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여드름 등급과 여드름 특성 및 관리태도와의 관련성

        유쌍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중국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여드름 등급과 여드름 특성 및 관리태도와의 관련성 여드름은 호르몬의 변화가 가장 큰 사춘기부터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내외적인 원인에 의해 피지가 과다하게 분비되어 모공을 막아 다양한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여드름 등급에 따른 특성과 형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여드름의 형태를 잘못 인지하거나 잘못된 정보의 관리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고 염증을 악화시켜 치료 후에도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의 여드름 등급에 따른 여드름 특성과 관리태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여드름 등급에 따른 여드름 특성, 여드름 발생원인과 요인, 여드름 피부 관리 방법의 차이와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피부상태, 여드름 발생의 정도, 여드름 특성, 생활습관, 스트레스, 여드름 관리 방법 등의 8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면 2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위쳇(WeChat), 왠쥬엔망 프로그램(wenjuanwang program)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및 SNS에서 무기명으로 설문한 383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카이스케어 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았으며, 연령은 20대가 가장 높았고, 결혼 상태 중 미혼이 높았다. 중국대학생들의 여드름등급과 발생요인 및 관리태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여드름 등급과 여드름 특성과의 관련성은 여드름 피부상태, 발생 시기 17~19세가 가장 높았다. 여드름 진행기간은 6개월~1년 미만, 여드름 빈도에서 반복적, 여드름 발생부위는 3등급이 얼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발생 원인과의 관련성은 스트레스 원인, 생리주기, 형제, 배변습관, 가족병력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은 음주습관, 운동의 차이, 햇빛 노출시간, 메이크업 제품 타입의 차이, 피부타입에 맞는 화장품 사용의 차이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여드름관리 태도와의 관련성 차이는 정보습득경로, 여드름 치료를 위한 희망 방문지, 최근 여드름관리를 받은 시기의 차이, 여드름 추출유무, 여드름 관리 만족도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스트레스 하위요인의 차이는 1,2등급에서는 학업과 성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3등급에서 외모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대학생들은 여드름의 원인과 형태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잘못된 정보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여드름의 특성에 따라 화장품 사용 및 관리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20〜30대 여성들의 여드름 지식 및 화장품 사용 만족도 : A Study on the Knowledge of Acne and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Cosmetic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조인영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Acne-affected skin requires appropriate management methods because scarring occurs due to incorrect management and treatment. Recentl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revised and announced the symptom relief product for acne-affected skin as a functional cosmet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ne knowledge and cosmetic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and stages of acne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directly purchase acne-relieving cosmetics and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acne-affected skin. The survey tool consisted of a total of 53 questions: stages of acne,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management method, actual use of cosmetics, types of products used, and satisfaction with use. This study survey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from February 16 to March 18, 2022. Among the collected data, 16 copies with poor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04 cop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PSS/WIN 21.0 program. This study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ool through factor analysis and performe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for group comparison,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t-test, cross-analysis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inally,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factors. Thu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survey subjects was found to be '30-34 years old, office worker, 4-year university graduate, and month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knowledge of acne and satisfaction with cosmetics were high.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acne occurrence and management variables, the high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categories of 'acne cosmetic use, combination skin type, distribution on the chin, occurrence under 20 years of age, irregular, stage 1, comedon.' In response to the management method, the items of 'use of hands or instruments, self-management, and the day on which pimples occurred' were frequently selected. Regarding the actual use of cosmetics,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responses was high in 'products for face washing, acne relief, internet information acquisition, less than 20,000 to 50,000 won/month, daily use.‘ When respondents selected cosmetics, the items of ‘quality and function, no experience of side effects, and preference for tea-tree ingredients’ had a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product use type, the frequency of selecting 'cleansing foam, skin, sunscreen' was high for the face, and 'body wash, body lotion' was selected more frequently for the body. Secon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knowledg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among the age groups, which included 'all knowledge of acne' and the sub-factor 'causes of occurrence and causes of exacerb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age, acne occurrence, and management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acne occurr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ne product use, skin type, and time of occurr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face-only basic products' as the age increased. Thir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acne and the degree of acne knowledge, it was confirmed that stage 2 subjects were more aware of the causes, basic knowledg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acne than stage 1 subjec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n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acne occurrence, Stage 1 subjects scored higher than stage 2 subjects. Stage 1 subjects were found to have lesions with a high frequency of comedon and irregular acne occurrence and progression. On the other hand, stage 2 subjects had a high frequency of response that they had a persistent and papule le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ifference in acne management methods, in the 'number of acne management, the stage 1 subjects responded 'the day the pimples appeared,' whereas the stage 2 subjects selected the answers such as the 'the days when the pimples appeared' and ' about twice a week' was the most common answ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use of cosmetics, in terms of the purchase cost (per month), the stage 2 subjects had higher purchase costs than the stage 1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ifference in use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ge 2 subjects preferred basic body products more,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level of acne and the satisfaction with using cosmetics, the positive (+) correla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order of 'cause of occurrence, cause of exacerbation, basic knowledge, management, and trea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acne knowledge level. Fift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acne knowledge according to age and stages of acne did not affect cosmetic use satisfaction. Of the acne knowledge factors, only the 'age effect' sub-factor and the 'basic knowledge' sub-factor were found to have a somewhat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osmetics use. Thus, this study showed that women in their 20s and 30s had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cne knowledge and satisfaction with us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ge and stages of acne did not affect cosmetic use satisfaction. Acne knowledge was found to affect cosmetic use satisfaction in some age groups and sub-factors of 'basic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that women in their 20s and 30s are very interested in cosmetics regardless of the stages of acne and age and feel the need to use acne-relieving cosmetic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correct selection criteria for acne-relieving cosmetics and the need for knowledge on acne management methods. 여드름 피부는 잘못된 관리 및 치료에 의해 반흔이 생기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여드름성 피부 완화제품을 기능성 화장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일부 개정 고시하였다. 이에 여드름 발생에 따른 화장품을 직접 구입하고 여드름성 피부관리에 관심이 높은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과 여드름 등급에 따른 여드름 지식과 화장품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내용은 여드름 등급, 지식, 발생특성, 관리방법, 화장품 사용실태, 제품 사용종류, 사용만족도 총 53문항으로 구성하여 2022년 2월 16일부터 3월 18일까지 설문조사된 304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여러 요인들과의 차이검정 및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 t-test, 교차분석(-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30∼34세, 사무직, 4년제 대학교 졸업, 월 소득은 200만원 이상이 가장 높았고, 여드름 지식과 만족도가 높은편으로 조사되었다. 여드름 발생 및 관리 변인 결과 발생특성은 여드름성 화장품 사용중, 복합성피부 타입, 턱부위 분포, 20세 미만 발생, 불규칙적, 1등급, 면포(좁쌀 여드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리방법은 손이나 기구이용, 자가관리, 뾰루지가 생긴 날이었고, 화장품 사용실태는 얼굴세정용 제품, 여드름 완화, 인터넷 정보습득, 2∼5만원 미만/월, 매일 사용, 고려사항은 품질 및 기능, 부작용 경험은 없고, 티트리 성분 선호가 높았고, 제품사용 종류는 얼굴은 클렌징 폼, 스킨, 선크림, 바디는 바디 워시, 바디 로션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과 지식도와의 관련성은 여드름 지식 전체, 하위요인인 발생원인, 악화원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과 여드름 발생 및 관리 변인과의 관련성 결과에서 여드름 발생특성은 여드름 제품 사용유무, 피부타입, 발생시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과 화장품 사용 만족도의 차이는 얼굴 세정용 제품, 얼굴전용 기초제품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등급과 지식도와의 관련성은 1등급 보다 2등급 이상이 발생원인, 기초지식, 관리 및 치료에서 여드름 지식도가 더 높았고, 여드름 발생특성의 차이는 1등급이 2등급 보다 높았으며, 여드름 발생빈도와 진행상태는 1등급은 불규칙적이면서 면포가 높고, 2등급은 지속적이면서 구진에서 높았다. 여드름 관리방법의 차이는 여드름 관리 횟수에서 1등급은 뾰루지가 생긴 날로 응답하였으나, 2등급은 뾰루지가 생긴날과 주 2회 정도에서 높았다. 화장품 사용실태의 차이는 구입비용(월)은 1등급보다 2등급이 구입비용이 높았고, 사용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2등급이 바디전용 기초제품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여드름 지식도와 화장품 사용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여드름 지식도의 발생원인, 악화원인, 기초지식, 관리 및 치료 순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다섯째, 연령, 여드름 등급에 따른 여드름 지식도는 화장품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드름 지식의 연령영향과 기초지식에서 화장품 사용 만족도에 다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여드름 지식과 사용 만족도와의 관련성은 매우 높으나, 연령과 등급에 따른 여드름 지식은 화장품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여드름 지식에서 연령영향과 기초지식의 일부만 화장품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급과 연령에 상관없이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여드름성 피부완화 제품의 사용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여드름성 피부 완화제품의 올바른 화장품 선택기준과 여드름 관리방법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을 제공하였다.

      • 성인 여성의 여드름 등급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와 남성 호르몬 조사

        김은경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31

        피부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질환인 여드름은 대개 사춘기 전후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모피지선 단위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한덕윤 2002). 청소년기의 꽃이라 일컫는 여드름은 꼭 사춘기 때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청소년만의 질환으로 잘 못 인식되어 왔지만, 20-30대 이후에 생겨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메이크업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가 20대로 잘못된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 등으로 성인성 여드름이 나타나기도 한다(대한의학협회지 2000). 피지분비 증가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Sansone G & Reisner 1971), 피지분비의 증가가 여드름 발생의 결정적인 요인이며(Lucky A 1995), 국내의 연구에서도 유의성을 입증하였다. 남성 호르몬이 여드름 병인에 관여 한다는 것은 생리적 여드름이 없는 사춘기 전 아동에게 남성호르몬을 투여 할 경우 여드름이 발생한다는 점, 혈중 남성호르몬수치가 급증하는 사춘기에 여드름이 주로 발생하며 남성호르몬은 투여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는 점, 남성 호르몬이 피지선분비를 자극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여드름의 상태를 조사하여 4등급으로 나누어 그룹별 8명씩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식사 습관 및 간식태도, 여드름의 일반적 특성, 여드름의 관리형태, 여드름에 관한 인지도 등을 살펴보았다. 여드름 등급에 미치는 요인을 심층 연구하기 위하여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와 혈중 남성 호르몬인 Testostero-ne과 Dihydrotestosterone(DHT)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여드름의 등급이 피부의 유ㆍ수분도와 혈중 남성 호르몬(Testosterone, DHT)의 농도, 생활습관, 여드름 관리 형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들 요인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 호르몬 농도와 안면 피부의 유ㆍ수분도 측정 수치가 여드름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알아보고, 여드름 등급에 따른 전문적인 이해와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1.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건강상태, 식사습관 및 간식 태도, 피부 관리 형태, 여드름에 관한 인지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96.9%가 미혼이며, 68.9%가 직업을 가지고 있고, 65.6%가 음주를 하며, 56.3%의 절반 이상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4.4%는 식사습관이 불규칙하고, 93.7%는 외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71.9%는 섬유질 섭취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으며, 선호 육류로서는 돼지고기, 닭고기가 65.7%로 나타났다. 87.5%는 과일을 주 1-2회 이상은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간식으로는 65.6%가 밥, 빵류, 과자들 탄수화물을 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 형태를 보면 75%가 19세 이전에 여드름이 처음 발생했고, 65.6%가 10-15년 동안 여드름 진행기간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내 여드름 경험자를 보면 형제, 자매가 44.2%로 가장 높고, 어머니가 23.1%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경우는 9.6%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여드름 관리 형태를 보면 세안횟수는 1일 2번 87.5%로 나타났고, 세안제는 수성 세안제 41.5%, 유성 세안제 27.7%로 나타났고, 여드름 치료를 위해 찾는 곳은 40.6%, 여드름치료를 위해 찾고 싶은 곳도 피부과 병원이 59.4%로 피부과 병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썬블록크림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87.5%, 여름에만 사용하는 대상자도 42.9%로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에 관한 인지도에서는 관리지식 10문항 중 8문항에 대해서는 60%이상이 정답을 알고 있어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발생원인 7문항 중 5문항에서는 70%이상이 정답을 알고 있어 지식수준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 악화 요인 3문항 중 3문항 모두 오답을 알고 있는 대상자가 84%로 지식수준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인 여성의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 및 여드름 등급에 따른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피부 부위별 유분도 조사 결과는 코>턱>이마>볼 순으로 나타났다. 1, 3등급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2등급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부 부위별 수분도 조사결과는 눈 밑>이마>턱>볼 순으로 나타났다. 3. 성인 여성의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 및 여드름 등급에 따른 혈중 호르몬 농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남성 호르몬 평균 농도를 보면 Testosterone은 0.5975ng/ml로 기준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준치 안에서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드름 등급에 따라서는 1등급에서 0.6912n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등급에서 0.5337n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HT는 111.437pg/ml로 기준치 안에 포함되어 정상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드름 등급에 따라서는 1등급에서 114.6375p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 109.3375p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cne, which is the most common disease in the field of dermatology, starts to appear before or after adolescence and then, it is continued to the period of adults. It is a pilosebaceous chronic inflammable disease(Han, Deok-Yoon 2002). Acn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lower of adolescence, doesn't appear during adolescence only. It is misunderstood that it is a disease of teenagers' only, but an acne sometimes continues to appear in the ages of 20s-30s. In addition, most of women start to have makeup when they are in 20s so if wrong cosmetics are continuously used, adult acnes sometimes appear.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0). It is known that increase in the secretion of sebaceous glands is closely related with a male hormone, androgen(Sansone G & Reisner 1971) and it is the decisive factor of appearance of acnes (Lucky A 1995), whose significance has been proved through the domestic researches. The insistence that a male hormone is a cause for the acnes is based on that: in case a male hormone is administered to the kids who are before adolescence, acnes appear; during adolescence when the value of male hormones in the bloods rapidly increases, acnes appear; the appearance of acnes is worsened by administration of male hormones; and male hormones stimulate secretion of sebaceous gland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acnes, targeting 32 female adults and classified the conditions into 4 grades, 8 people for each grade. then, it examined their health, eating habits of meals and snack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cnes, the status of acne care, and knowledge of the acnes. In order to study the main causes for the grade of acn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facial skin, together with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 in the bloods,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DHT). Thinking that the grade of the acne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Testosterone, DHT) in the bloods, the life habits, and the type of acne care, this paper intended to investigate these causes from various viewpoints.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and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ade of the acnes, and through this examination, it tried to providefundamental information for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grade of acnes and for operation of skin care programs. 1.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dults, their life habits, health, eating habits, the status of acne care, and knowledge of the acnes showed the followings 96.9% of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ingles 68.9% were employed; 65.6% enjoyed drinking; and 56.5% had high stress; 84.4% of them had irregular eating habits; 93.7% often had meals out of home; 71.9% didn't care about intake of fibers 65.7% of them preferred pork and chicken; 87.5% had fruit over 1 or 2 times a week; 65.6% had carbohydrates as main meal such as rice, bread, and cookies; 75% had acnes first before they were 19 years old 65.6% had pimples for 10-15 years; 44.2% of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ir brothers and sisters had acnes too; 23.1% replied that their mothers had acnes; and the participants whose fathers had acnes were 9.5%. In relation to the type of skin care, 87.5% washed their faces twice a day; 41.5% used a washable cleaner; 27.7% used an oily cleaner; 40.6% used a skin clinic to cure the acnes and 59.4% wanted to go to a skin clinic to cure the acnes. In general, they showed high reliability of skin clinic centers. 87.5% used a sun-block cream and 42.9% used it only in summer.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the acnes, over 60% of the participants gave the correct answers to 8 questions out of total 10, which means that their knowledge of the acnes is quite high. Out of the total 7 questions regarding the causes for the acnes, over 70% knew the correct answers to 5 questions. However, regarding the causes for worsening the conditions of the acnes, 84% didn't give a correct answer to any of the total 3 questions. 2. Regarding the level of sebum, moisture of the epidermis of the facial skin based on the grade of the acnes, it was found that: the nose had the most oil content, which was followed by the chin, and then, the cheeks; The level of sebum was quite high in Grade Ⅰ and Grade Ⅱ, and it was lowest in Grade Ⅱ; the eye bottoms had the level of moisture most, which was followed by the brow, the chin, and then, the cheeks. 3.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ale hormones in the blood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estosterone of the participants was 0.5975ng/ml. It comes under the standard, but it is quite high. Grade Ⅰ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0.6912ng/ml while Grade Ⅳ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0.5337ng/m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DHT was 111.437pg/ml. It comes under the standard and it is normal. Grade Ⅰ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14.6375pg/ml while Grade Ⅲ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109.3375pg/m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