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탐색을 통한 척도개발 연구

        이귀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58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 봉사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의 번아웃 경험 탐색을 통하여 이들의 번아웃을 구성하는 개념들을 정립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번아웃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교회봉사자들의 번아웃 구성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분석하고,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한 교회 봉사자 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방형 설문을 통한 자료 수집한 내용을 토대로 10명의 교회 봉사자를 심층 인터뷰하여 자료를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교회봉사자들의 번아웃을 유발하는 요인과 증상, 시기, 그리고 대처 노력 등에 대한 구성 요인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에 근거한 119개의 최초문항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척도개발과 타당화를 위해 앞서 수집한 질적 자료와 선행 연구, 문헌 자료들을 토대로 추출된 119개의 최초문항은 전문가들에 의해 1, 2차 내용타당도 검증, 국문학 전공자에 의한 문항 검수, 그리고 8명의 교회봉사자들을 통한 안면 타당도를 거쳐 35문항의 교회봉사자의 번아웃 예비 검사지로 제작되었다. 전국 545명 교회 봉사자에게 관련 설문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문항적합도 검사를 거쳐 35문항으로 선별되었고, 해당 문항은 4차례의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최종 4요인의 20문항으로 정리되었다. 이후 확인적 요인을 통해 최종 4요인의 18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최종 모형은 신체적 탈진 4문항, 정서적 탈진 8문항, 과도한 봉사 3문항, 대우불만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0.619~0.867이며, 최종 모형의 전체 신뢰도는 0.865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구인타당도와 교차 타당도 검증에서는 일부 충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회 봉사자들의 번아웃 관련 요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척도화하는데 있어 타당도를 높이는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번아웃 예방 및 치유의 기초 자료로써 후속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mposition concept of burnout and to develop the measuring tool of burnout with proved reliability and validity by the exploring of burnout experiences of church volunteers in Korean. First, to establish the composition concept of burnout of Korean church volunteers, the open was data was collected targeting 95 church volunteers in Korea. Based on it, an in-depth interview about burnout experience was conducted targeting 10 church volunteers. As a result, the church volunteers’ burnout was largely classified in to cause, symptoms, and time of burnout. Based on the detailed statements, the overall composition concept was established. Afterwards, the initial 119 sentences were composed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and literary consideration collected from previous study, and then a primary questionnaire with 35 questions was produced after going through several meeting with experts. Then the data of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545 church volunteers. In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otal four factors and 18 questions were selected. The final model composed of four factors: physical exhaustion, psychological exhaustion, dissatisfaction with treatment, excessive workloa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nal model was 0.865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factor was relatively good(0.619~0.867). As a result of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some satisfactions were confirmed in construc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tests.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to specifically identify and quantify burnout-related factors of church volunteers, but related research will contribute to follow-up research as basic data for burnout prevention and healing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 목회자의 영적 침체와 해결 방안

        박재남 총신대학교선교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8

        한국교회가 ‘Again 1907'이라는 깃발아래 다시금 일어서고 있다. 한국교회 성장과 선교의 역사는 이유 있는 하나님의 축복이요 사명이다. 지금 한국교회는 복음에 빚진 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열방을 향해 일어나 빛을 발해야 할 것이다. 세상을 살리기 위해서는 교회가 일어서야 하며 교회를 살리기 위해서는 목회자가 바로 서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장해 가던 한국교회가 점점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목회자들도 힘을 잃어 가고 있는 현실이다. 목회자의 수는 점점 늘어가지만 사회적 인식과 기대는 더욱 낮아지고 있다. 시대는 갈수록 종교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망령에 빠져 들어간다. 최후의 영적 전쟁이 도래하고 있는 모습이다. 말세에 고통 하는 때에 사람들은 자기를 사랑하고 돈을 사랑하며 사나우며 원통함을 풀지 아니하며 감사치도 아니한다. 하나님 사랑보다 쾌락을 더 사랑하고 신앙생활을 종교생활로 추락시켜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을 상실한 자들이 된다. 이러한 세대 가운데 목회자들이 영적 목회를 실현하기란 그리 쉽지만은 않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교회가 성장이 멈추었다고 그 성장의 가능성까지 멈춘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목회자가 영적 침체에 빠져 있다고 회복의 기회조차 없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목회현장에서 영적 침체로 고통 받는 목회자들이 말씀의 빛, 사랑의 빛 가운데서 새롭게 길을 찾고 일어서서 힘 있게 교회의 남은 사명을 감당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또한 예비 목회자들에게는 타산지석이 되어 다가올지 모르는 영적 침체에 대한 사전의 예방에 그 목적을 둔다. 그렇게 가볍고 즐거운 주제가 아니기에 본 연구를 위한 견본 추출이 쉽지는 않았지만 목회자의 영적 침체를 막아서며 한국교회를 건강하게 만들어가고 계시는 보배로운 목회지도자, 선교지도자, 신학지도자들이 주의 인도하심으로 연결되어 목회자의 영적 침체와 해결 방안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회자의 영적 침체 현상으로는 정체성의 혼돈, 의욕상실, 부정적 사고, 사명감 상실, 세속적 타락 등으로 나타났다. 영적 침체의 원인에 있어서는 진리에 대한 지식의 부족, 미성숙함, 죄를 범함, 영적 전쟁에서의 패배 등 다양하게 진단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한 목회자의 영적 침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는 첫째로,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말씀묵상과 기도생활의 훈련이다. 둘째로, 사람들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사랑의 기술 개발, 하나님의 인격과 형상의 회복 등이다. 마지막으로 가치관의 전쟁터에서 복음으로 살아남기 위한 철저한 ‘복음의 사람’이 되어 세속적 가치관을 추구하던 목회를 벗어버리고 영적 목회, 무공회 목회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영적 침체로 고통 받는 목회자에게 하나님의 갑절의 축복이 임하기를 기도드린다.

      • 역할 갈등으로 인한 목회자의 탈진

        정성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52

        탈진은 봉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서비스 직업군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목회자의 탈진은, 봉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보편적인 현상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목회자의 탈진을 목회자의 영적 침체와 동일시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첫째, 탈진이 목회자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고, 둘째, 목회현장에 대한 경험적인 판단 결과가 양자의 구분을 지지하며, 셋째, 출애굽기 18장의 모세-이드로의 대화와 재판 시스템의 변화가 탈진과 영적 침체의 간극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위-역할의 사회학적 의미와 역할 갈등에 유의하여, 우리는 목회자의 탈진이 역할 갈등으로 인해 일어난다고 전제한다. 이렇게 전제하는 이유는, 첫째, 목회현장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가 역할 갈등을 목회자 탈진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하기 때문이다. 둘째, 서비스 직업군에 대한 사회과학계의 연구들이 역할 갈등의 요소들을 탈진의 원인으로 지목하기 때문이다. 역할 갈등으로 인한 탈진을 극복하는 전제 조건은, 하나님께 의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탈진을 극복하기 위해 역할을 조정하는 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 첫째, 목회 구조를 평신도 사역의 형태로 조정하는 것, 둘째, 목회자가 역할을 선별적으로 거절하는 것이 있다. 탈진을 극복하기 위해 휴식을 제도화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목회자의 규칙적인 휴식, 사역의 분담, 교인들의 설득을 열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목회자의 탈진을 목회자의 영적 침체와 동일시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목회자의 탈진은 개인의 영적 결함 때문이 아니다. 그들의 탈진은 봉사의 역할을 감당하면서 역할의 갈등을 경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목회자의 탈진 극복은 목회자 개인에게 맡겨진 과제가 아니라 목회자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망이 맡아야 할 과제이다. 목회자의 탈진이 많은 경우 역할 갈등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탈진의 극복에 역할 갈등의 해소가 필수적이다. 만약 행위자들 사이에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목회자가 맡고 있던 역할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다면, 역할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목회자의 제도화된 휴식을 인정하고 보호하는 교인들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 청소년을 위한 설교 방법론

        서충만 성결대학교 성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20

        한국교회 청소년들이 점점 교회를 떠나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COVID-19)라는 상황을 기다렸다는 듯이 교회를 떠나려는 것처럼 보인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 강제성이든 자율성이든 교회 공동체에 속해있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특별히 교회 내에 있는 목회자 또는 교사들과의 관계 형성도 잘 되지 않고 있는 모습도 발견되어 진다. 교회에서는 장년부에 맞는 행사와 다양한 축제, 예배는 열심히 드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청소년들에게 관심은 축소되고 있다. 노년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을 향한 믿음은 청소년 시기에 결정되어질 확률이 높다. 신앙의 가르침과 사역의 침체는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회 청소년들이 현재 취해져 있는 영적위기에서 극복하고자 그들이 들어야 할 설교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Ⅰ장에서 연구자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과 방법, 선행연구를 다루었다. 청소년 시기에 하나님을 만날 수 있다면 신앙과 믿음을 계속해서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예배시간에 절반 이상의 시간인 설교의 부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했다. 제Ⅱ장에서 연구자는 청소년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개념, 문화, 가치관을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기에는 세상의 문화, 가치관의 습득이 더 빠르고 변화에 민감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청소년들의 문화 및 사회변화에 따른 그들의 의존성의 문제를 고찰했다. 제Ⅲ장에서 연구자는 설교를 이론적으로 접근하며 청소년들에게 설교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이어서 청소년 설교 분석을 살펴보며 문제점들을 강조했다. 제Ⅳ장에서 연구자는 청소년 설교의 방법론을 준비, 내용, 전달의 순으로 강조하였다. 특별히 설교자에게 있어서 준비의 대한 훈련 및 영성들을 주장하였다. 또한 청소년 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가 본문을 선택 및 해석하는 것에 신중하고 전달의 필요작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제Ⅴ장에서 연구자는 내용들을 요약하고, 논의를 정리하고, 이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결론을 맺었다. 교회에서 지도자와 관계형성 조차 되지 않고 있는 신앙마저 무너지고 있는 청소년들이 하나님의 기준으로 살아가며 영적 메시지를 귀하게 들을 수 있을 때 모든 위기는 극복 될 것이다. 각자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일하심이 보일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