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 연구

        김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647

        본 논문은 <달래나 보지>․<오누이 힘내기>․<여우누이>를 ‘남매관계 설화’로 묶어 설화 속에서 남매관계가 형상화되는 양상을 육체·감정·맥락·무의식이라는 시각에서 새롭게 논의했다. 육체와 관련하여, <달래>에서는 누이의 육체 일부가 감각의 대상으로 형상화되고 폐쇄적․일방향적으로 인식되면서 은폐된 남매관계가 나타난다. <힘내기>에서는 누이의 육체가 완력을 중심으로 형상화되는데 ‘성쌓기형’에서 누이의 힘은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굴절되며 ‘옷짓기형’에서 누나의 육체가 갖는 영향력은 대폭 축소된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의 괴물화된 육체가 집중적으로 형상화되고 오빠들과 여우누이는 극단적으로 이질화되면서 파괴적 관계를 구축한다. 감정 이론에 따라 남매관계 설화를 살피면 <달래>에서는 오빠/남동생의 성욕과 죄책감, 누이의 슬픔이 주목된다. 이야기판에서는 오빠/남동생에 대한 혐오 혹은 음담적 흥미가 드러나지만 ‘연민’의 감정은 찾기 어려웠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에는 패배한 누이에 대한 제한적 공감과 지배 질서에 대한 두려움이 함께 나타나지만 ‘옷짓기형’의 감정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로부터 유발되는 공포, 그 공포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흥미와 파괴적․윤리적 쾌감이 함께 드러난다. 남매관계 설화의 공간적․사회적 맥락을 읽으면 <달래>의 경우 남매의 문제에 공간은 무의미하며 남매 외의 가족·지역·국가 등의 관계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바 이는 남매관계의 고립성과 경계성의 지표이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과 ‘옷짓기형’에서 공히 남매는 대조적 공간을 구축하며, 가부장제․국가 권력 등 지배 질서와의 갈등 속에서 여성과 장사에 대한 배제와 제거를 실현한다. <여우>에서는 남매 갈등의 심화에 따라 공간이 분산되는데 이는 가족의 해체에 대응된다.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에 드러나는 이러한 육체와 감정, 그리고 맥락의 함의는 무엇인가? 먼저 오빠/남동생의 존재가 분열되고 대상화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의 경우 오빠/남동생의 자살은 신체의 자기분열, 감정적 자기혐오를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화자와 청중의 희화적 시선도 나타난다. 이러한 파편성은 <힘내기>에서도 유사한데 ‘옷짓기형’의 경우 역사적 인물인 남동생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지만 그런 속성이 없다면 정체성이 취약해지는바 비극적 인물은 후대의 권력 유지, 공동체 결속과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대상화되는 측면이 있다. 다음으로 누이의 불확정적 정체성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에는 누이에 대한 불완전한 성적 대상화가 나타난다. 누이의 탄식은 오빠/남동생의 성욕에 대한 구체적 예측이나 가정을 동반하지 않기에 ‘달래나 보지’라는 탄식은 성욕의 표현이 아니라 욕망의 한정을 의미한다. <힘내기>나 <여우>에는 누이의 ‘혼성성’이 두드러진다. <힘내기>의 누이에게는 ‘유사 모성’, ‘여성 젠더에게 기대되지 않는 힘의 소유자’,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남성성’ 등 모순적이고 혼종적인 속성이 부여되고, <여우>의 여우누이에게는 인간으로 보려는 시선과 괴물로 보려는 시선이 동시에 투영된다. 남매관계 설화에 함의된 오빠/남동생의 분열성, 누이의 불확정성은 알면서도 모르는 듯 대하는 무의식의 기제인 ‘부인(否認, disavowal)’을 통해 해명할 수 있다. <달래>의 오빠/남동생은 ‘도덕적 나’에 대한 욕망과 누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성기에 죄를 집중시킴으로써 성욕을 부인한다. <여우>에는 집안을 망치는 딸은 원치 않지만 동시에 부모의 결핍을 채워주는 ‘여우같은 딸’은 원하기 때문에 괴물 누이를 용인하는 부인이 나타난다. <힘내기>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부장제·국가 권력과의 관계에까지 부인이 확장됨으로써 누이의 힘에 대한 이중의 부인이 나타난다. 이는 국가 권력을 무서워하면서도 욕망하고, 누이나 역사인물의 힘을 선망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전승주체의 부인과 관련이 있다. 남매관계 설화의 전승사적 맥락은 유관 설화인 <홍수와 남매혼>․<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의 비교를 통해 분명해진다. <홍수>는 남매에서 비롯된 인류의 존재를 긍정하기에 남매간 ‘금지’에 대해 무관심한 서사, ‘부인’이 발생하기 전에 남매가 문제를 극복하기에 부인이 부재하는 서사, 즉 ‘탈남매관계화’한 서사이다. <해와달> 역시 남매간의 성욕에 대한 부인이 이미 완료·소멸되었고, 남매간 ‘금지’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 ‘탈남매관계화’한 설화이다. 그 결과 이들 설화는 전승력이 약화되거나 전승주체의 변화가 발생한다. 남매관계는, 남매관계 설화를 현재까지 밀고 온 동력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by combining <You would have asked for(달래나 보지 Dallae-na-bo-ji, Dallae for below)>,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Onui-himnaegi, Himnaegi for below)>, and <Fox sister(여우누이Yeo-u-nui, Fox for below)> tales. The main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the issue of ‘body’, ‘emotion’, ‘context’, and ‘unconscious’. In regard of the issue of ‘body’, in Dallae only a limited part of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f sensualization, and due to the closed, one-way perception regarding the sister,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s concealingly constructed. In Himnaegi,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round her physical strength. In the ‘castle-building type’, the sister's strength is not fully approved and is refracted. The influence of her body in the ‘clothing type’ is greatly reduced. In Fox, the image of the fox sister is focused on revealing a monstrous body, while the heterogeneity among the brothers and the fox sister is maximized, establishing a destructive relationship. From emotion theories’ perspective, Dallae’s narration focuses on the brother’s sexual desire, his sense of guilt and the sister’s grief. Tellers and audience may reveal both hate/disgust and interest toward the brother,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 presence of ‘compassion’. In Himnaegi, the ‘castle-building type’ shows limited empathy toward the defeated sister and a fear for the ruling power. The ‘clothing type’ shows a relatively low density of emotions. Fox represents the horror of the monstrous fox sister while it is also possible for tellers and audience to have destructive and ethical pleasure as the brother's fear is consumed as entertainment. In terms of spatial and social aspects, the space in Dallae is a space of emptiness, and the family,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eldom appear, which leads to isolation and liminality. In Himnaegi, the brother and sister construct contrasting spaces both in ‘castle-building type’ and ‘clothing type’. The exclusion and removal of women and strength are realized through the conflicts with the patriarchy and state power. In Fox, dispersive spatial changes are responding to that brother-sister conflict and the family’s disorganiz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meaning of brother and sister will be examined. The brother shows the self-division and objectification. In Dallae, his suicide is a ‘self-division of his body’ as well as self-hatred while tellers and audience may show views of ridicule toward the brother. Himnaegi also shares the fragmentary presence of the brother. Although the younger brother-historical person's influe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lothing type’, his identity becomes vulnerable without the attributes of historical figures, whose heroism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power and community solidarity of the present time with selective objectification. The sister’s identity is constructed with uncertainness. Dallae reveals incomplete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sister; her sigh does not accompany specific predictions or assumptions about her brother nor about his sexual desire. The sigh, ‘Dallae-na-bo-ji(You would have asked for…)’ would eventually limit the existence of the brother’s sexual desires. In Himnaegi and Fox, the sister’s hybridity appears. In particular, the sister in Himnaegi consequently owns hybrid characteristics ― quasi-motherhood, ‘inappropriate’ strength of the female gender, and temporarily performed masculinity. In Fox, expectations for both humans and monster are projected onto the fox sister. The self-division of the brother and the ambivalence of the sister can be clarified through the conception of unconscious ‘disavowal’, which originates from the psychoanalytic approach. In Dallae, the brother’s desire for a ‘moral self’ and a fear for his sister drive him to concentrate on the ‘sin of the penis’ disavowing his sexual desire. In Fox, disavowal appears when we call for ‘daughter like a fox’ who is necessary to satisfy the parents’ deficiency, which leads to the continual appearance of monstrous fox sister. In Himnaegi, disavowal extends to the relationship through patriarchal system and state power, resulting in a double disavowal of the sister’s strength. Therefore we can also find out disavowal from transmitters who have ‘fear and desire for state power’ and ‘envy and fear for the strength of the sister and the brother(historical hero)’. The research expands to related tales such as <The Flood and Brother-Sister Marriage(Flood for below)> and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Sun and Moon(Sun&Moon for below)> to explore the transmission historical context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Flood is a relatively indifferent narrative about incest ban, because it affirms the existence of mankind that has prospered from the brother and sister’s marriage. Flood also does not carry disavowal of sexual desire, because the brother and sister overcome the problem and move toward a common goal before the disavowal happens. Therefore, Flood can be concluded as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n the currently existing Sun&Moon the disavowal of sexual desire has already been completed and has disappeared in Korea's Sun&Moon, and the incest ban is also not surfaced at all. Therefore, the current Sun&Moon is also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is drastically weakened or the subject of transmission has changed. Brother-sister relationship itself has been the engine of transmission so far.

      • 식민지적 근대와 분열의 서사

        주민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69

        본 논문은 탈식민주의적 관점과 서사학적 접근을 통해 식민지적 근대 안에서 피지배자인 개인들, 특히 지식인들의 내면 양상을 드러내는데 주목한다. 근대로의 진입과 일본의 식민지배가 동시에 진행되었던 한국 근대사의 특이성으로 인해 식민지 지식인의 심적 상태(mentality)는 매우 혼란스러웠다. 서양과 일본을 이상적인 모델로 상정하고 그들과 똑같아지려는 식민지 지식인들의 내면은 자신의 역사적·문화적 기반을 열등한 것으로 인식하면서 거부하려는 몸짓과 피지배자로서 지배자를 응시하는 시선을 보이기도 하면서 혼란스럽고 양가적인 형태를 띠었다. 근대라는 것이 본래적으로 비균질적인 성질을 띠고있었기에 이에 대응하는 개인들의 내면 역시 비균질적일 수밖에 없었다. 근대에 대한 경험과 겹쳐진 식민지배의 경험은 개인들을 무엇으로도 명확히 규정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었고 이러한 심리적 양태는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었다. 문학 텍스트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이 시기 텍스트들을 분석하면서 대개 지배/피지배 혹은 억압/저항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시각은 필연적으로 피지배자의 저항에 주목하는 형태로 전개되면서 텍스트를 일면적으로만 파악하게 했다. 본고는 단순히 지배/피지배, 억압/저항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에서는 식민지배국과 식민지의 관계의 본질을 이해할 수 없다고 보고 텍스트를 새롭게 분석하려 했다. 이를 위해 탈식민주의 담론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되는 양가성과 혼종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내면이 결코 하나의 의미나 코드로 환원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려는데 초점을 두었다. 서사학적 접근은 텍스트 내에서 인물과 화자·서술자의 욕망의 관계를 보다 정치하게 밝혀낼 수 있는 이론적 도구가 되었다. 텍스트에서 '누가 말하는가'와 '누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가'를 구별하고 그로 인해 인물의 욕망과 화자·서술자의 욕망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텍스트의 성격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 분석한 텍스트, 『무정』, 『만세전』, 『날개』는 모두 주체의 분열을 내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각 텍스트별로 분열이 드러나는 지점은 달랐다. 특히 화자·서술자의 욕망이 인물의 욕망을 압도하는 양상에 대한 분석은 텍스트의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식민지 시기 텍스트를 탈식민주의적 시각을 통해 분석하는 것은 결코 이항대립적으로 확연하게 구분될 수 없었던 식민지적 근대의 시대적 양상과 개인들의 내면을 밝혀내는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서사학적 접근은 텍스트 내의 인물과 화자·서술자간의 욕망의 관계에 주목하게 하여 텍스트의 성격을 규정하고 더불어 주관적 인상에서 벗어나 연구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이론적 도구의 역할을 했다. From this thesis, we notice that intellectuals' mentality were under the control of dominator with post-colonial discourse and narratology. Because Korea modern history was particular, colonial intellectuals' mentality were extremely confused. They thought that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were ideal type and their historical and culture foundation was inferior. Their mentality was ambivalent and bybrid. Because Modern times was uneveness, cope with the situation personal mentality was uneveness, too. Experience in modern times overlap experience under the control of dominator made individuals into ambiguous condition that can't prescribed definitely. These tendencies were expressed to various forms. Literature texts were similar. But most of existing theses were impossible to deviate from the composition of dichotomy called suppression vs resistance. From this thesis, therefore, induce ambivalence and hybridity in the core of post-colonial discourse, it make effort to clarify the fact can be restored one meaning or one code with intellectuals' mentality in Korean modern times and colonial times. The analysis with narratology make more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desire of character and a narrator in selected texts. According to distinguish between ‘who is speaking' and ‘who is focused' in text and relation between the desire of character and a narrator, it is settle with the personality of text. The works of 'Moojung(무정)', 'Mansejeoun(만세전)' and 'Nalgae(날개)' were analyzed in this thesis have disruption. But it is different to aspects of disruption in each text. Especially, it is of very important thing conclude the personality of text that analysis of aspect narrator's desire exceed the desire of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