from the same merged tiled-display images, and delivering them after compressing with video encoders requested by the remote participants. By interactively changing and resizing his/her own ROI, a remote participant can check the activities on the tiled-display effectively. Experiments on a 3 × 2 tiled-display system show that the proposed merging algorithm can build a tiled-display image stream synchronously, and the ROI-based clipping and delivering mechanism can provide individual views on the tiled-display system to multiple remote participants in real-time.</P>

      • BSD UNIX 운영체제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스를 위한 CPU 스케쥴링 향상 방안

        홍승욱(Seungwook Hong),낭종호(Jongho Nang),Felix M. Villarreal(Felix M. Villarreal)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5 No.9

        본 논문은 범용 운영체제인 BSD UNIX 운영체제에서 CPU 스케쥴러의 프로세스 우선순위 부여 방식을 개선하여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수행 요구사항을 준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시스템이 과부하 되었을 때 새로운 프로세스 유입의 차단을 통하여 시스템에서 수행 중인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일정한 반응시간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유입제어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보인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각각의 주기가 다른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에 대하여 주기가 짧은 프로세스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비율단조(Rate Monotonic)기법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상대적으로 동적으로 조정하는 우선순위 할당함수를 설계하였다. 또한,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인가를 검사하여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시스템으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제어 기능도 제공한다. FreeBSD 커널을 수정하여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시스템이 수행 가능한 범위내에서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마감시간를 맞출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priority based scheduling and an admission control schemes on a BSD Unix operating system which help to keep the execution timing constraints of the multimedia processes. In this proposed scheme, the rate monotonic scheduling algorithm, in which the process with higher request rate gets higher priority, is applied to BSD CPU scheduling by providing a new priority based computing scheme. It dynamically computes and adjusts the priority of a process according to its request rate and the priorities of other multimedia processes in the system. An admission control scheme which rejects the request of the process to prevent the system from being an overloaded situation. The proposed schemes are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by modifying FreeBSD kernel to show their usefuln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ll multimedia processes could always meet their deadlines if the system can handle them.

      • 멀티미디어 프로세스를 위한 BSD CPU 스켸쥴링 향상방안

        홍승욱(Seungwook Hong),낭종호(Jongho Nang),Felix M. Villarreal(Felix M. Villarreal)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A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세스 스켸쥴러를 범용 운영체제인 BSD 커널에 구현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스켸쥴러를 설계, 구현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의 스켸쥴링 방식과 멀티미디어 프로세스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런 분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에 적합한 스켸쥴링 방식으로 비율단조(rate monotonic)기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BSD 커널에 비율단조 기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분석하였으며, BSD 스켸쥴러의 우선순위 함수를 수정하여 구현하였다. Pentium PC상의 BSD인 FreeBSD에서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에 의하면 구현된 스켸쥴러는 기존의 스켸쥴러에 비해 시분할 프로세스의 반환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멀티미디어 프로세스의 시간 제약적인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MPEG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MC-DCT 영역에서의 자막 처리 방법 (pp.1003-1014)

        권오형(Ohyung Kwon),낭종호(Jongho N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7 No.10

        MPEG은 동영상 압축 규약의 하나로서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높은 압축율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사용 범위가 점차로 넓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MPEG 데이터에 대한 편집 시스템의 요구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MPEG 스트림에 대한 편집은 대부분 공간 영역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수행 시간이 오래 걸리고 화질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C 이미지를 이용한 MC-DCT 영역에서의 자막 처리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자막 처리 방법이 안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MC-DCT 영역에서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1]을 응용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MC-DCT 영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DC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면 상태에 따라 자막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P, B 프레임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MC-DCT 영역에서의 자막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자막 처리 방법 보다 약 4.9 배 빠른 수행 속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화질 보존의 측면에서도 기존의 자막 처리 방법이 화면 전체에 대해서 화질 저하가 발생하는 반면 제안한 방법은 자막이 들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만 화질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MPEG 스트림에 대해서 사용하게 된다면, 소프트웨어만을 이용한 저가의 데스크 탑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자막 처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e (cinema) caption processing that adds descriptive texts on the sequence of frames is an important video manipulation function that video editor should support.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C-DCT compressed domain approach to insert the caption into the MPEG-compressed video stream. It basically adds the DCT blocks of the caption image to the corresponding DCT blocks of the input frames one by one in MC-DCT domain as in [Meng98]. However, the strength of the caption image is adjusted in the DCT domain to prevent the resulting DCT coefficients from exceeding the maximum value that is allowed in MPEG. In order to adjust the strength of caption image adaptively, we should know the exact pixel value of input image that is a difficult task in DCT domain. We propose an approximation scheme for the pixel values in which the DC value of a block is used as the expected pixel value for all pixels in that block. Although this approximation may lead some errors in the caption area, it still provides a relatively high image quality in the non-caption area, while the processing time is about 4.9 times faster than the decode-captioning-reencode approach.

      • KCI등재

        휴대폰 상에서 개인용 사진 컬렉션에 대한 자동 이벤트 군집화 방법

        유정수(Jeongsoo Yu),낭종호(Jongho Na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12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폰에서 촬영한 개인용 사진 컬렉션에 대하여 이벤트 기준으로 관리 및 접근하는 것을 선호한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상의 개인용 사진 컬렉션에 대하여 계산 량이 적고 정확도가 높으며 증감적인 클러스터링을 지원하는 이벤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실제 샘플 사진들을 수집하여 이벤트 내의 사진들의 시간 경과 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이벤트 경계 구간을 결정하였으며, 시간 정보만으로 분할이 모호한 구간에서는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보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에 대하여 실험 및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일반적인 클러스터링 방법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Typically users prefer to manage and access personal photo collections taken from a cell phone based on ev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ent clustering algorithm that requires low computation cost with high accuracy supporting incremental operation.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lapsed interval of intra-event photos on the real sample data for the decision of an event boundary. We then incorporate both location and visual information for the ambiguous range to split with only temporal cue. According to test results, we show higher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general clustering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