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s of Product Targeting on Non-Targeted Customers

        ( Jinhwa Rhee ),( Sungkyun Moon ),( Moonki Rhee ) 서암순창장학회 2015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Vol.1 No.4

        The “non-target market” refers to the people who are not members of a group defined as the target market for a product by the product seller or marketer. When the product is purchased by the members of the non-target market, it is referred to as the “non-target eff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the non-target group towards a target message that suggested that people of a specific social status were its targeted market. One’s social status has been noted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acceptance process of advertisements, and the non-target group is important as potential customers and as a social variable that affects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targeted group. Managing various market subdivisions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overed by investigating the responses of the non-target market in this study. All the brands were categorized as a high-end brand or a generic brand according to where they fall in the price subdivisions, and the targeted group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based on income level). Also, the subjects’ social identi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egree of reference group influence were considered as major variables and responses towards their self brand-connection were studied. Also, target messages proposing that the high-end brands were for upper-class people and that generic brands were for the general public were allowed to be seen or remained hidden, and the response of the non-target group was studied. The responses of members of the non-target group towards the target message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esponses regarding the high-end brands and generic brands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levels. Among the general public who were designated as the non-target market for the luxury brands, those with high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wards the br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ained a target message. However, the upper class, designated as the non-target market for generic brands,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wards advertisements containing a target message, according to their income levels. The idea that individuals form a self-brand connection was confirmed from studying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the non-target group. That is, the general public formed a connection between self and the brand upon seeing a message targeted for the upper class and form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message. However, members in the upper class formed a connection between self and the brand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and forme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target message. Also,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the target message regarding socioeconomic status. Those with low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howed no significant preference for target message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while those with high interpersonal sensitivity showed a notable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for target message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People with high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have a strong tendency to be conscious of other people and to strongly express their preference in a way that is expected of them or can enhance their im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not only that it investigated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group targeted by advertisement messages but also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non-target market.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the non-target market and to check the self-brand connection process of the non-target group, who can influence the buying decisions of the target market as a reference group and are potential customers, when applying the concept of target marketing.

      • KCI등재

        정책서비스 품질이 중소기업 해외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 해외마케팅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진화(Rhee, Jinhwa) 韓國商品學會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5

        기업의 국제화는 개별기업 성과로서의 의미를 넘어 국가 경쟁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의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아 기업의 수출 둔화는 국가 경제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때에 세계 경제는 메가 FTA시대를 맞이하여 글로벌화와 지역화가 심화되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은 더 높은 불확실성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 역시 이러한 세계 경제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웅해야 하는데,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 마케팅, 인력 등 기업 역량들의 상대적 열세로 해외마케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 성과 향상을 위하여, 국 내외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해외전시회 참여 지원정책(서비스 품질)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별기업의 해외마케팅 역량에 따라 이러한 효과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조사는 지난 3년간 중소기업중앙회, 코트라 등 중앙정부 관련 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한 해외전시회 참여 지원정책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548개 기업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 해외전시회 참여 지원정책은 기업 성과(전반적 만족도, 해외마케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며, 이때 참여 중소기업의 해외수출 경험이 적거나 기업 내 수출 전담인력이 적을 때 해외마케팅 성과에 대한 효과가 크고, 자기브랜드 수출이 주요할 때 더욱 뚜렷한 해외마케팅성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기존의 해외전시회 관련 연구가 간과한 기업 역량의 조절효과를 가정하고 연구모델 검증을 위해 광범위한 중소기업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기업의 전략적 측면에서 해외시장 진출 초보 기업은 보다 적극적으로 정책을 활용해야 하며,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해 정책 참여와 함께 자기 브랜드 개발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안한다. 더불어 정책적으로 수출 초보 기업(수출 유망 기업)의 정책 참여를 유인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이들의 참여 기회 확보를 위해 기존 참여 기업(수출 기업)들의 수혜횟수를 제한하는 일종의 졸업제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전시회 지원과 함께 브랜드 개발 지원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타 정책과의 연계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Corporate globalization takes an important rol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beyond the means of an individual company performance. In particular, slower exporting of corporates can cause a big threat to Korea economic growth due to highly dependent on exports. World economy has been facing Mega FTA and it derives mor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a result, our corporates need to confront the new environmental changing. In domestic small businesses’ cases, they have difficult times to overcome due to lack of funding, marketing, and human resources. Thu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results of how 'the policy for supporting participation in overseas exhibitions' affects their business, and verify how it can adjust their businesses based onmarketing capabilities of individual companies. This study will apply 548 surveys fromthe last 3 years Kbiz(Korea federation of small andmediumbusiness), KOTRA, and other domestic small business companies which have experienced 'the policy for supporting participation in overseas exhibitions'. In conclusion, 'the policy for supporting participation in overseas exhibitions' affects positive influences on overseas marketing performance of companies. Especially, it shows remarkable results if companies have less human resources and less experiences of exporting.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that it assumes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international exhibition tend to overlook regulation effect of firm’s capabilities, and it applies numerous data from small business companies in order to prove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recommends, in firms’ strategic points, that export start-up enterprises need to aggressively utilize 'the policy for supporting participation in overseas exhibitions' and develop their own brand. And it shows that policy makers need to promote more exhibition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export start-up enterprises, and consider putting a restraint on benefits for existing participants. Finally, it suggests that other policies, such as supporting more exhibitions and brand developing, can be utilized tomaximize the synergies.

      • KCI등재

        중소기업 내수 판로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플랫폼 지원 방안 연구

        이진화(Jinhwa Rhee) 한국유통학회 2015 流通硏究 Vol.20 No.4

        메가 FTA시대와 세계경기의 구조적 장기침체를 맞이하여, 오늘날 국내 중소기업들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이러한 거시적 경제 환경변화는 중국 저가제품의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해외 수요를 위축시킴으로서 그동안 꾸준히 성장해오던 중소기업의 대외 수출 실적을 둔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국내 내수시장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 역시 국내유통 산업의 독과점화와 그로 인한 불합리한 거래관행들로 인해 중소기업의 진입이 수월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제조기업의 판로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성이 커진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 유통 트렌드로서 주목할 수 있는 온라인소비 시장을 대상으로 향후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현재 국내외 유통환경의 흐름과 국내외 중소기업 온라인마케팅 지원정책 현황 등을 토대로 네 가지 주요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가장 먼저 현행의 다양한 중소기업 온라인 플랫폼 지원 정책과 함께 민간 온라인유통 사업자와의 공정한 거래문화 조성 제도가 강화‧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지방청과 지역 중소기업진흥공단 사무소 등 중소기업자와의 접근성이 가까운 기관들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민원 수렴과 공정 거래 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정부의 지원은 한시적이고 소수 기업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두 번째로는 공영채널(아임쇼핑, TV홈쇼핑)의 옴니채널화에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이 시급하며, 특유의 ‘공공성’이 갖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소셜커머스 유형의 우선 활용이 검토될 수 있다. 세 번째는 온라인채널 유형별 기업/제품 맞춤형 지원기반 마련으로, 이를 위해서는 민간 온라인조사 기업이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온라인쇼핑 추세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정보 사이트를 통해 중소제조기업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중소기업이 취약한 시장과 소비자 정보 수집 및 분석 역량을 보완해주고, 잠재적 정책 수혜대상을 넓히는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민간사업자들과 중소제조기업의 수익공유형 제휴를 지원하는 방안이 있다. 이는 정부와 사업 참여를 제휴한 민간 온라인플랫폼 사업자와 다양한 마케팅관련 기업들이 우수한 제품력을 가진 중소제조기업과 일정 사업기간에 대해 수익공유형 계약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모델은 민간사업자들의 인적/재정적 투자를 전제로 하여 지원기간동안 이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고, 지원 후에도 기업 간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Inter-Organizational Power and Control Mechanisms: The Role of Benevolence and Credibility

        ( Yunyoung Hur ),( Emi Moriuchi ),( David Ackerman ),( Jinhwa Rhee ) 서암순창장학회 2014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Vol.1 No.2

        A manufacturer relies on governance mechanisms to reduce the risk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with its supplier; however, which governance mechanism (i.e., output or process control) the manufacturer develops in an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with its supplier has yet to be determined.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ive model in which inter-organizational benevolence and credibility are conditions affecting a manufacturer’s propensity for governance mechanism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manufacturer’s perception of the supplier’s benevolence weakens the justification for a high degree of process control over its supplier, while the supplier’s credible behavior weakens the justification for a high degree of output contro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ufacturer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enevolence and credibility it bestows on its supplier when selecting an appropriate control mechanism to deal with asymmetrical power structures. When a manufacturer does not trust its supplier’s benevolence and credibility under conditions of power asymmetry, the manufacturer should consider adopting process and output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