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문화치료를 활용한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죽음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ulture therapy program to help elderly Koreans express anxiety about death, the last task of life,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quality of life by easing anxiety about death, and to stud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which applied the well-dying Program for the Mitigation of Death Anxiety for the Elderly, was aimed at 20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P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minutes for introduction, 60 minute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15 minutes for leakage, and 15 minutes for cleaning up. The program lasted a total of 9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times. To verif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the elderly's death anxiety,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measuring tools for marriag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by applying the well-being program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for senior citizen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3.18 (SD 0.35), and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2.90 (SD 0.30),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sco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6.170***, P=.000).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for the elderly was 3.33 (SD 0.43).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creased by 0.29 to 3.58 (SD 0.23),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5.252***, P=.000).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elderly could also see the true well-dying of trying to end their lives with a comfortable mind while naturally talking about life, death, and future views, expressing anxiety about death, and sharing the thoughts of the participants about happy lives. This has shown that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elderly people's fear of death.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게 생애의 마지막 과업인 죽음에 대한 불안 감정을 표출하고 죽음 불안을 완화로 삶의 질 향상과 안정화를 위하여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개발된 노인의 죽음불안 완화를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P시의 노인복지관의 본 프로그램의 참가를 동의한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도입 15분, 개입 전개 활동 60분, 소감나누기와 정리 15분 총 90분으로 회기 당 구성하여 1주일에 1회씩 총 8회로 진행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결혼만족도 측정도구 점수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노인들의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3.18(SD 0.35)였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2.90(SD 0.30)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죽음불안 점수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170***, P=.000). 노인들의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33(SD 0.43)이었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58(SD 0.23)로 0.29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252***, P=.000).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노인들은 삶과 죽음, 내세관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표출하고, 인생의 행복한 삶에 대한 참여자들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할려고 하는 참다운 웰다잉을 볼 수 있었다. 이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공정현(Kong, Jeong-Hyeon),홍현화(Hong, Hyun-Hwa),정은영(Jung Eu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 만성질환자 의 우울을 중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노인 만성질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13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행위는 2.60점, 회복 탄력성은 3.14점, 웰다잉 인식은 3.41점, 우울은 3.29점이었다. 우울은 건강행위, 웰다잉 인식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 웰다잉인식, 동거여부, 성별 순이었으며 변인 들에 의한 설명력은 44.8%이었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은 단순한 요인이 아니므로 신체적, 심리적, 성별 차이 등 다양한 요인 들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resilience an recognition of well-dying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t was the survey period was from February 13 to March 20, 2015 with 185 people. For data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the mean level of health behavior was 2.60, the mean level of resilience was 3.14, recognition of well-dying was 3.41, the mean level of depression was 3.29. Depression was showed a negative corelation with health behavior and recognition of well-dying.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was health behavior, subjective health status, recognition of well-dying, live with and sex. Also, strange cause of these was 44.8% of depression. Results suggest that, to mediate melancholy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