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폭행 등의 행위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

        김태수(Kim, Tae-So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9

        응급의료법 자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응급의료법은 응급의료종사자와 응급환자의 진료권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양자 모두를 보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응급의료종사자만을 보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응급의료종사자가 응급환자에게 폭행 등의 행위도 처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응급의료법은 폭행을 기본범죄로 하는 결과적가중범만을 중하게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상해나 상해의 결과적가중범을 범한 경우에는 형법이 적용되어 오히려 처벌범위가 낮아 불합리하다. 셋째, 응급의료법은 응급실로 한정하고 있어 응급실 밖의 경우에는 응급의료법을 적용할 수 없고 응급실 밖의 응급구조사는 보호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응급실이 아닌 응급환자를 중심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응급의료법은 음주로 인한 경우에 형법 제10조 제1항을 배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배제해야 하는 당위성이나 이론적 근거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이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응급의료법은 의료법의 특별법이고 응급환자에게 적정한 응급의료행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응급의료종사자를 더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응급의료법상 처벌규정이 중하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의료법상 처벌규정을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Accidents in the emergency room are often reported in the media.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revised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in 2019 on the back of public opinion that violence against medical personnel should be severely punished for accidents in emergency rooms as well as medical personnel. However, emergency medical law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of all, the Emergency Medical Law protects the right to care for emergency medical workers and emergency patients, so it is also necessary to protect emergency patients. Second,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severely punishes only those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ces of violence as a basic crim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riminal who committed a consequential aggravated crime in injury or injury because the scope of punishment is low despite the high illegality. In addition, the statutory penalty should be defined as the same statutory penalty as the result of the assault. Third, the Emergency Medical Law is intended to protect appropriate emergency medical practices for emergency patients. However, as emergency rooms are limited to emergency rooms, emergency medical law cannot be applied in cases outside the emergency room, and emergency medical personnel outside the emergency room are not protected. Therefore, emergency patients should be defined instead of emergency rooms. Fourth, although the Emergency Medical Law stipulates that the application of Article 10 paragraph 1 of the Criminal Law can be excluded, it is necessary to delete it because there is no justification or theoretical basis to be excluded. Fifth, the Emergency Medical Law is a special law of the Medical Law and it is necessary to protect more emergency medical workers for emergency medical practice for emergency patients. Since the emergency medical law provides a serious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punishment regulations under the medical law.

      • KCI등재후보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와 해당성 판단

        배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集 Vol.14 No.1

        응급의료법에 의한 응급환자의 정의는 질병, 분만,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기타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 즉시 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이다. 응급환자의 정의는 응급의료법의 해석에 의해 대상과 적용범위가 정해진다. 응급환자의 개념은 응급의료법이 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의학의 수준과 사회통념을 표준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단지 그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의료기관의 행정 처리의 편의를 위한 환자 상태의 분류 등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 응급의료법에서 응급환자의 정의가 적용되는 범위는 응급의료거부죄, 비응급환자의 이송, 미수금대불제도의 적용대상 등이며, 법체계 전체에 걸쳐 같은 응급환자의 개념이 일관되게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방법은 그 주체와 판단시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후향적으로 객관적 사후예후에 의해 판단할 경우에도 ‘진료 당시’에 제시된 객관적인 판단근거가 충분한지 여부와 그 근거의 적절성에 의해서 응급환자 해당성이 판단되었는 지에 따라 적절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행위 당시에 행위자, 여기서는 응급 의료종사자가 인식한 사정 및 인식할 수 있었던 사정을 기초로, 행위 당시에 객관적으로 확인된 사정을 판단의 기초로 삼아 응급환자 해당성이 판단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the term “emergency patient” means a patient incapable of reserving lives or facing with possibility to incur a grave mental or physical harm unless he or she undergoes a required first-aid treatment, or a person under corresponding case, due to disease, childbirth, injuries or other emergency conditions caused by accidents and disasters, and who is prescribed by the Ordinance of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Legal definition of emergency patient need interpretation to apply each case and that concept can decide the applicable range of the act such as prohibitions on refus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riority treatment, transfer and surrogate payment for outstanding amounts. Legal decisions on the definition of emergency patient requires a judgment of a patient’s medical conditions on whether the patient is stable or unstable that require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presence of emergency medical conditions at first must be decided by referring to the definitions i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nd the cases on each specific matter. Only, when discussing liability of hospitals and doctor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re needs to be consideration of whether those who made the decision that the patient has the emergency medical conditions at that time.

      • KCI등재

        응급구조사의 법적 업무범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배준삼,박상호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developed after large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the 80s and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the 90s. Although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1978 and report center for nighttime emergency patients with Korea Medical Association in charge, the effect was meager due to lack of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In 1994,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was established, and emergency medicine was acknowledged as a specialty subject with the enac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In 1995, emergency response department was established at junior colleges to nurture first-class first responders, and first-class emergency responders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the next year. With the increased medical awareness of the people, expectation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 increasing as well. However, Article 33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The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and Annex 14 of the same law (The Scope of Work of Emergency Paramedics) describes the scope of work for emergency paramedics in limited manner by describing only the acts that could be performed within the scop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Methods: The main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statistical data review and analysis, surveys, and details are as follow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as reviewed by combining the safety accident theory of the Swiss cheese model with the large fire evacuation in Miryang Sejong Nursing Hospital in 2018. Result: Therefore, a legal review that reflects reality is necessary. Conclusion: Although all actions included in emergency medical care cannot be listed in relevant laws, coope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revis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re needed to improve problems in emergency medicine and for active utilization of emergency first responders in the field.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80년대에 삼풍백화점 붕괴, 90년대에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 사고를 겪으면서 응급의료체계가 발달하였다. 1978년에는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였고, 1979년에는 대한의학협회 주관으로 야간 구급 환자를 위한 신고 센터를 운영하였지만 인력과 장비의 부재로 효과가 미비하였다. 1994년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동법 시행령 시행과 동시에 응급의학을 전문 과목으로 인정하였다. 1995년에는 전문대학에 1급 응급구 조사 양성을 위한 응급구조과 개설을 시작으로 이듬해 1급 응급구조사를 배출하였으며 국민들의 의료 의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요구하는 응급의료서 비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행 법률은 현실적인 업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구방법: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통계자료 검토 및 분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응급구조사의 업무 현황을 살펴보았다. 결과: 그 중 국외 사례를 통하여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살펴보고 응급구조사의 법적 업무범위의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결론: 응급구조 사 업무범위에 대하여 모든 응급의료행위에 대한 업무를 법률로 모두 나열 할 수는 없지만 제대로 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유관기관 과의 협력 및 응급의료법을 개정함으로써 응급의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 장에서의 응급구조사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의사의 전원의무(轉院義務) 위반 여부의 판단기준과 전원시점 판단-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

        최현태 대한의료법학회 2019 의료법학 Vol.20 No.1

        Doctor has the duty of an inter-hospital transfer, known as inter-facility or secondary transfer, when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facilities required for a patient are not available at the given hospital. Also, the decision to transfer the patient to an another facility is rely on whether ill patient is the benefits of care, including clinical and non-clinical reasons, available at the another facility against the potential risks. Crucial point to note is that issues about ‘inter-hospital transfer’ is limited to questions occurred in the course of transfer between emergency medicals (facilities). ‘emergency medical (facility)’ is specified by Medical Law, article 3 and the duty of an inter-hospital transfer includes any possible adverse events, medical or technical, during the transfer. Because each medical facility has an different ability to care for a patient in an emergency condition, coordination between the referring and receiving hospitals’ emergency medicals would be important to ensure prompt transfer to the definitive destination avoiding delay at an emergency. Simultaneously, transfer of documents about the transfer process, medical record and investigation report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maintaining continuity of medical care. Although the duty of an inter-hospital transfer is recognized as one of duty of doctor and more often than not it occurs, there is constant legal conflict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related to the duty of the inter-hospital transfer. Therefore, we need clear and specific legal standard about the inter-hospital transfer.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Supreme Court’s cases associated to the inter-hospital transfer and to compare opinion of the cases with guideline for an inter-hospital transfer already given. Furthermore, this article is intended to broaden our horizons of understanding the duty of an inter-hospital transfer and I wish this article helps to resolve the settlement and case dealt with the duty of inter-hospital transfer. 의사에게는 환자와의 법률관계에서 비롯되는 여러 의무들이 존재한다. 그 중 하나가 의사 자신이 속해 있는 의료기관이 치료 및 진료를 위한 인프라나 의료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환자를 적절한 진단 검사 및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전원(轉院)’하여야 하는 주의의무인 전원의무(轉院醫務)이다. 의료기관마다 환자의 응급성 정도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다르므로 의사의 지시나 권고에 의하여든 환자 본인의 요청에 의하여든 이와 같은 환자의 전원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예를 들어 심각한 뇌손상을 입은 환자가 내원한 경우, 진단, 검사 장비 및 인력을 갖추지 못한 병원의 의사로서는 적절한 시기(이른바 ‘골든타임’)에 진단, 검사 및 진료가 가능한 상급의료기관으로 전원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처럼 전원의무는 의사의 의무 중 하나인 것으로 의사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전원 시점을 놓치게 되어 의료사고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전원의무위반 여부와 관련한 의사와 환자 간의 법적 분쟁이 있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전원의무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판단 기준 정립과 함께 현재 각 의료기관들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라인이 실제 적용에서의 여러 시행착오들을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의사의 전원의무에 대한 판례의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전원의무 관련 판례에서 이미 제시되어 있는 판단 기준 요소들이 적절한지 그리고 현재 실무에서 적용되는 법령 및 가이드라인 등과 부합되는지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응급환자에 대한 의사의 전원의무 관련 분쟁조정 및 소송에서의 해석과 적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