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인바운드 환자 인수인계에 대한 임상의사결정역량 및 인수인계 평가 모형

        오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340

        Background: Inbound patient handover in emergency departments is a process of transferring patient information and care responsibilities and is critical for patient safety and continuity of care. However, the emergency department is a crowded and complex environment prone to handover error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handover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for inbound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 This study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verify both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s.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cision-making model of Hansen and Thomas (1968) and previous studies. The main variables were task complexity, work environment, knowledge-sharing behavior, autonom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handover evaluation. A total of 223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web-ba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ugust 28 to August 29,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hypothetical model fit, and the significance of paths using SPSS WIN version 28.0 and AMOS 28.0 programs.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final model through a three-stage model derivation process. The fit index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improved in the final model compared to the initial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ut of the 15 hypothese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10 hypotheses were significantly supported, and four were partially supported.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factors directly influencing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ere knowledge-sharing behavior (β=.32, p=.010), autonomy (β=-.55, p=.010),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62, p=.010), while the factors indirectly influencing were task complexity (β=.12, p=.034), work environment (β=-.15, p=.023), knowledge-sharing behavior (β=.25, p=.010), and autonomy (β=.22, p=.010).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for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as 57.5%. Factors directly influencing handover evaluation were the work environment (β=.34, p=.010), knowledge-sharing behavior (β=.27, p=.034),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30, p=.044), while factors indirectly influencing were task complexity (β=.10, p=.034), work environment (β=-.12, p=.023), knowledge-sharing behavior (β=.30, p=.010),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18, p=.044).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for handover evaluation was 67.8%. Conclusion: This study constr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explains the paths and factors between multi-variables that affect the evaluation of handovers between paramedics and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constructed a body of knowledge to solve nursing problems based on valid ev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handover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for inbound patients. 배경: 응급실 인바운드 환자 인수인계는 환자의 정보와 치료의 책임을 이전하는 과정으로 환자 안전과 진료의 연속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응급실은 혼란스럽고 복잡한 환경으로 인수인계의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인바운드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역량 및 인수인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인바운드 환자 인수인계 시 임상의사결정역량 및 인수인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 구축 및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Hansen과 Thomas (1968)의 Decision making model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업무복잡성, 간호업무환경, 지식공유행위, 자율성,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의사결정역량, 인수인계 평가를 주요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응급실 간호사 총 223명이며, 2023년 8월 28일부터 8월 29일까지 구조화된 웹기반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8.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3단계의 모형 도출 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산출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지수는 첫번째 가설적 구조모형보다 최종모형에서 모형적합지수와 적합여부가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 의해 도출된 15개 가설 중 10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으며, 4개의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주요 변수들의 경로분석 결과 임상의사결정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지식공유행위(β=.32, p=.010), 자율성(β=-.55, p=.010), 비판적 사고성향(β=.62, p=.010)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업무복잡성(β=.12, p=.034), 간호업무환경(β=-.15, p=.023), 지식공유행위(β=.25, p=.010), 자율성(β=.22, p=.010)이었다. 이 모형의 임상의사결정역량에 대한 설명력은 57.5%였다. 인수인계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업무환경(β=.34, p=.010), 지식공유행위(β=.27, p=.034), 임상의사결정역량 (β=.30, p=.044)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업무복잡성(β=.10, p=.034), 간호업무환경(β=-.12, p=.023), 지식공유행위(β=.30, p=.010), 비판적 사고성향(β=.18, p=.044)이었다. 이 모형의 인수인계 평가에 대한 설명력은 67.8% 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구급대원과 응급실 간호사 간의 인수인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수 간의 경로와 요인에 대해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간호문제를 해결하는 지식체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바운드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역량 및 인수인계 평가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박세리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구체적인 인수인계 현황을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5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9일부터 2023년 3월 28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정도는 4점 만점에 1.75±0.30점이었고, 제일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1.93±0.43점으로 ‘인계가 되지 않았거나 불명확하여 퇴근한 전 근무자에게 연락하여 확인한 적이 있다.’였다. 서면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5점 만점에 2.75±0.51점이었으며, ‘신규 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이 부족하다.’ 문항이 4.07±0.77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 점수는 6점 만점에 4.41±0.54점이었으며, ‘내가 받은 인계는 가장 최근의 것이다.’ 문항이 5.08±0.59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는 인수인계 오류 경험(r=-.312, p<.001)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r=-.437, p<.001)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수인계 오류 경험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14, p<.001). 결론: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간호사의 인수인계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원인을 감소시키는 것은 인수인계 평가를 높이는 전략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간호사 대상으로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인수인계 오류 원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인수인계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Recently,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of handover among hospital nurses, interest in written handover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15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at implement written handov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9, 2023 to March 28, 2023.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27.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 of handover error was 1.75±0.30, the cause of handover errors was 2.75±0.51, and the evaluation of handover was 4.41±0.5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evaluation and experience of witten handover error(r=-.312, p<.001), and the cause of handover error (r=-.43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and causes of witten handover errors (r=.514, p<.001). Conclusion: When preparing a handover training program for nurses who perform written handover, it is important to identify nurses' experiences, causes and evaluations of handover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trategy to reduce the experience and cause of the handover error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valuation of handover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