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 연구 : 돈암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97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결정하면서 9개 서원을 포괄하는 통합 보존·관리방안과 함께 통합해설 마련을 권고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따른 서원의 보존관리체계 현황과 보존·관리 및 활용과 관계된 법령과 정책, 지정 및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돈암서원의 문화재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경관적 특성 및 기능, 조선시대 향촌사회에서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원은 단순히 교육기관으로 그치지 않았다.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관리 제도를 바탕으로 선현제향과 학맥형성, 향음주례 등을 통해 향촌문화를 주도했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현황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현황, 지정현황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문화재보호법과 관련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를 위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출범이 지연되면서 연속유산인 9개 서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9개 서원 연속유산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유학교육시설 활용사업인 향교·서원 활용사업에 있어서 진정성을 고려하지 않는 양적 성장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지원 건수의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민관산학 뉴거버넌스를 통한 영주 소수서원의 유교콘텐츠와 선비촌의 선비문화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수사례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 돈암서원의 통합적 보존과 활용 증대와 관련하여 유·무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보존과 활용,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완전성·진정성 보호 방안, 지속가능한 보호관리 체계와 모니터링 평가 방안, 서원 네트워킹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서원」 돈암서원의 차별성 있는 활용프로그램을 위해 제향인물, 학문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한 개별프로그램 제안과 다른 8개 서원 간 연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돈암서원 활용 증대를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민 간의 뉴거버넌스를 통해 7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신축 체험시설인 예학관과 한옥마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유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간접자본 마련 후에는 돈암서원과 사계고택 등 연산-계룡을 잇는 사계 김장생 관광코스 개발로 활성화를 모색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인식과 지속가능한 활용 증대를 위한 통합적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지역유산의 모니터링 및 활용프로그램 참여유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돈암서원의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On July 6, 2019, the World Heritage Center, UNESCO decided to inscrib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a World Heritage, it recommended to prepare an integrated explanation of nine Korean Seowons along with an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vering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nd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s, policies, and system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reof; this article set out the following thesis to suggest a measure on increas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namseowon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Fir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ical change of seow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landscape, and the role and meaning in the country community of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not just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a systemat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summarized that the country community culture was led through the formation of veneration, the formation of academia, and the rite of drinking(Hyangeumjury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egislations, current policies and designations, and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the curr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its guidelines and also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aised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the launch of World Heritage Center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was postponed,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erial heritag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Thirdl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analysis of the Seow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utilization program for the serial heritage of the nin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considering authenticity of the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and the imbalance in the number of support for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e best practice of utilizing integrally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 content of Yeongju Sosu Seowon and the village of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e new-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industry, and/or academy.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couple of plans to promote th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namseowon including the integrated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s remarkable universal valu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lans based o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s, and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rough Seowon network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dividual programs were proposed based on content about enshrined figures and studies to ensure a differentiating utilization program for Donamseowon as a Korean Seowon. Also proposed in this study were programs to connect eight Seowons in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critical to solve the issues of Yehakgwan, which is a new experience facility not in service for seven years, and Hanok Villag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It was also highlighted to make active efforts such as the attraction of World Heritage Center. Once such indirect capital is funded,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Donamseowon and Sagye's old house to develop a tourist course of Sagye Kim Jang-saeng between Yeonsan and Gyeryong. The present study puts an emphasis on an integ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to promote Seowons' value as cultural relics and their sustainable utilization. It also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by induc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and utilization programs for loc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 연구 :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중심으로

        심영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66846

        노후주거지에 대한 도시계획 패러다임은 공공주도의 전면철거 재개발 방식에서 지역의 사회·문화·역사·경제적 가치를 존중하는 재생방식으로 전환하였다. 기존 전면재개발 방식은 지역 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다양한 가치요소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노후주거지의 재생을 위해서는 물적 환경 개선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문제의 해결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 재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면재개발에 대비되는 명확한 해결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그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도시재생방안’을 모색하려는 취지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자산을 유형화하고 발굴하여, 이를 활용한 통합적 도시재생 방안과 효과를 제시하고 단계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합적 재생을 위해 활용 가능한 지역자산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세부 대상지로는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선정하였다. 북정마을은 낮은 재개발 사업성으로 인해 10년 동안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때문에 지역의 낙후화가 더욱 심화된 지역이다. 최근 서울시는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 조성 종합계획’의 수립을 통해 한양도성 인근 노후주거지를 보존하며 재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북정마을은 서울시가 제안하는 성곽마을 조성 주요 검토지역으로 선정되는 등 기존의 정비방식 보다는 재생을 통한 환경 개선이 시급한 지역이다. 지역자산의 선정은 대상지의 통합적 재생을 위해 활용 가능한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북정마을 통합적 재생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측면에서의 재생 목표는 노후화된 거주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고유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재생 목표는 주민역량강화를 통해 주민참여를 확대하고, 장기적으로 기존 커뮤니티를 보존하는 것이다. 경제적 측면에서의 재생 목표는 주거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역주민의 경제적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정마을의 지역자산 유형을 사회적 자산, 장소자산, 역사자산, 관광자산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지역자산은 보존 및 정비 방식을 통해 통합적 재생에 활용된다. 통합적 재생은 점진적 변화의 과정이 중시되며, 이러한 변화의 상태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보존과 정비 방식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보존과 정비라는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의 틀을 토대로 네 가지 유형의 지역자산 별로 실제적인 재생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발휘될 수 있는 물리·사회·경제를 포괄적으로 고려한 통합적 재생효과를 설명하였다. 통합적 재생의 점진적 측면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통합적 재생을 위한 단계를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 전략을 정리하였다. 1단계는 지금 당장 실현가능한 재생방안이고, 2단계는 마을의 통합적 재생을 위한 중간단계이며, 마지막 3단계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을의 지속가능한 유지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단계이다. 재생 프로세스에서 가장 마지막에 이루어져야 할 것은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살린 관광콘텐츠 개발 및 지역 활성화이다. 북정마을은 우선적으로 마을 주민의 사회적·경제적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고, 물리적으로는 지역의 장소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주민이 살기 좋은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여야 한다. 만약 선행조건들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채 관광적 측면에 집중하여 지역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재생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기존 거주민의 주거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자산을 유형화하고 발굴하는 과정을 통해 한양도성에 인접한 오래된 마을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분석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도출된 지역자산을 활용한 실제적인 통합적 재생방안과 효과 및 구체적 실현을 위한 단계적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기존의 전면재개발에 대비되는 대안 중 하나로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또한 북정마을이라는 실제 공간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통합적 재생방안을 제시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향후에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 또는 지역자산이 풍부한 오래된 노후주거지의 지역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다만 연구기간이 충분하지 못하여 연구에서 제시한 재생방안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연구의 한계로 밝힌다. 또한 마을에서 일어나는 현황에 대한 세세하고 구체적인 조사 및 분석이 충분하지 못하여,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재생방안의 현실적인 실행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접근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도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이다. 예를 들어, 마을기업을 조직할 때 지역의 어떤 주민이 리더 역할을 하고, 다른 사람들은 마을기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안까지 도출하지는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