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복수전공 이수에 따른 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학생과 교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차이
정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복수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단일한 전공에 머무르고 있는 학생들과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양상이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계열에 따라서도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단일전공 학생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학생과 교류,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전공을 하는 학생들은 단일전공에 머무는 학생들과 비교해서 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과 교류, 교수와의 상호작용의 면에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복수전공 집단과 단일전공 집단 사이에서 종속 변인(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학생과 교류,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다면, 차이의 양상이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계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2019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와 「2019 대학 알리미」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12개 대학 45,754명의 학생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전공을 이수한 학생집단은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단일전공을 이수했던 학생집단과 비교해서 학습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종속변인의 집단 간 차이는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배경을 지닌 친구들과 교류 정도에서는 전반적인 차이가 있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경우 집단별로 세분화한 결과 학년와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학생들이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단일한 전공에 머무른 학생들과 비교할 때 학습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러한 차이의 양상이 학생 집단을 세분화하였을 때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다. 즉, 최근 국내에서 양적·질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복수전공이 실제로 대학생의 학습참여 정도에 차이를 불러오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동안 노동시장 성과를 위주로 연구되었던 복수전공이 지닌 학습과정적 효과를 추론해볼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이 복수전공이라는 새로운 학습의 장을 맞이하여 어떤 학습을 경험하고, 누구와 얼마나 교류하게 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과 학사 제도를 운영하는 각 대학은 복수전공이 지닌 학업적 차원의 장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후속 연구는 복수전공과 부전공이 지닌 실천적 차이를 고려하여 이를 구분한 뒤 복수전공이 지닌 효과를 보다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질적인 학문영역 간의 이수 형태를 고려하거나, 여러 전공 조합 구성에 따른 차이를 포함하는 등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복수전공의 순서나 조합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 복수전공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uth Korean four-year-cours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double major and who are single majo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student engagement. Also to find out could the varied aspect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nd major departments of students make the difference. Specificall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peer relation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compared to a group of single major students.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presented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 are students who are double major different in terms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peer relationship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compared to those students who are single major? Secon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peer relation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between a double major and a single major group, do the aspect of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and major departments of students? This study use the data from the 「2019 Survey of Undergraduate Education(K-NSSE) )」 and 「2019 Higher Education in KOREA)」 which are target to students of four-year-course university nationwide. In the end 45,754 student data from 112 universit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were conducted. Following ar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of students who completed double majors differed in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pared to those who completed a single major with similar background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these dependents variable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and major departments of students. Specifically, there were overall differences in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degree of peer relationshipfrom various backgrounds, and in the case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grade and major depart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double major students differ in the degree of student engagement to single major students with similar backgrounds. Especially this aspect of difference still shown even after subdivided the group of students. Namely, research confirmed that the double major program, which has expanding quantitively and qualitatively in South Korea recently, has actually caused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tudent engagement by university students. Also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e learning process effects of double major,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the labor market. Second, this study examine what kind of learning a university student experiences and how much and who with student interacts through new learning field called double major. Through this, university where operates education curriculum and bachelor system could be able to more actively encourage and support students on the academic advantages of double maj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