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살해 후 자살에 관한 연구: 주요일간지를 중심으로

        최아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Filicide Suicide Cases:Focusing on Major NewspaperAra Choi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licide suicide in korea, and suggest interventions to prevent incidents.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n filicide suicide and parent-child joint suicide repor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from 2017 to 2022 (Jun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types of families, there were parent-child families than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perpetrators appeared in the order of mother, parent, and father, and the most common age groups were in their 40s. Most of the victims were preschool and school age children, and 8.8% of the victims had a disability. The causes of the incidents were economic problems, followed by psychological problems, family problems, child nurture burden. Intervetn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Social welfare system that can quickly find and intervene in crisis families must ne established. Family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to families in cris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he independent personality of children. Finally, a national statistical system for filicide suicide should be prepared. Key Words: Filicide Suicide, Parent-Child Joint Suicide, Familial Joint Suicide, Family in Crisis, Content Analysis 자녀살해 후 자살에 관한 연구: 주요일간지를 중심으로최 아 라* 연구 목적: 본 논문은 자녀살해 후 자살의 실태 및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7년부터 2022년 6월까지 주요일간지에 보도된 자녀살해 후 자살 및 부모-자녀 동반자살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가족유형 중 부모-자녀 가족이 한부모 가족에 비해 많았고, 가해자는 어머니, 부부, 아버지 순이며, 40대가 가장 많았다. 피해자는 유아와 학령기 아동이 많았고, 피해자 중 8.8%는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살해 및 자살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적 문제, 가족갈등, 자녀양육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위기가정을 빠르게 발견하여 개입할 수 있는 촘촘한 사회복지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위기가정에게 가족상담 및 치료를 제공하고, 건강한 가족 기능 및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부모교육 및 아동인권교육을 통해 아동의 독립적인 인격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자녀살해 후 자살을 동반자살로 바라보는 동정어린 사회적인 시선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녀살해 후 자살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핵심어: 자녀살해 후 자살, 부모자녀 동반자살, 가족 동반자살, 위기가정, 내용 분석 □ 접수일: 2022년 7월 20일, 수정일: 2022년 8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광주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Professor, Gwangju Univ., Email: cyberara@naver.com)

      • KCI등재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이현정(Lee, Hyeon 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본 논문은 소위 ‘부모-자녀 동반자살’이라고 불리는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이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 관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 작업은 관련 문헌과 신문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족 관념과 연관된 정치적 경험, 사회경제적 조건, 가족 구조의 형태, 그리고 문화적 특성 등도 함께 고려되었다. 분석의 결과,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의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서로 다른 역사적ㆍ정치적 경험으로 인하여,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가족동반자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중국 사회의 경우 타인에 대한 ‘살인’의 측면이 더 부각된다. 둘째, 한국과 일본에서 ‘가족동반자살’이 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이유는, 일찍이 외부 사회로부터 독립적인 핵가족 제도를 확립해 온 두 나라에서 부모의 위기 상황은 곧바로 가족 전체의 존립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반면, 핵가족 외부의 상호의존 관계를 지속적으로 활용 해 온 중국의 경우, 부모의 위기가 곧바로 자녀의 위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셋째, ‘부모-자녀 동반자살’ 현상은 무엇보다 제한적인 외부의 지원 속에서 남녀의 분리된 가족 내 성역할과 그러한 성역할에 기초한 정체성을 특별히 강조해 온 핵가족 구조와 이에 기초한 가족 관념의 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the recent phenomenon of ‘parent-child suicide pacts’ is related to the family concepts in modern South Korea, particularly utilizing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those in Japan and China. For this research, the existing studies and recent newspaper articles in these areas are reviewed. This paper proposes three findings. First, the traditional Confucius concepts of the family which emphasize the superior authority of the father and the child"s subordination have tended to continue in Japan and South Korea over the last millenium, while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child"s individuality has developed in China through its unique socialist experience. As a result, South Korea and Japan but China tend to regard a child murder followed by a parent"s suicide as a ‘familial suicide pact.’ Second, unlike China where extensive pseudo-familial social networks have often been utilized to solve an acute problem in the family, the institution of the nuclear family in Japan and South Korea since the early twenty century has made a parent"s crisis to be that of the whole family. Third, the frequent ‘parent-child suicide pacts" in South Korea suggest that the strong social ideology of the nuclear family, which urges the strict division of gender roles and the performative gender identities based on such roles, is no longer congruous with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s in recent dec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