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 이후 발생한 담도계 합병증에 관한 비교

        김태협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목적: 간 이식 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은 비교적 흔하면서 이식 간과 환자의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도계 합병증을 보고한 산발적인 연구들에 따르면 뇌사자 간이식술은 8~30%,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대부분 연구가 성인과 소아를 포함한 것이지만 6~23%로 빈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직접적인 담도계 합병증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인데, 이에 비교적 많은 수의 사체, 생체 이식술이 시행되는 단일센터에서의 각 이식술에 따른 담도계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1992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된 간이식 수술 119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예들에서 사체, 생체 간이식술 종류와 담도계 합병증(담도 협착, 담즙 유출, 담도담석)의 빈도를 조사한 후, 합병증이 발생한 수술 예들에서의 담도 문합방법, 합병증 발생 때까지의 기간과 치료법, 경유두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의 일차적인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98예의 수술 중 161예에서 뇌사자 간이식술, 1,037예에서 생체 부분간이식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374예(31.3%)에서 담도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뇌사자 간이식술은 15예(9.3%- 담도협착;12, 담즙누출;3, 담도담석;6, 6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359예(34.6%- 담도협착;330, 담즙누출;40, 담도담석;30, 41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로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합병증이 의미있게 많았다(p<0.001). 합병증이 발생한 예들에서 담도 문합방법은, 담도-담도 문합과 담도-장 문합이 뇌사자 간이식술은 각각 15, 0예이었고,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각각 299, 140예(80예는 담도-담도와 담도-장 문합이 동시에 이루어졌다.)이었다. 뇌사자 간이식술은 수술 후 중앙값 33주째,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중앙값 17주째에 합병증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9). 뇌사자 간이식술 11예, 생체 부분간이식술 178예에서 합병증 치료를 위한 첫 시도로서 경유두적인 접근법이 선택되었고 일차적인 치료 성공율은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9예(81.8%)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53예(29.8%)로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성공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01). 결론: 간 이식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 발생은 뇌사자 간이식술에 비해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합병증의 종류에 있어서는 담즙누출, 담도담석은 생체 부분간이식술과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발생빈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담도협착은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담도계 합병증을 내시경적으로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담도계 합병증이 뇌사자 간이식술의 경우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biliary complications (BC)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T) are common and affect the outcome of grafts and mortality of patients. According to scattered studies, the incidence of BC was 8~30% in cadaveric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DLT) and 6~32%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though studies of LDLT included adult and child. However, the direct comparison of BC among adults was rare, so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C after CDLT and LDLT in one center that many cases of LT has been performed. Methods We investigated 1,198 cases of LT that were performed from Oct. 1992 to Mar. 2006 in Asan Medical Center, Korea, retrospectively. After cases were divided into CDLT and LDLT, we compared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BC (biliary stricture, bile leak, biliary stone), the method of biliary anastomosis,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the treatment for BC, and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of transpapillary approach. Results In 1,198 cases, 161 CDLT and 1,037 LDLT were performed and BC was developed in 374 cases (31.3%). To be concrete, there were 15 BC (9.3%-biliary stricture;12, bile leak;3, biliary stone;6, 6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CDLT and 359 BC (34.6%-biliary stricture;330, bile leak;40, biliary stone;30, 41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LDLT; BC after LDLT wer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p<0.001). In the aspect of biliary anastomosis within BC cases, all 15 cases of CDLT performed duct to duct anastomosis (DD) while 299 cases of LDLT performed DD and 140 cases of LDLT performed hepaticojejunostomy (HJ) (80 cases were performed DD and HJ simultaneously). The median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was 33 weeks in CDLT and 17 weeks in LDL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89). For the treatment of BC, transpapillary approach was chosen in 11 CDLT and 178 LDLT case.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after CD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fter LDLT (81.8%-9 cases vs. 30.9%-55 cases,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C after LDLT was higher than that after CDLT. The incidence of bile leak and biliary ston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CDLT and LDLT, however, biliary stricture was mo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fter LDL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BC after LDLT was more difficult, in the aspect of endoscopic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