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sign curriculum innovation for enhanced design competiveness : a proposal of systems for domestic administrative design education collaboration in Korea via the study on 2010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system in Helsinki

        한지은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2010 국내석사

        RANK : 232255

        ‘창조와 혁신’이 기업 경영에 있어 중요한 화두로 등장한 1980년대 이래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디자인 창의성의 활용은 이제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깊이 자리 잡았다. 특히 국가를 초월한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산업 현장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과거 제품 생산 과정에서 부수적인 역할에 머물렀던 디자인은 현재 ‘기술’이나 ‘품질’ 경쟁을 압도할 수 있는 강력한 경쟁력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 했다. 디자인경영에 대한 관심 확대는 과거에 비해 현격하게 높은 디자이너의 역량을 요구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과거 제품 생산 과정에서 단편적인 역할에 머물렀던 디자이너들에게 시장 통찰력과 소비자 이해력, 팀 조직능력 등 제품의 기획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량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 현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들도 이에 부응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디자인경영능력은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비즈니스 환경의 핵심경쟁력으로 자리매김 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와 발맞춰 국내기업 역시 디자인경영 능력을 높이는 데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집중적인 투자로 단기간에 디자인 분야에서 비약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통합 디자인경영 교육’의 부재로 인한 전문 인력 수급의 문제는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이에 따라 디자인경영 교육의 국내 현실을 되짚어 보고, 그 방향성과 내용 등이 기업의 경영과 국가의 정책적인 맥락과 맞아떨어지는지, 무엇이 문제인지를 보다 면밀하게 점검해야 할 시점이다. 21세기 정보와 지식 혁명이 진행되는 오늘날 대학교육은 지식혁명에 앞서가는 전문인의 양성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목표달성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철저하게 준비 해야 한다. 따라서 국내 기업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경영 교육 혁신 방안으로는 첫째, 디자이너를 위한 신 교육커리큘럼을 개발하고, 둘째, 교강사 연구 지원 및 능력 향상에 힘써야 하며, 셋째, 기업과 학계 그리고 전문가의 활발하고 수평적인 연계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Until the 20th century, the design education process focusing on creative formative conduct had been primarily implemented. However nowadays where 21st century’s information and innovation in information are underway, the situation has changed very considerably. A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led to spontaneous transmission of a massive amount of information and data, consumers’ life styles have changed more rapidly than ever. Moreover, owing to globalization, a level of mass consumption and the citizen’s conscience has become globalized. In order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s a strategy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 it has become important to do diverse research on knowledge and methods which are required to understand design and operate effective management. Thus it is so natural, design has become the core of management strategies, which in turn has raised designer’s status. Therefore it provides a reason to shed light on how the paradigms of design education has changed, and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or failing by looking at governmental policies and innovation in educatio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clarify essential requirements and elements that design education has to possess. To Spot issues as to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design education and that of the Aalto University in Finland, and potential problems that need studying by analyzing examples of the university which is considered to be corresponding to 21st- century culture in 2010. To suggest solutions as to how to apply an outcome of the study to strategies for design management in companies and a country in order to establish novel design education. The second aim is to suggest a new paradigm as a matter of an educational strategy. In order to successfully practice all these elements. The aims will contribute to a large extent to advancing Korea to a global level In relation to design and also strengthening design competitiveness in the country.

      • Smart Elevator with Deep Learning Technology: Adaptive Door & Touchless Interface

        Lee, Won Ho Hongik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2223

        Although it cannot be felt yet, parts of daily life are being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 unwitting advertisement on social media is an output of an algorithm based on search information that has been collected unknowingly. Companies are using this for commercial purposes to expose their services to us for longer periods of time, even if we do not want to. While these advances in technology may make us more convenient, we doubt whether they make a better life. So, in this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focused on creating more human-centered, more caring that we can feel. The background of the study on smart elevator design began with an industry-academic project at the elevator manufacturer Hyundai Elevator and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at Hongik University. While the industry-academic project focuses a little more on concept desig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engineering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can offer new value for elevators that are available soon. In this study, it is called a smart elevator in the sens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dded, and in detail,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it proposes adaptive door and touchless interface as product elements in elevators that add computer vision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deep learn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elevators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by deducing passengers to older passengers, unhappy passengers, etc., and can be presented as a vision applicable to the near future in the elevator industry.

      • Understanding Design Process from a Perspective of Framing: Exploring the Concept of Frames for Designing

        Sung, Hye Rin Hongik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32223

        The journey of progressing this study was not possible without all my bright friends and incredible professors at IDAS, Hongik University. Though the journey rather brought a seemed endless cycle of agony-frustration-eureka-enthusiasm, at the end of every day I could be full of excitement for the following steps because of these people. Thank you. My supervising professor Dr. Ken Nah, who has been always inspiring with his insights, is the definite first person I would like to acknowledge. I could keep on track while I have been consistently shifting my frames, thanks to his interest and keen advices. I owe Dr. Junhong Park an enormous gratitude for all those discussions and guidance. This journey has been startlingly fun because of his serious knowledge with wrong humour. And my indescribably beautiful friend Seoyoung Kim, who is always there inspiring and considerate, has kept me in eagerness by sharing unexpected perspectives throughout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 feel that it is not enough to express my gratefulness and affection in words, but I only dream of the near day when we could unfold our curiosity together for it to be interwoven wonderfully. I would like to acknowledge Soojung Jun and all my fellow researchers at IDTC lab in Hongik University, for them to exchange invaluable feedbacks. And every one of my research mates from IDAS, especially the residents at room #504, gave me a lot of intriguing points of view which helped me to push my study, I appreciate all immensely. Also, I owe the team from Beyond Design Inc. a huge gratitude for such great inspirations and insights, particularly, Michael Prince for his encouragement and support. And my outstandingly thoughtful and explorative friend Holly Prouty, I would love to thank her for continuously inspiring my mindset and being supportive and attentive from another continent regardless of the distance. Finally, I owe the biggest thankfulness to my adorable family, especially my parents, I would not have come this far without their endless love and support. Seoul, July 2017 Hyerin Sung p.8.oft-Systmes guide to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challenging situations and arrive at satAbstract Design, as a problem-solving process, has been recognised to be thoroughly human-centred. Since the initial move aimed for a major shift from design artefacts to people, the discipline has been progressing forward by developing diverse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increasing complexity in our world and society is an unprecedented case. Regarding these matters, this study began with two prime questions: 1) when design claims to be the appropriate discipline for human-centred problem solving, why so? 2) how can designers enhance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people, in response to the slogan ‘designing for people’?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design in terms of understanding people and dealing with various perspective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frames which is known to be fundamentally related to how we perceive the world differently. The study was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reviewing literature on both design and frames to extract the essentials for synthesis and analysing a case study to understand design process from a perspective of framing. As a result, design process was reinterpreted with a scope of designers’ framing actions in handling various perspectives and a guidebook was designed to inform designers on useful aspects about the notion of frames. 문제해결 프로세스로서의 디자인은 지금껏, 사람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아왔다. 디자인 인공물 자체에 맞춰져 있던 초점을 디자인을 사용하는 사람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와 움직임 이래, 디자인 학문은 다양한 접근법과 방법론들을 전개하며 발전해왔다. 한 편으론, 전례 없이 빠르게 복잡해지고 있는 사회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두 가지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1) 디자인 분야가 사람 중심의 문제해결에 적합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어떤 면에서 그러한가? 2) 어떻게 하면 디자이너들이 ‘사람을 위해 디자인 한다’는 슬로건에 대응하여,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을까?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개개인이 세상을 각기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는 현상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프레임’이라는 개념의 탐구를 통하여, 사람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시각들을 다뤄야하는 디자인 분야의 발전 방향과 기회의 탐색에 있다. 연구의 방향은 두 가지로 나뉘었다. 첫째로는, 디자인과 프레임에 대한 개별적 문헌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분야에 유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개념 관련 요소들을 검토하고 종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로는, 사례연구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프레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디자이너들이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을 다루는 과정에서 행하는 ‘프레이밍’ 활동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 프로세스를 재해석하였고, 문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추출된 ‘프레임’ 관련 유용 개념 및 핵심 사항 등을 디자이너에게 전달하기 위한 안내 소책자를 디자인하였다.

      • Design of modular swing trays and accessories for a beverage delivery robot

        Park, Junghyuk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국내석사

        RANK : 232223

        While it all seemed like a dream, robots and technologies have been consistently improving and introduced to our society. Not only are robots commonly used in household settings, but they are also utilized in businesses and other industries for delivery and serving purposes. Mobile robots for shipping and serving are used with a focus on design and manufacturing for business and marketing noise. For this reason, the design focuses on function orientation, while the modularity of service function is limited. The principle of modularity is to provide flexibility, rapid change-over, and be able to upgrade, repair and have parts to be reused. The purpose of the modularity swing tray is to provide a spin-off of a previously developed delivery robot called ‘Wondoo’. Wondoo was developed by ‘Wonik’, a company that specializes in robot design, in collaboration with students from Hongik University. ‘Wondoo’ was originally developed to provide indoor coffee delivery service and increase marketing and commercial value. The modularity of the swing tra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dvantages of ‘Wondoo.’ The enhanced modular structure will execute tasks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unction of “Wondoo’,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the new structure. To design the modular structure, Wondoo’s movement and joint movement method were mainly focused. In addition, the purpose of using the service of 'Wondoo' was selected for module development. Hence, a module suitable for the design and robot's moving structure; the swing tray was proposed. Through the modular part design conducted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result of aesthetic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engineering elements based on modularity of service robots and desig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ult is that the design of the robot module through the designer can address the impact of robot production in the future. 아직 멀다고만 느끼는 로봇 서비스는 최근에 꽤 가깝게 다가오고 있다. 가장 성공적인 서비스로봇은 청소 로봇이다. 지금은 흔히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배달, 서빙, 조리 등의 서비스를 하는 로봇을 볼 수 있다. 마케팅의 요소로도 쓰이면서 업무 용도로도 쓰이는 배달, 서빙 등의 이동형 로봇들은 그것의 목적에 초점을 두고 설계 및 제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은 기능 중심적으로 만들어지고, 서비스 기능의 모듈화는 제한적이다. 파트 모듈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으로 모듈 구조가 가진 장점을 기존의 ‘원두’ 로봇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원두’는 로봇 전문 기업인 ‘원익’과 산학 수업에서 학생 주도로 개발한 로봇이다. 기존에 개발한 실내 커피 배달 로봇 ‘원두’의 spin-off 개발을 위한 트레이 파트 모듈화를 통해 로봇의 상품성과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원두’는 새로운 방식의 기능과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에 맞는 모듈이 필요하고 이것은 새로운 방식의 구조의 장점을 부각 할 수 있다. 모듈 구조 디자인을 위해 ‘원두’의 운동 방식과 조인트 운동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모듈 개발을 위해 ‘원두’의 서비스 사용 목적을 정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사용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과 로봇의 이동 구조에 적합한 모듈을 제안하였다. 디자인은 설문 조사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디자인을 채택하게 되었고, 기존 로봇의 디자인과 융화되도록 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모듈 파트 디자인을 통해 서비스 로봇의 모듈화와 디자이너 기반으로 공학 요소를 미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는 결과물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결과물이 가질 수 있는 의의는 디자이너를 통한 로봇 모듈의 디자인이 앞으로 로봇 제작에 미칠 영향에 대해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gradual levee breach flow due to lateral overflow

        Kim, Soo Young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4 국내박사

        RANK : 232223

        The author wishes to thank sincerely his advisor of academy and his life, Prof. Seung Oh Lee for his continual advice, guidance, and encouragement throughout the Ph.D. course of this study. Prof. Lee's enthusiastic support and continuing review of the draft was precious to the improvement and completion of this thesis. Appreciation is given to the committee members, Prof. Jai Woo Song, Prof. Sei Eui Yoon, Dr. Kwang Seok Yoon and Prof. Dongkyun Kim for their helpful comments and valuable suggestions to this thesis.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all the faculty and staff members of the department are also greatly appreciated and acknowledged. Special thanks go to his many superiors and juniors in HERL and assemblage of hydraulic lab in Hongik university. Without their invaluable assistance, this thesis could not have been completed. The author wants to appreciate th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08-Tech-Inovation-F01) through the Research Center of Flood Defence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i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ICTEP)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Most of all, the author wishes to thank his mother, mother in law, sisters, and their family from the bottom of his heart for their devotion, sacrifice, support, and endless love and want to dedicate this thesis to them. Last but certainly not least, the author wishes to express his deepest thanks to his wife Songyi Han for her patience, encouragement, and understanding for making his life happy and passionate.

      • A Study on Office Environment Design through Personalization of Workspace

        Park, Joon Hyoung Hongik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2207

        The current form of the work space, which began in the 1920s, developed dramaticall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laptops and smartphones, along with LTE and 5G communication technologies, we have been able to work more freely than ever before, making it possible to work in a lightweight, simple space. In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the workplace has also started to change, with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Over time, the type of workspace simply to monitor, manage and supervise hundreds of employees has changed as social awarenes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among employees, and corporate cultures have become increasingly horizontal. The current co-working space that reflects the elements has become a trend. However, based on the opinion tha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employe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working, Co-working space is now proven to have a worse impact on employees than good. Large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such as Hyundai Card, WeWork, and Google, which accepted this fact, have developed into a working space that eventually coexist with a collaborative space by installing a private space within a collaborative space to provide a personal space to employees, reflecting the needs of employees. research on components of “workspace” and “Atmosphere” has revealed the essential factors to create “Optimal workspace atmosphere” and through this result, the survey could be arranged. The key findings from the survey was first, people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workspace atmosphere. Second, the physical comfort is very low, whi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every other factors. Third, demand of customizable desk is very high. Through the findings, final design output has been decided. Desig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your own space by providing maximized customization and the only one of its kind in the world. Therefore,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ossibility for the future optimal workspace atmosphere design through personalization to be proposed. 1920년대에 시작된 현재의 작업공간의 형태는 4차 산업혁명으로 극적으로 발전했다. LTE, 5G 통신 기술과 함께 고성능 노트북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그 어느 때보다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게 되어 가볍고 단순한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기술의 발전을 통해 Workspace 에서의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 됨에 따라 작업공간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히 수백 명의 직원을 감시, 관리, 감독하기 위해 만들어진 업무 공간 유형인 Open-plan Office는 사회적 인식, 직원들 간의 소통과 창의성의 중요성, 기업 문화 등이 점점 수평화 되면서 Universal-plan Office 디자인을 거쳐 현재의 Co-working space, 협업 요소를 반영한 현재의 협업 공간이 트렌드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자료들을 보면, 공동 작업 공간은 직원들에게 좋은 것보다는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사실을 받아들인 현대카드, 위워크, 구글 등 국내외 대기업들은 직원들의 요구를 반영해 협력공간 내에 개인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결국 협업공간과 공존하는 작업공간으로 기존의 사무실을 발전시기에 이르렀다. "Workspace"와 "Atmosphere"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적의 작업공간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을 밝혀냈으며, 이 결과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이 설문의 주요 결과는 첫째로, 사람들은 그들의 작업 공간 분위기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둘째, 무엇보다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신체적 편안함(Phycsical comfort)”이 매우 낮다. 셋째, 맞춤형 책상 매우 높은 수요. 이 결과들을 토대로 최종 디자인이 결정되었다. 디자인은 최대화된 커스터마이징과 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제품을 제공하여 통해 나만의 공간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개인화를 통한 미래의 최적화된 작업공간 분위기 디자인에 있어서 그 가능성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China based on the Korean system

        Liu, JinJing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2021 국내박사

        RANK : 231967

        인류는 21세기에 들어서 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글로벌 시스템 대 변혁을 겪고 있으며, 인류의 생산모델, 경제모델, 생활 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디자인이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근본적인 변화를 거쳤는데, 기존의 제품 미학 형태의 조물 디자인에서 사회적이고 혁신적인 시스템 디자인으로 전환하고 있다. 디자인 활동의 영역은 생산 지원에서 서비스 비즈니스 경제로, 나아가 사회를 이끄는 혁신으로 바뀌고 있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언어 환경 또한 보다 종합적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 디자이너들은 단순히 '형식'과 '기능'을 해결하는 것이 아닌 역동적이고 불확실한, 복잡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역할도 과거와 달라졌는데, 새로운 디자인 활동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능력에 대한 까다로운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새로운 과학 기술 혁명과 산업혁명이 디자인 교육에 새로운 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디자이너 육성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대학교는 그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디자인 교육을 업그레이드 함으로써 새로운 시기에 적응할 수 있는 디자이너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과 같은 융합의 시대 속에서, 디자인 학과의 통합성은 나날이 강화되고 있다. 단일 학과의 전문 육성은 더 이상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으며, 디자인 교육은 보다 많은 학과들의 지식을 융합하고,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제간 교육(interdisciplinary education)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일부 서구 국가들은 일찍이 1980년대 때부터 단일 학과의 디자인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학제간 디자인 교수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후 오늘날에 이르러 일정 수준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여전히 탐구를 지속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주요 경제권으로서, 새로운 산업혁명과 글로벌 트랜드에 발맞추어 학제간 디자인 교육 발전에 동참하고 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세대적,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이다.한국은 국가 발전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중대한 역할을 줄곧 인식해 왔으며, 정부와 산업 부문의 대폭 지원으로 1990년대부터 비교적 완전한 디자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중국에 앞서 학제간 교육 발전을 추진했다. 중국은 비록 한국보다 출발이 늦었지만, ‘중국 제조’ 에서 ‘중국 창조’ 로 향하는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중국은 이처럼 중요한 시기에 직면해 있으며, 정부와 사회 모두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 교육 시스템의 보완에 돌입하였다. 디자인 교육 시스템과 학제간 교육을 개선함으로써 지금과 같은 전환의 시기에 중대한 임무를 수행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 모델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한국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미래 발전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학제간 디자인 교육에 관한 이론 문헌과 대표 사례를 주요 연구 자료로 삼고 있으며, 문헌 분석, 역사 연구, 사례 분석 그리고 비교 분석의 네 가지 방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각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 발전 현황을 상세히 연구하고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사회 발전과 기술 경제 모델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개념을 확장하고, 디자이너의 역할을 확대하며, 디자인 교육의 개혁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제간 교육의 발전과 교육 요소와 결합하여 국가 별 학제간 디자인 교육 모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발전 상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발전 정도의 차이와 공통점을 비교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의 발전 현황을 참고하여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미래 발전 계획을 탐구하였다. 연구의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우선 디자인 및 디자인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발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디자인의 개념, 디자이너의 역할,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대해 상세하게 종합하여 서술하였다. 둘째, 문헌 분석을 통해 학제간의 정의와 발전 상황 그리고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디자인 학과 발전에 있어서의 학제간 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일본의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대학교들의 사례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 상황에 대한 연구로서, 한국과 중국의 디자인 교육의 발전 역사와 현재 처한 단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상황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 상황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자세히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는 세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 째,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글로벌 발전 상황을 도출하였다. 전 세계 각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발전 추이를 보면, 미래의 학제 통합 발전 추세는 '학제간 (interdisciplinary)'을 넘어 '초학과 (transdisciplinary)'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학부 단계의 학제간 교수는 대부분 과정 항목에 분산 되어 있으며, 대학원 수준의 학제간 교육은 주로 표준화와 체계적인 학제간 학위 프로그램이다. 둘 째, 한국과 중국이 실시하고 있는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발전 배경, 육성 목표, 교수 방식, 관리 제도, 자원 지원 및 발전 문제 등은 모두 차이점과 유사성이 공존한다. 유사성은 기본적으로 전 세계 학제간 디자인 교육 발전 양상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이다. 차이점은 두 나라의 상이한 정책 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회 문화적 배경과 발전 정도에 따른 것이다. 차이점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 각자의 장점을 엿볼 수 있었으며, 미래 발전에 참고할 만한 부분이 있다. 이 밖에도 본 연구는 모든 연구 내용과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을 제시하였다. 양성 목표, 교육 모델,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자원 지원 네 가지 분야에 대해 미래 발전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중국의 학제간 디자인 교육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한 가설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본 연구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디자인 활동이 관여하는 분야가 점점 더 광범위해 지면서,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발전이 불가피해진 가운데, 학제간 디자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현재 학계에 존재하는 디자인 교육 및 학제간 교육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서방 국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해당 분야의 학술정보 부족의 문제를 보완함으로써 아시아 국가의 디자인 교육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의 디자인 교육은 시스템의 보완은 물론 학제간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도 중국에 앞서 있기 때문에, 한국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두 나라의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미래 발전에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이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디자인 교육 시스템 발전을 가속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학제간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관한 연구는 학술 분야의 필요에 의한 것일 뿐만 아니라 중국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Human beings are undergoing a great world-wide systematic change caused by the advancement of new technologies when entering the 21st century, affecting various fields, including human production mode, economic mode, and lifestyle.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of design in social development has obviously and fundamentally switched from the original product aesthetic form of creation to the social innovative system design, and the field of design activities has changed from supporting production to serving the commercial economy and then to driving the transformation of social innovation. Consequently, the design context has become more comprehensive and complicated, as well. Nowadays, instead of a series of simple issues such as “form” and “function,” the design issues confronted by designers are those in dynamic and uncertain complex systems. The role played by designers also changed compared with that in the past, and new design activities pose more complicated and demanding requirements for designers' skills. In view of the new challenges caused by the new round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to design education, the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the main carrier of cultivating designers, must upgrade the education mode as soon as possible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adapt to the demands of the new era. In this era of convergence, the comprehensiveness of design disciplines has been further enhanced. A single-discipline professional training mode can no longer meet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onverge more discipline knowledge and implement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train comprehensive innovative talents. As early as the 1980s, some western countries have realized the limitations of design education in a single discipline and begun to explor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which has achieved certain visible results today, but this exploration is still continuous. Both China and Korea are major economies representing Asia. Two countries have conformed to the global trend and engaged in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when facing the new round of industrial reformation to train new innovative talents who can address complex problems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has always insisted on the important position of design in national development. With the strong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ial circle, Korea established a relatively complete design education system in the 1990s and started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early than China. For China, which is in the critical period of transition from "Made in China" to "Created in China," both the government and society have gradual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design. They have begun to carry out design education reforms. Although it started later than Korea, to cultivate innovative talents who can take on great responsibilities during this critical period of transformation, China is under improving the design education system and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detailed research on China and Korea's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modes. Through the study of the Korean system, to provide necessary references for further developing Chines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the future. Taking the theoretical literature and representative cases about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as the main research materials, this research mak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and comparis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China and Korea, with four main methods of literature analysis, historical research, case study, and contrastive analys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modes in different countries in combina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lement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fter discussing the expansion of design concept, the upgrading of designers' roles, and the reform of design education caused by social development and changes of technological and economic modes. On this basis,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has been emphatically analyzed, and differences and commonness in their development have been compared. Then, refer Korea's development, discuss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na's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To fulfill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ain contents of t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o understand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desig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detailed summary of the concept of design, the role of designers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Secondly, with the analysis of literatures, the definition, development, and key element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re summarized,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the design discipline is analyz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universities with different attributes from America, Europe, and Japan have been selected for a detailed case study. The third part is the specific study on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e basic situation of design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has been collated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Also,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in detail. With detailed research and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ummarized the global development situation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can be found the development trend of discipline integration for the future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o “transdisciplinary.” At the undergraduate stage, teaching is mostly scattered and placed in the curriculum items. Howeve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t the postgraduate level is mainly standardized and systematic interdisciplinary programs. •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development background, training goals, teaching modes, management systems, resource support, and development problems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The similarities of the development of the two countries are basically the commonness of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worldwide. However, the differences are caused by the different policies, system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development level of the two countr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can find the respective advantages of both countries, which can be referred to in future development. To conclude, the certain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seen from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ly,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has become an inevitable trend when facing the situation that increasingly extensive fields have been involved in design activities. Henc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ystematic research on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At present, academic researches on design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re mostly about western countries. The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can help make up for the lack of academic information in this field and help people further understand design education in Asian countries. Secondly, Korea's design education is ahead of China in terms of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or develop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refore, studying the Korean system and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provide valuable reference experience for China's futur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Expecting to help China learn from others' strong points and speed up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needs of academic fields and beneficial to China's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 The Future of Retail Design: Queer Eyeshadow Brand

        De Sousa, Ara?jo Tiago Hongik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1967

        This thesis work explores how the queer community has been largely influencing the creative industry and gives special emphasis in the cosmetic and beauty field. Therefore,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the Brazilian packaging specialist Fábio Mestriner (2002), grounding data about queer movement history and new technological approaches to makeup were combined in order to support our main theory: for the past 50 years, the LGBTQ community has been the main creative gear of our society. The insights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provided the foundation to conceptualize the future of a cosmetic brand and its retail strategy. Anal Plague Cosmetics, a brand and lifestyle devoted to unleash the personas inside of every multi-faceted human. The full process culminating in a capstone exhibition during the degree show at Hongik University is described and includes: naming design, branding, packaging design, augmented reality (AR) face filters development and the overall store experience. 본 논문은 화장품 및 뷰티 산업을 중심으로 창조 산업 속 퀴어 공동체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에 어울리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브라질 패키지 디자인 전공자 파비오 메스트리네 (2002)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퀴어 인권 보호 운동의 역사와 화장품 업계의 신기술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논문의 중심 이론인 지난 50년 동안 LGBTQ 공동체가 세계 사회 창조력의 중심에 있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조사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화장품 브랜드와 판매 마케팅 전략을 세워 구체적인 브랜드 개념화를 진행하였고, 인간의 다면적인 자아를 나타나는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Anal Plague Cosmetics(똥꼬충 코스메틱스)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네이밍 전략부터 브랜딩, 패키지 디자인, 증강 현실 얼굴 필터 개발 그리고 매장 경험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는 모든 과정을 자세히 서술하였고, 홍익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졸업 전시회를 통해 퀴어 공동체 중심 브랜드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The study of UX design strategy development focusing on improving performance

        Kim, Taehe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9 국내석사

        RANK : 231967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UX design strategy focused on impro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service. To study varied UX strategies, user types are divided into 2: ‘a large group’, ‘a small group’. The first project is about targeted public, Seoul citizen. I will evaluate a usability of Seoul bike and re-design the app based on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Through the task analysis research, I will evaluate the usability based on 4 principles which are re-established in literature research. The second project is about suggesting effective UX design strategy for one-to-one personaliz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a user. The main goal of personalization in this study is to deliver content and functionality that match specific user needs or interests, with no effort from targeted users. The overall design model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UX Design Process’. But the basis for each project is in ‘Rapid Contextual Design’ and ‘Lean UX’ for qualitative research. 본 논문의 목적은 서비스 사용 맥락에 따른 기능 향상에 중점을 맞춰 사용자 중심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1차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를 사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하며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 공공 자전거 서비스 디자인을 평가 및 제안하였다. 이후 2차 연구에서는 서비스 사용 맥락에 따른 효과적인 개인화 UX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 연구에서 개인화의 주 목표는 사용자의 요구나 관심사에 맞는 것을 사용자에게 별 노력없이 제공하고자 하는 것 이다. 2차 연구 내 전체적인 모델은 'Double diamond UX process'에 기반해 있으나 각 세션의 토대는 정성적 리서치를 위한 'Rapid Contextual Design'과 'Lean UX'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