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노인의 가족생활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남영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가족생활 특성을 바탕으로 가족복지 욕구를 파악하여 여성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가족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복지정책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대구지역 지역사회복지관에 등록되어 있는 만 60세 이상의결혼과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노인 175명을 대상으로 가족생활 특성과 가족복지 욕구를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여성노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 욕구에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학력이 낮을수록 재혼상담을 제외한 부모역할교육서비스와 취업알선서비스,상담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거주지역 특성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지만,재혼상담과 그룹홈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낮게 나타났다.국민기초생활수급 여부에 따라서는 수급을 받고 있지 않는 여성노인의 집단이 재혼상담을 제외한 건강진단서비스,취업알선서비스,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취미활동지원서비스,그룹홈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둘째,가족구조적 특성에 따른 가족구조적 욕구에 있어서는 사별 또는 이혼으로 배우자가 없는 집단이거나 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집단의 욕구(부모역할교육)가 더 높게 나타났다.또한 동거인과 부양자녀가 없는 이유에 관계없이 노후에 원하는 가족형태는 모두 자녀와 별거하면서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형태와 실버타운에 살고 싶다는 욕구가 가장 많았다.셋째,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득지원 욕구에서는 생활비를 자녀나 국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마련하는 경우와 월평균 의료비가 적을수록 욕구가 더 높았다.넷째,생리·신체적 특성에 따른 건강지원 욕구에 있어서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있어서 항상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주·단기보호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으며,건강유지 방법에 있어서는 복지관에서 활동 가능한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경우에 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다섯째,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 욕구에 있어서는 정서적 지지 제공자가 아무도 없는 경우에 욕구(생활종합상담서비스)가 더 높았으며,고독감과 외로움을 많이 느낄수록 심리 · 사회적 지원 욕구(생활종합상담서비스,그룹홈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생활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가족구조적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 방안에 있어서는 재혼과 관련한 여성노인을 바라보는 사회적인 편견 개선과 자율적으로 부모-자녀간의 동·별거양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적인 뒷받침(노인촌,가정 도우미 등)과 개인적인 노력(노후준비),부양에 대한 역할분담의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경제적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 방안으로는 여성노인의 경제적인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취업활성화에 대한 서비스나 정책방안을 추진하고,여성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과 차별적인 관행 및 제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수립,경로연금의 확대적용이나 각종 연금혜택 제공,연금분할권 및 급여의 병급 조정에 대한 개선,질병에 대한 의료비와 생활비를 감안하여 계측한 급여수준 향상,경제적 지원서비스를 위해 투입된 예산 확보,가족을 통한 세금감면혜택제공,현행 노인관련고용정책의 법적인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전면 재고가 필요하다.또한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무료 이용 내지는 소득에 비례하는 비용을 지불하는 체제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배려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생리·신체적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 방안으로는 남성노인과는 차별화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현행의 급성질환/치료위주의 보건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재가복지서비스의 활성화,건강검진의 필수항목으로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포함,골다공증에 대한 지속적인 검진을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 방안에 있어서는 개인적·사회적 고민을 들어주고 조언을 해주는 전문적인 상담기관과 상담원 필요,다양한 사회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여가에 대한 새로운 문화 정립을 위한 여가활동의 필요성과 활용방법에 대한 교육,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의 개발,자원봉사프로그램 개발,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 확충,노인 강사은행제도 구축이 필요하겠다. 끝으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전문적,통합적인 복지서비스를 통하여 제공자의 입장이 아닌 이용자인 여성노인들의 요구에 맞추는 복지가 정착화 되어야 하며,여성들의 노년생활이 더 이상 의존적이고 소외된 삶이 아닌 여성노인 스스로 독립적인 밝은 노후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to search practical welfare-policy improvement for an increase of family welfare and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for female senior by examining family life traits and family welfare needs. 175 female senior over 60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o register in Daegu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and who have experienced at least one childbearing, marr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examination,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research answer sheets that female senior. First, in family welfare needs by female senior's general characteristics is higher in the older group, the little educated female senior showed meaningfully different results except remarried counseling in parents role education services and job placement services, counseling services. On the whole, according to a residential district trait is higher needs of home helper service. but its lower needs of remarried counseling and group home services. according to National Basic Livelihood supply yes or no, not supply female seniors's groups is higher needs of health examination services, job placement, home helper services, interesting activity supportive services, group home, except to remarried counseling. Second, in family structural needs by family structural trait is higher groups that without life partner with separation by death or divorce and living together children. Also according not to a live-in partner and to caregiving children wanted in elderly family types is higher needs that desire to live in the silver-town and become independence economics by separating with children. Third, in income supportive needs by economics trait is higher needs groups that prepare by children and national's help more receiving groups in living expenses, the lower medical expenses a monthly average. Fourth, in health supportive needs by physiology and physical trait in ADL necessary always help is higher needs of Day care and short term stay care services. In health remains method, Female senior who participated in welfare center programs possible activity is higher needs in home helper service. Fifth, not emotional supportive offers are participating in family welfare needs by psychology and social trait more than higher needs emotional support offers, feel more solitude and loneliness is higher of the psychology and social support needs(life synthesis counseling services, Group Home services). From the above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practical welfare-policy improvement by family life factors. First, in family welfare policies implementation by family structural trait is necessary to the establish direction in support of role sharing, individual efforts(preparations for the elderly life) and to the arrange social support (aged a village, home helper etc.) for select that form living together-separ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without control and social prejudice improvement toword female senior in connection with remarried. Second, in family welfare policies implementation by economics trait should be promote service or policies implementation on revitalization of employment for establishing economics independence foundation of female senior, found a plan policies for remove that social prejudice, distintion a custom and system etc. of female. Also family welfare is necessary to provide enlargement application and various pension benefit of senior citizen pension, to improve of a claim pension division and adjustment pay, to improve pay-levels measuring that consideration living expenses and medical expenses of disease, to assure invest a budget for economics supportive services, to offer tax reduction benefit through family, to entire reflection by accurse heighten legal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in connection with senior employment policies. also systems concern should be accomplished for manage that economics conditions consider free use and discharge systems comparison expense in income. Third, in family welfare policies implementation by physiology and physical trait is necessary to information for continuous medical examination of osteoporosis, to include breast cancer and deprival neoplastic with essentiality item of health examination, to revitalize community care services, to improve delivery system on health medical service of present an acute disease/the first consideration treatment, to develop differentiated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compare with male senior. Fourth, in family welfare policies implementation by psychology and social trait is necessary to counseling institutes and counselors who advise listen to the individual·social trouble. to develop for various social activities programs, to educate necessity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application method for establishment new culture on leisure, to develop leisure programs and volunteer programs, to expand facilities for management programs, to construct senior-lecturer bank systems. Finally, in family welfare is should be settle welfare that female senior who not providers but user's point of view fit their's need through institutional, professional, integrative welfare services for improve quality of life female senior. female's elderly life is should be arrange institutional support that design not dependent, estranged life but self-independent bight aged life quickly.

      • 장기혈액투석 환자의 가족특성, 가족지지, 가족기능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강신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of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and complication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as well as the mortality rate. Although the patient's own efforts are the most important to comply patients' role behavior, family support is also important. Families provide motivation and support for patients. Also they have a great impact on diet therapy, exercise, smoking, drinking, and medication pract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mily factors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family characteristics,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f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and th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Methods: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One hundred thre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3 local hemodialysis clinics in D city. All participants have family and hemodialysis treatment regularly for more than one year.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Mar. 12 to Apr. 30, in 2018. As a research tool, we use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 Results: The average degree of family support was 52.42(range 16-80). The degree of family function was 93.31(range 34-136),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was 61.64(range 16-80). Among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economic living, burden of treatment,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hospitalization experience, health status, kidney transplantation plan,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illness related characteristics. Th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primary caregiver of family memb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family support, family functioning,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degree of family func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s in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were hospitalization experience and health status of patients, and family support. These variables explained 31.2% of the variances of th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Conclusion: In conclusion, family members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management of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the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family members must be included to improve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s. 장기혈액투석 환자는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장기혈액투석 환자의 역할 이행은 신기능 저하로 발생되는 불편감과 합병증 예방은 물론 사망률까지 낮출 수 있어 자신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는 환자 자신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가족의 도움이 중요하다. 가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체계로 환자에게 회복을 위한 동기와 지지를 제공한다. 혈액투석 환자에게 가족의 행동과 태도는 식이요법, 운동, 흡연, 음주, 투약요법의 실천 등에서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가족 중에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가족구성원이 있을 때 가족지지와 가족기능을 활성화시켜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요인 분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기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의 특성, 가족지지와 가족기능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전시의 3개의 병원에서 103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는 혈액투석 전문병원에 등록된 1년 이상의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가족이 있는 환자이다. 연구도구로는 환자역할행위 이행, 가족지지, 가족기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16-80점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평균 52.42점이었고, 가족기능 정도는 34-136점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평균 93.31점, 환자역할행위 이행 정도는 16-80점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평균61.64점이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행위 이행의 차이에서는 경제생활수준, 치료비 부담, 결혼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역할행위 이행은 입원경험, 건강상태, 신장이식계획, 우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특성에 따른 환자역할행위 이행은 주 간호제공가족원의 인구학적 특성 중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족지지, 가족기능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가족지지와, 가족기능 정도가 높을수록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가 높았다. 장기 혈액투석환자의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원경험, 건강상태, 가족지지가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유의한 변수였으며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31.2% 설명할 수 있었다(F=4.910, p=<.001). 결론적으로 가족은 장기혈액투석환자의 관리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역할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가족을 포함시켜야 할 것을 권장한다.

      •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 참여가족의 성과구조 특성에 관한연구 : 봉사만족도, 가족건전성, 가족생활만족도 간 관계를 중심으로

        고광영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need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although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 is heightened in the process of volunteering, Academic discipline and research are inadequately compared to this practical importance,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on the subject and content of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atisfaction, family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analysis method.First, descriptive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riables. Seco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factor, we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through Cronbach's a, a validity analysis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structural causality and control effects.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family health,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family health was relatively hig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was also significant. Second, in the detailed model analysis of the sub - factors of each factor, the self - satisfaction of service satisfaction, especially the service self -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majority of the sub - factors of family health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sub - factors of family well - being as a parameter, sharing of belief system and ability of problem - solv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family, spouse and children of family life satisfaction. Fourth, service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moderation effect of service characteristics, while service period and service compens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family satisfaction on family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ervice compensation,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family performance (family health satisfaction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lthough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family performance of servic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fact that volunteer service performance through family volunteer activities can lead to family achievement, there is a need to prefer a partial departure from limited quality control limited to fulfillment of the needs of the user (service target person) do. Second, a two - tract approach is required for meaningful transfer to the family performance of the service achievement, based on the systematic attention and management of the family performance mentioned above. Third, intensive and systematic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self-satisfaction of activities, especially during the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of service itself. Fourth, systematic management of efforts to improve belief system shar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effort to improve family health is required. Fifth, efforts are needed to continue service and increase service compensation.

      • 고등학생의 가족 특성 및 심리적 특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백진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가정경제수준, 가족구조, 부모학력수준의 가족특성과 부모애착, 자아정체감의 심리적 특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변수들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심화된 진로탐색의 시기를 갖게 되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에게 진로탐색 및 전공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녀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5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애착 척도, 자아정체감 척도,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통계 처리는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t-test, 분산분석 그리고 이에 대한 사후검증으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학년,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2학년이 1학년보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성적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변수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성적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결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가정경제수준, 가족구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하위변수별로도 차이가 없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변수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부의 학력이 고졸인 집단이 대학원이상인 집단보다 독립성이 높게 나타났고 모의 학력이 대졸 이하인 집단이 대학원이상인 집단보다 독립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특성에 따라서는 부모애착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수별로는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쳐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 할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도 진로성숙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하위변수별로는 주체성, 미래확신이 영향을 미쳐 개인의 주체성과 미래확신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가족 특성과 심리적 특성으로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함으로써 고등학교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나 청소년 상담센터의 진로의사 결정프로그램 및 진학정보센터의 진학진로상담 등 여러 기관의 진로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haracteristics (family socioeconomic status, family structure, and parents' levels of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identity) on the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career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523 freshmen and sophomores in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year and gen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Sophomores were found to be more mature than freshmen, and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mature than 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grad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variables, and groups with higher grades had a higher decision making rate than groups with lower grades. Second,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 structure, an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sub-variables, ei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ents' levels' of educa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variables. The group with fathers who are high school graduates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independence than the group with fathers with master's or higher degress, and the group with mothers who are college graduates or under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independence than the group with mothers with master's or higher degrees. Third, attachment to parent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higher the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Self-identity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and in terms of sub-variables, autonomy and conviction of the future had an effect. The higher autonomy and conviction of the future were, the higher the maturity of career path was. To summarize,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maturity of career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career guidance of many different facilities such as a high school career guidance program, career decision-making program of a youths' counseling center, or further education counseling of a further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 장·단기 가출청소년의 개인 및 가족특성의 차이에 관한연구

        박윤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0

        가출청소년의 증가, 저연령화, 장기화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정부 및 민간에서는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위기청소년을 위한 CYS-NET 이 있으며, 가출청소년을 위한 특성화기관으로 청소년쉼터가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쉼터에서는 2005년부터 가출청소년의 조기발견과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일시쉼터, 중장기쉼터를 운영하여 가출청소년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실천현장에서의 이러한 대응은 위기청소년 중에서도 고위험군에 있는 가출청소년들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지만 이러한 대응이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자료에 기반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여 장기가출청소년을 위한 정책마련의 근거와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기가출청소년과 장기가출청소년을 분류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 개인특성, 가족특성, 가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요인이 청소년들의 가출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개인특성 중 현재의 우울과 충동성의 차이를 가출기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8월 2달간 단기쉼터 10곳, 일시보호소 3곳, 일시쉼터 2곳, 중장기쉼터 9곳 등 총 24개 기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로지스틱회기분석과 집단 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가출기간 6개월을 기준으로 단기와 장기가출청소년으로 분류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6개월 이상 장기가출청소년의 숫자가 56.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장기가출청소년의 경우 한부모 가족의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제행동의 경우도 장기가출청소년들이 흡연율, 음주경험, 성경험, 성폭력피해경험, 자살시도경험, 법적처벌 등 모든 면에서 단기가출청소년에 비해 높은 경험율을 보였다. 둘째, 단기 및 장기가출청소년의 가출특성을 살펴보면 장기가출청소년들은 첫 가출연령이 낮으며 학업중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출횟수도 장기가출청소년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기가출청소년은 부모의 학대, 가정해체등 자기외적인 요인을 가출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기가출청소년은 혼자살고 싶어서, 돈을 벌고 싶어서 등 자기내적인 요인을 가출원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가출 후 용돈마련방법을 살펴보면 단기가출청소년의 경우 집에서 돈을 가지고 나오거나 친구에게 빌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장기가출청소년의 경우 아르바이트를 통해 스스로 벌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가출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을 조사하였는데 결과는 성경험이 있을수록, 친구와의 결속이 약할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출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조사결과는 친부모가 아닐수록,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비통제적이고 과잉보호할수록, 기초생활수급권자일수록, 남자청소년일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출특성에서는 최초가출나이가 어릴수록, 최초가출기간이 길수록, 가출횟수가 많을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우울과 충동성은 가출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이는 본 연구가 청소년쉼터 입소청소년 혹은 가출청소년지원기관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 선생님들과의 상호작용, 치료적 환경에서 우울 및 충동성이 더 심각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정책마련의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기가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저연령 가출청소년을 위한 예방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의 학교사회사업가 배치등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가출청소년의 조기발견 및 안전한 보호와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가출시 학업중단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녀양육 및 가출에 취약한 한아버지가정에 대한 자녀양육교육, 돌봄 지원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청소년쉼터등 가출청소년 보호기관에서는 자살예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건전하게 일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마련이 필요하다. 청소년노동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변화를 통해 청소년의 다양하고 긍정적인 사회경험을 통해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기가출청소년을 위한 중장기쉼터의 확대와 자립지원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 As the seriousness of increasing in runaway youth, their age getting lowered, and prolonged terms are addressed, government and civil parts are making various counter measures. Notable results are CYS-NET for the youth in crisis. And for the special agency, we have youth shelters. To look in the details, the youth shelter is providing systematic support for runaways with drop-in center and mid&long term shelters for early findings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long term runaway youth from 2005. The responses from the field are positive changes for the runaway youth in high risk group, but in fact, they are not based on positive or systematic studies. Especially, studies on long term runaway youth are so rare that they do not give any support for the foundation of the policy planning or direction of practice. Thus, this study is to classify short and long term runaway youth to find out their demographic,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causes of running away. This paper will als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runaway youth to prolong their runaway. Also, it is go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resent depression and impulse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m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long term runaway youth.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total 24 institutes including ten short term shelters, three temporal protections, two drop-in centers, and nine mid&long term shelters to collect data for two months from July till August, 2010. And with the data, this article conducted the average analysis on group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below. First, six months of the total runaway term are the standard to classify short or long term runaway youth and look in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long term runaway youth of which runaway term is over six months was 56.4%, which took a high ratio. In cases of long term runaway youth, most of them had a single parent and we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In the matter of delinquencies as well, they did show a high percentage of experiences in smoking, drinking, sex, sexual assault, suicide attempt, and legal penalties than short term runaway youth. Second, short and long term runaway youth's runaway characteristics show that long term runaway youth have low initial runaway age and are highly likely to quit their education. And their frequency of runaway was twice higher than that of short term runaway youth. Short term runaway youth tend to recognize non-self related issues as the cause of runaway such as abusive parents and family dissolution. However, long term runaway youth recognize inner self reasons as the cause of runaway such as to live alone or to earn money. About the method of making money after runaway, short term runaway youth bring money from home or lend it from friends. But long term runaway youth give efforts to earn money by themselves having part time jobs. Third, in the research for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prolonged runaway, results show that the more they have sexual experience, the weaker their bond is with friends, and the lower their age is, the prolonged the term gets. Fourth, in the research for family factors that affect prolonged runaway, results show that runaway is prolonged if the parents are not their biological parents, mother's rearing attitude is non-control and overly protective, they a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they are male.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runaway, it is prolonged if they are of low age, their initial runaway period was long, and they runaway more frequently. Sixth, depression and impulsions show no difference by runaway terms. This does not match the result of precedent researches. It may be because this study targeted the runaway youth who used the youth shelter or runaway support center that with the help of various programs, social support,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and therapeutic environment have not made depression or impulse any wors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data,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s. First, more diverse and detailed studies should be made on the long term runaway youth so that the data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policy planning. Second, active support such as school social worker dispatch on elementary schools is needed. This is to react as prevention programs for low age runaway youth who are prone to long term runaway. Third,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for early finding and, safe protection and growth of runaway youth. Fourth, there should be various measures to minimize educational dropout during the runaway. Fifth, there should be care take support service and childcare education for single father family that is prone to child care and runaway. Sixth, runaway youth protection agencies such as youth shelters should have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venth, the social conditions for juveniles to work soundly are to be established. Change in the negative perspective of juvenile labor in society should help juveniles to gather diverse and positive social experiences to grow into adult. Eighth, the expansion of mid&long term shelters for long term runaway juveniles and strengthening of self reliance support program are necessary. The limi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ecause of the hardship in specimen gathering for this study regarding runaway you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non-probable specimen gathering of juveniles who used the runaway youth-related agencies before or currently stay in one. Thus, this study may suffer from the lack of tru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group. This is cross study of short and long term runaway juveniles, so there is definitive limit to propose significant cause and effect relation among variables with probability.

      • 청소년의 위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특성에 대한 연구

        이옥실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3

        The present research mainly focuses on causes that affect various crisis during adolescence which is commonly defined as the most turbulent and critical period of an individual’s life. The case of a crisis that impedes appropriate growth of adolescence are diverse; it includes poverty, abuse, disability, drugs, violence and so on. It is a consequential task to figure out what factors affect the crisis in order to intervene juvenile problems. For the task, general middle-schoolers of five hundreds were randomly collected to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yles of their family, and interrelationship of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learly shows that common individualistic causes are their sex and grades. Surprisingly, female students generally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mental crisis than male student do.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equalitarianism has largely changed general behavior of female students. Since this kind of change is not directed to be positive, people will have to take greater care of female students in the near future. The other causes were their grades. In other words, students who have lower grades have higher level of crisis than those who have relatively higher grades. On the other side, the style of family, compared to other causes of crisis, comes out to have no effect on individual’s mental crisis during adolescence; however, their parent’s divorce and remarriage somewhat affect their mental crisis of adolescence in terms of the crisis scale. The other factors, such as the parents’ social class does not affect juvenile mental crisis. Finall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he health level of a family, seem to have a critical effect on mental crisis. In the case of the health level of a family, it is influential to mental crisis of adolescence in almost every area. It was clear that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mental crisis of juveniles and the most critical factor was the health level of a family, rather than their individua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research. Therefore, some kind of program, that is able to improve the health level of a family, seems to be necessary to recuperate juveniles’ mental crisis. Additionally, when it comes to adolescent mentor YC program, it is desperate to develop certain programs that make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easier. The limit of this research and what it means were the last topics of the study. 본 연구는 개인 일 생중 가장 격동적이고 불안정하며 이후의 생의 방향을 결정 하는 중대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위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소년기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위기상황은 가족해체, 빈곤, 학대 등의 가족적 위기상황과 학습부진, 학업중단 등 교육적 위기상황, 약물, 폭력, 가출, 범죄는 문제행동으로 표출되는 사회적 위기상황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위기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심리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은 이후의 청소년 문제에 대한 개입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남부 지역소재의 일반 중학교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 변인과 가족형태, 가족관계와 위기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위기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은 성별과 성적이었다. 일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의 위기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 여성의 남·여 평등주의적, 여성 주의적 관점 때문에 여학생들의 태도나 행동상의 변화가 많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청소년 문제의 개입에 있어서 여학생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더욱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위기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은 이들의 성적이었다. 즉 성적이 낮은 학생이 높은 학생에 비해 위기 요인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가족형태(결손가정 대 정상가정)에 따라 위기척도 총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가정의 형태가 청소년의 위기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손가정의 형태에 따라 청소년의 위기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이혼과 어머니의 재혼은 청소년의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부모의 직업이나 학력, 사회경제적 계층 등은 청소년의 위기 요인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요인인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위기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가족건강성의 경우 거의 모든 영역에서 청소년의 위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변인들이 청소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위기의 하위 요인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개인적 요인이나 가족의 환경보다 가족 건강성(가족원간의 유대, 가족원간의 의사소통, 가족원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족의 가치 체계 공유)이 청소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위기 상황을 심리 정서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가족건강성(특히 부모 자녀 관계의 의사소통, 부모 교육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또한 청소년 동반자 YC 프로그램에 의한 상담을 할 경우 부모 자녀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성격, 가족체계특성 및 고독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n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of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nternet usage behavior; and Secondly to compose a model representing internet addiction by factors of personality, family adaptability/cohesion, allocentrism/ideocentrism, loneliness, the model describing addiction behavio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made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 351 students(172 boys, 179 girls) in a elementary school in Deajeon city.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demographic variables, boy students were much more addicted to the internet than girl students and that is significant. Second, variation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whole addictions, are BAS/BIS, attitude, habit, opportunity, intent.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odel that could explain the internet addiction behavior, it was showed that the intent, habit, BAS and loneliness were the significant predicting variances that caused the internet addiction behavior.

      • 가족지지 및 인성특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백성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주목적은 가족지지 및 인성특성(부·모 및 친구에 대한 자기노출, 사회적 반응성 및 외향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및 학교규칙)간의 관계를 비롯하여, 가족지지와 인성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가족지지와 인성특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미현(1996)의 사회적 지지 척도 중 가족지지 척도, 유윤희(1994)의 학교생활 적응척도, 그리고 박선영(1998)의 자기노출척도 및 사회적 반응성척도 및 Eysenck와 이현수(1985)의 외향성척도를 이용하여, 남녀공학 고등학교 2학년 남녀학생 475명(남학생: 249명, 여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는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청소년들은 가족의 사랑과 관심, 안전의 느낌 등을 통한 지지를 경험할수록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및 학교규칙 등의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했다. 둘째, 청소년의 인성특성은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남녀 학생 모두 교사와의 관계, 수업태도 및 학교규칙에 있어서는 부모에 대한 자기노출과의 관련성이 높은데 반하여 교우관계는 외향성 성향과 높은 상관을 갖고 있었다. 셋째, 가족지지는 청소년의 인성특성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서, 가족의 사랑과 관심을 통해 자신이 중요한 사람으로 인정 받는다고 느끼는 청소년일수록 부·모 그리고 친한 친구와 솔직하고 친밀하게 대화하고 외향적이었다. 넷째, 가족지지와 청소년의 인성특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서 가족지지는 교사와의 관계, 수업태도 및 학교규칙 등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해 인성특성에 비해 더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 인성특성은 교우관계에 대해 더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특히 외향성은 청소년 교우관계에서의 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elf-disclosure to father, mother, and friend, and social responsiveness, extrovers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ce. And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lso, the comparative influence which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fec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ce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475 2nd grade hige school students(249 boys and 226 girls) living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on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ce,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family support was related to four subscales of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ce. Both the adolescents adapted themselves better to the teacher relation, schoolmate relation, study attitude and school regulation when they experienced support through the love, care and feelings of security from family. The second, the adolesc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ability of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ce. While the self-disclosure to parents were related to teacher relation, study attitude and school regulation both adolescent boys and girls, their schoolmate relation was highly related to extroversion. The third, family support was related to all subscales of adolesc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more the adolescents felt they were treated as someone important from family, the more extrovert and intimate they were toward their close friends. The fourth, in the comparative influence which family support and adolesc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fec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competent, family support was influential in teacher relation, study attitude and school regulation. Whil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influential in schoolmate relations. Especially the extroversion proved to the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schoolmate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