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통령선거 텔레비전뉴스에 나타난 언어와 영상프레임 분석 : 지상파와 종편 중심으로

        윤성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3919

        Television news coverage of presidential elections, especially through visual images, seems to be as apparent in reality. If so, what is meant by the selection of different visual image texts and different visual image narratives which not only changes the image of even the same candidate but also what is implied by those images? The existing studies on TV news frames,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of visual image text, tended to remain focused on the verbal texts. As a result, there is a dearth of study on visual image texts. In view of such inadequacy,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image texts of candidates in a presidential election, on the premise that the method of news framing affects the audience (viewer) and that such framing is, in practice, composed equally of both visual image texts and verbal texts. This research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errestrial and cable general networks by the verbal and visual image frames which appeared in the 19th (201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This study analysed 3,524 visual image shots and 334 news items that appeared on KBS, MBC, JTBC and TV Chosun. Regarding the 3,524 visual image shots, the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the sound bite rhetoric and the visual image frame for each candidate were examined. Regarding the 334 news item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mong the networks on the verbal texts in the news frame. Based on the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mage and the implications thereof could be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even with the same candidate. In the case of KBS and MBC, the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of the long shot and high camera angle were more salient for Jae In Moon and Joon Pyo Hong relative to other candidates. By the use of this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these two networks indexically transmitted the apparent passionate support for the two candidates. In contrast, there was a proportionately higher use of subjective close-up shots by JTBC and TV Chosun for candidates Chul Soo Ahn and Jae In Moon. In particular, the close-up shots through the use of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increased the intimacy and attention of the two candidates. There was also a salience of the low angle shots by JTBC and TV Chosun in their coverage of Joon Pyo Hong. The use of this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seemed to highlight heroic image of the candidate Joon Pyo Hong.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the candidate's image differed, even in the coverage of the same candidate, depending on which of the visual rhetoric frames of acclaims, attacks or defences were highlighted and emphasized. KBS emphasized candidate Jae In Moon's rhetoric of acclaims in the sound bite. This means that KBS selected the candidate's rhetoric on his experience and capabilities. In contrast, MBC, JTBC and TV Chosun highlighted the attack rhetoric of candidates Joon Pyo Hong and Chul Soo Ahn against the weaknesses of candidate Jae In Moon. This resulted in promoting the attention and the rally of the conservative voters. Since Joon Pyo Hong frequently engages in attack rhetoric, in line with his sharpshooter image, such attacks against his opponents appear natural. However, the attack rhetoric appears unnatural for candidate Chul Soo Ahn who generally has the image of the "kind and smiling" candidate. Although there are numerous images of candidate Chul Soo Ahn yelling out in his speeches, this looks unnatural given his background as a successful venture entrepreneur. Third, this study revealed that even with the same candidat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isual image narrative and the implications thereof depending on the networks' perspective. Specifically, all the 4 networks highlighted the aspects of the candidate "who listens to the voice of the people". This implied the image of Jae In Moon as the "communicative candidate". The visual image of the communicative candidat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iew of the elections that were held as a result of the sudden impeachment of President Geun Hae Park. It is assessed that the viewers' implicit consensus was naturally raised more through the delivery of the visual image rather than through the verbal text of the communicative politics of candidate Jae In Moon. KBS emphasized the visual images of the huge crowds and the strong response of the supporters for candidates Jae In Moon and Joon Pyo Hong. It is assessed that the indexicality of high support for these two candidates was achieved by framing the visual image narrative of the campaign support for these two candidates. In contrast, MBC, JTBC and TV Chosun highlighted the visual image of the crowd support of candidate Joon Pyo Hong. It is assessed that the use of such visual image narrative functioned to imply that candidate Joon Pyo Hong had significantly more support than Jae In Moon. Further, KBS emphasized the image of Jae In Moon as the "candidate who stands up against unfair accusations". The implicitmessage was to show the candidate as a symbol of righteousness confronting unfair accusations. In contrast, MBC used a metaphoric symbol of Joon Pyo Hong as friendly with the poor to imply that "Joon Pyo Hong represents the poor". MBC's selection appears to be an attempt to minimize the image of Joon Pyo Hong as a candidate of a party for the rich.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intended poor man image was widely shared in view of the reputation of the Liberal Korean Party as a party for the rich. Additionally, MBC, JTBC, TV Chosun by highlighting the visual image narrative of the "strutter" campaign implied that Chul Soo Ahn was "the friendly candidate who directly approaches people". Meanwhile, TV Chosun highlighted the visual image of candidate Seung Min Yu's military defence to present the candidate as "the candidate who is concerned about the people's safety and security". Fourth, regarding verbal texts, even with the same candidate and the same policies, depending on the networks' point of interest, logical structure and ideological tendencies, it can be concluded that a different news frame was apparent. KBS emphasized the comparisons of the candidates' policies and promises to provide the voters with a practical frame. In particular, KBS focused on the comparison frame for the candidates' respective policies on nuclear missiles (ICBM), THAAD, Gaesong Industrial Complex, eliminat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review of nuclear power plants, policies regarding air quality (in respect of the reduction of fine dust), to show that they were delivering useful information to the electorate which can be assessed as a correct news frame. MBC placed a proportionately higher emphasis on the frames that highlighted the allegations against the candidates' point of view on national security. The use of the suspicion frames seems to be aimed at satisfying the citizens' right to know, but they are in fact to raise the allegations of the candidate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thereby increasing the ideological conflicts. JTBC concentrated on the viewers' interest through the public opinion polls frame which is sensitive to public sentiment during elections. As the assessment of public opinion influences the choice of the electorat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was to provide beneficial information. TV Chosun showed its commercial tendency by developing stories on the unusual aspects of the election campaigns. This phenomena of stimulating the viewers' attention and curiosity rather than delivering the core of the election campaign is a reflection of the network's commercial interest in increasing viewership for survival in the very competitive market. MBC and TV Chosun used relatively more of the united candidates frame. On the surface it appeared to be a narrative to assess the uniting of the candidates, but the two networks were infact suggesting that the candidates had to unite in order to win. These two networks had a higher appearance of the candidates united front frame for the conservative candidates. Also, the two networks clearly showed their commercial and conservative tendencies by emphasizing the allegations against candidate Jae In Moon regarding the illegal preferential treatment and on the questions regarding hi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rather than the actual coverage of the election campaign. In contrast, KBS is shown to be giving more weight to reports on the comparison of the candidates' policies, in line with its position as a public broadcaster. In sum,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among the networks, on the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sound-bite rhetoric, visual image rhetoric and news frame, is due to broadcast editing. Broadcast editing here means the entire process of producing the news which reflects the broadcast report, the gate keeping procedure, the filming and editing dissolved together with the network's tendencie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among the networks regarding visual image technical expression, sound-bite rhetoric, visual image frame as well as verbal frame of a candidate that appears in the television news of a presidential election is the outcome of the framing through a complet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that results from an outward expression of the inherent political slant of the respective network. Although this analysis was able to show the differences among the networks on the verbal frame and visual image frame and their implications, the question of how such differences affect the audience (viewer) remains to be answered by furthe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대통령 선거 TV 뉴스에 나타난 언어와 영상 텍스트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방송사별 성향의 차이를 밝히려고 하였다. 기존 TV 뉴스 프레임 연구에서는 시각적 요소의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주로 언어 텍스트 중심의 연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TV 뉴스의 영상 텍스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등의 여러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상 텍스트도 언어적 텍스트와 동일하게 구성된 현실이며, 그 구성 방식이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를 다룬 TV 뉴스의 영상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대선 후보자 관련 뉴스의 언어와 영상 프레임의 특성과 차이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는데, KBS, MBC, JTBC, TV 조선에 나타난 총 334건의 뉴스 아이템과 3,524건의 영상 샷을 분석하였다. 실제 분석에 있어서는 영상 텍스트의 후보별 영상 표현, 후보별 사운드바이트의 수사 담론, 후보별 영상 프레임, 그리고 언어 텍스트의 뉴스 프레임 등이 방송사마다 어떠한 특징과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췄는데, 그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후보자라 할지라도 방송사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표현을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KBS와 MBC는 다른 후보에 비해 문재인과 홍준표 후보에 대한 롱샷과 하이 앵글 표현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두 방송사가 두 후보가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JTBC와 TV조선은 주관적인 클로즈업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안철수, 문재인 후보에 대한 클로즈업샷을 빈번하게 사용함으로써 해당 후보에 대한 시청자의 친밀감과 주목도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되었다. 또한 JTBC와 TV 조선은 홍준표 후보에 대한 로우 앵글 사용이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런 표현은 해당 후보를 영웅처럼 웅장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하겠다. 둘째, 같은 후보자라 할지라도 방송사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바이트의 수사 담론과 청중의 반응 샷이 활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KBS는 문재인 후보의 ‘주장(acclaims)’적 수사 담론을 부각하여 쏟아지는 의혹 제기에 대한 주장을 강화하고 있는 반면, MBC, JTBC, 그리고 TV 조선은 문재인 후보의 약점을 강조하는 홍준표, 안철수 후보의 직설적인 ‘공격(attacks)’적 수사 담론을 부각함으로써, 보수적 성향의 유권자의 관심과 결집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중의 반응 샷에서 KBS는 문재인, 홍준표의 ‘열렬한 환호’가 기계적 균형을 이룬 반면 MBC, JTBC, 그리고 TV조선은 홍준표 후보의 ‘열렬한 환호’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세 방송사가 홍준표 후보를 청중의 열렬한 환호로 지지열기가 뜨겁다는 것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빨간색의 피켓과 요란스러운 도구로 홍준표후보를 응원하는 특색적인 장면을 선호하는 방송사의 관행이 만든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같은 후보자라 할지라도 방송사의 관점에 따라 후보자의 ‘영상적 이야기’의 구성이 달라진다는 사실 역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4개 방송사가 동일하게 문재인 후보의 ‘국민의 목소리에 경청하는 모습’을 부각하여 ‘소통하는 후보자’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는데,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탄핵으로 치러진 이번 선거의 맥락과 정황상 후보자의 소통하는 이미지가 대선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겠다. 즉, 문재인 후보의 ‘소통’ 이미지를 언어보다 영상 이미지로 전달함으로서 수용자의 묵시적이고 암묵적인 동의를 자연스럽게 얻어내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KBS는 문재인, 홍준표 후보를 보도하는데 있어 수많은 사람이 운집한 모습과 열렬한 청중의 반응을 부각하였다. 이는 성공적 유세 장면을 주 영상 이야기로 구성함으로써 마치 두 후보가 모두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와 달리, MBC와 JTBC, 그리고 TV 조선은 홍준표 후보의 유세 지지 영상만을 부각하였는데, 이는 선두를 달리는 문재인 후보보다 홍준표 후보가 더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듯 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 된다. 또한 KBS는 문재인 후보를 ‘부당한 의혹에 맞서는 후보자’의 이미지를 부각하여 ‘정의로운’ 후보로 상징화하였다. 반면, MBC는 홍준표 후보의 서민 친화적 모습을 부각하여, ‘서민과 같은’ 후보로 은유적으로 표상하였다. 이러한 영상프레임은 홍준표의 부자 정당 후보자 이미지를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도했던 서민 친화적 이미지가 공유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또한 MBC, JTBC, 그리고 TV 조선은 안철수 후보의 ‘뚜벅이’ 선거 운동의 모습을 부각함으로써 해당 후보가 ‘소탈하고 친근한’ 후보임을 함축적으로 강조하였다. 이어 TV 조선은 유승민 후보의 국방 안보 영상을 부각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을 걱정하는’ 후보자임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같은 후보자의 정책이라 할지라도 방송사의 관점과 논리 구조, 이데올로기적 성향에 따라 다른 단어 표현, 다른 이야기 구조의 뉴스 프레임이 나타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KBS는 각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을 비교한 점을 부각하여 유권자가 선택을 하는데 유용한 프레임을 제공한 반면, MBC는 사상적 측면에서 후보자의 안보관에 의혹 제기를 부각하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의혹 제기 프레임은 때론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도 하지만 대개 후보 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도 있다. JTBC는 선거 과정에서 민심의 방향에 민감한 여론조사분석프레임을 통해서 시청자의 관심을 모으는데 주로 집중하고 있었다. TV 조선은 특이하고 이색적인 선거 운동의 소재를 개발하여 시청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주는 이색 선거 흥미 프레임을 보여줌으로써 시청률을 향상시키려는 상업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MBC와 TV조선은 후보단일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후보단일화 프레임은 표면상으로는 단일화를 점검하는 이야기로 구성되지만 사실은 단일화를 해야만 대통령선거의 승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또 두 방송사는 문재인 후보의 불법적 특혜 의혹제기나 국가안보관 의혹을 강조하는 의혹보도 프레임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선거 보도의 본질보다는 자극적 이슈에 치중하는 언론사들의 상업적 경향과 보수적 성향이 합쳐져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앞선 밝힌 뉴스의 영상 표현, 사운드바이트의 수사 담론, 청중의 반응 그리고 영상프레임의 차이는 방송의 편집에서 기인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즉, 여기서 방송의 편집은 취재 기자의 기사 작성과 게이트 키핑 과정, 영상 기자의 촬영과 편집 등 방송사의 조직적 특성이 반영되는 의미에서의 편집을 뜻한다. 이러한 전 과정에서 방송사의 정치적 성향이 방송의 편집으로 녹여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모든 과정에서 뉴스를 선택하고 배제하는 프레이밍이 발생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데올로기 작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언어보다 영상이미지는 무의식적 영역을 자연스럽게 자극하는 기제로 작동되었다. 결과적으로 4개 방송사의 대통령선거뉴스에 나타난 영상과 언어프레임의 차이는 전 과정에서 선택과 배제가 작동한 결과이며, 방송사의 조직적 성향이 내재되어 표출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송사별 언어와 영상프레임의 차이와 그 함축적의미를 밝힐 수 있었지만, 그 차이가 수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후속연구의 과제를 남겼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