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비동거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전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38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adaptation in college life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argeting 257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gratitude‘ to father was 4.22 and that to mother was 4.30.'indebtedness’ to father 4.06 and that to mother 4.13, ‘intimacy’ with father was 3.48 and that with mother was 3.71, ‘respect’ to father was 4.04 and that to mother was 4.19. Regarding the ‘conflict’ indicating the negative emo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nflict” with father was 1.85 and that with mother was 1.87, which showed lower levels than the other variables. Regarding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was 2.31 points with father and 2.29 with mother. Regarding sub-variables, self-soothing showed 4.87, self-disclosure showed 4.83, physical soothing showed 4.80 and resilience showed 4.49 points respectively. Lastly, regard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ademic adaptation showed 4.78, social adaptation showed 3.43, physical adaptation showed 3.21 and attachment to college showed 3.35 points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he variables which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ere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lictual independence. The variables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btedness’ were soci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tim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egarding 'conflict', only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in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Regarding ‘respect’,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in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rd,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that college students related variables affect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showed 21.9% to father and 19.7% to mother. In related variables, ‘gratitude’ to fa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is low, attachment to college is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and the father has brothers. And, ‘gratitude’ to mo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re lower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Explanatory power of ‘intimacy’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s 31.5% with father and 24.6% with mother.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f father and mother showed low conflictual independence. As the social adaptation was higher, ‘intimacy’ with parents was identified to be higher.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on ‘confli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explanatory power was identified 22.9% with father and 23.0% with mother respectively. Regarding variables related both to father and mother, higher conflictual independence with parents was identified in the cases of boarding and lodging. ‘Respe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as identified 28.7% to father and 27.6% to mother. Regarding the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to father, ‘respect’ to father was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were lower,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higher, the grade was lower and the subjects had brother. ‘Respect’ to mother was higher as the subjects had lower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and were lower grade students. There is a meaning in that this study showed that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have affected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children an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25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고마움’은 아버지 4.22점, 어머니 4.30점, '죄송함’은 아버지 4.06점, 어머니 4.13점, ‘친밀함’은 아버지 3.48점, 어머니 3.71점, ‘존경’은 아버지 4.04점, 어머니 4.19이었으며, 부모자녀간의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갈등’은 아버지 1.85점, 어머니 1.87점으로 나머지 변인들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갈등적 독립에서는 아버지는 2.31점, 어머니는 2.29점이었으며, 자기위로는 하위변인별로 스스로 위로하기는 4.87점, 자기노출은 4.83점, 신체적으로 위로하기는 4.80점, 회복력은 4.49점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은 학문적 적응이 4.78점, 사회적 적응이 3.61점, 정서적 적응이 3.43점, 신체적 적응이 3.21점, 대학에 대한 애착이 3.35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성은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갈등적 독립이었다. ‘죄송함‘에 대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사회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친밀함'은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갈등’은 갈등적 독립만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났다. '존경'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관련 변인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은 전체 설명력이 아버지 21.9%, 어머니 19.7%로 관련변인은 아버지는 갈등적 독립이 낮고 대학에 대한 애착이 높고 주관적 경제수준 높을수록, 형제가 있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친밀함’의 설명력은 아버지 31.5%, 어머니 24.6%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의미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이 낮으며, 사회적 적응이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친밀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갈등’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 22.9%, 어머니 23.0%의 설명력을 보였고, 부모 모두 관련변인으로는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기숙과 하숙일수록 부모에 대한 갈등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존경'은 아버지 28.7%, 어머니 27.6%로 아버지의 유의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고, 저학년이며 형제가 있을수록 아버지에 대한 '존경'이 높았고,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과 부모학력이 높은 저학년일수록 어머니에 대한 '존경'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혔고,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이수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618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기대-실제자 기의 불일치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과 정적 상관을 갖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와 심리 적 부적응 간의 관계가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N=271)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판 부모기대 부응 척도(K-LPEI), 대학생활 적응 척도(SACQ)의 개인-정서적응 문항, 심리적 독립 척도(PSI)의 갈등적 독립 문항,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 축형(K-MC-13)이 사용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차이가 크다 고 지각할수록 대학생활에서 높은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였다. 부모기대만을 독립변인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 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적 독립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즉, 부모 기대-실제자기 불일치를 크게 지각하는 학생들은 갈등적 독립 수 준을 낮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다시 대학생활에서의 높 은 심리적 부적응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부모에 대한 원 망, 죄책감, 분노 등의 갈등적 정서를 유발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실제에 갖는 함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관해 제언하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부모 기대와 연관된 심리적 부적응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 기대와 실제 자기에 대한 지각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필요한 경우,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상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불일치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개별화를 촉진하는 등 부모에 대한 갈등적 정서를 감소시키는 상 담 개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는 오랜 기간 부모 기대에 과잉 부응하고 있는 자녀 혹은 높은 부모의 기대에 계속해서 부응하고 있는 자녀 등 특수집단에 대한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문화 권의 대학생들의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하여야 한 다. 학업이나 진로 영역 외에, 자녀의 연애 관계에 관한 부모기대 -실제자기 불일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심리적 분리 뿐 아니라, 상호간 이해와 수용, 높은 친밀감을 경험하는 성숙한 부모자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모기대-실제자 기 불일치의 인과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실시될 필요 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epancies between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research with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N=271). Korean version of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Inventory(K-LPEI),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tems from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Conflictual Independence items from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PSI), Korean version of Marlowe Crowne 13 Items Social Desirability Scale(K-MC-13) were used. The major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is of correlation, regression, and mediation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However,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per se were not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who perceive high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selves and parental expectations tend to report low level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be less psychologically adjusted to colle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may induce conflictual emotions(i.e., excessive guilt, anxiety, responsibility, resentment, and anger) in relation to parents, which lead to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college students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sociated with their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should examine separately their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If necessary, counselors can help to reduce the present discrepancies to a realistic level by improving communication reciprocity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when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can decide to implement specific counseling practice which reduces the clients’ conflictual emotions toward parents, such as facilitating their psychological individuation from parents. For future studies, special groups such as college students who are overly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or living up to extremely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should be examined. An exa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s also needed, since it may yield different results from this study. Furthermore, in addition to academic and career areas, further exploration on dating concerns is required whe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dditionally,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which encompasses every aspect of highly mature parent-child relationships, where high levels of intimacy, reciproc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s well as psychological separation, are achieved. Finally, additional research exploring the causal influence of the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