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KR-TSR 連結과 東北亞 觀光協力

        장선덕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North-East Asia is receiving spotlight as one of the top three economic blocs for tourism zone, along with North America and EU in the aspect of population, economic-scale and growth potential. However, as for the condition of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re is a problem of inconvenience in mutual approach through railway. This acts as an obstacle in building single tourism zone in the North-East Asia,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North-East Asian countries will cooperate on tourism, when the international railway network is built. Now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actively cooperating in order to construct a Eurasian continental railway network linking the Trans-Korea Railway(TKR) and Trans-Siberia Railway(TSR). The railway has an advantage of enhancing the accessibility between tourist destination and tourism market, and it is also faster than any other transportation means. If these points are utilized well, it will contribute to tourism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to enlarge tourism coope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case an international railway network linking TKR and TSR is constructed, focusing on measures to activate tourism exchang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TKR-TSR link. The TKR-TSR link was considered a neccesity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 logistics community, but when tourism comes in with the railway, it becomes the main factor in building a North-East Asia tourism community. Cooperation on tourism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will be wide open when the TKR and TSR are linked. Firstly, the accessibility to North Korean tourism resources will be enhanced by international railway, with tourism development in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Secondly, when the TKR and TSR are linked, tourism cooperation will be more activated between Korea and China, especially withi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Manchuria), and railway tourism zone surrounding the Yellow Sea is espected to be formed. Thirdly, considering Russians' preference to long-distance journey by rail and group tours, mutual visitations will be rapidly increase through the international railway. Fourthly, Japan is not likely to be effected by the TKR-TSR linkag, which is the restoration of the continental railway network. However, the cooperation on tourism will grow up largely when the TKR-TSR is linked with Korea-Japan undersea tunnel. Tourism cooperation will be enhanced in several ways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around the TKP-TSR link. Firstly, the tourism in Kwanbuk region, eastern part of North Korea will be developed with the densely-located tourism resources around the TKR-TSR link. Secondly, tourism items needs developing with the tourism resources in the borders where the international railway passes. Thirdly, tourism items linking with international trains can be devised such as long-distance international railway package in EU and North America. Fourthly, local autonomous entities along the international railway can work cooperatively as basic tourism units in China and Russia which produce large scale tourism circles. The research on the tourism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pertaining to the TKR-TSR linkage has a practical meaning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tourism, and the North-East Asia region can appear as a single tourism zone through international railway and reform in North Korea can be induced, with tourism cooperation as the medium. Moreover, 'the one-nation tourism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ccomplished while developing and managing tourism resources of North Korea. 남북한과 일본․중국․러시아 등이 포함된 동북아지역은 인구․경제규모․성장잠재력 측면에서 북미․EU지역와 더불어 세계 3대 경제권 내지 관광권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교통인프라 조건에서 보면 이 지역은 육상․해상․항공편이 골고루 발달된 북미․EU지역과는 달리 육상교통수단, 특히 철도를 통한 상호 접근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결과 동북아지역은 단일 육로 관광권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국제철도망이 구축될 경우 역내 관광협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최근 동북아 국가간에는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연결하여 동북아-유럽을 잇는 유라시아 대륙철도망을 구축하려는 구상을 둘러싸고 협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유럽지역이 철도망의 통합을 통해 단일한 관광권으로 변모했듯이 동북아지역도 역내 철도망의 연결을 통해 긍정적인 국제관광협력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철도는 여타 교통수단에 비해 신속성과 대량운반성, 무엇보다도 관광시장과 관광지간의 접근성을 개선시켜 준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이 점을 적의 활용하면 동북아 국가간의 관광협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TKR-TSR 연결문제를 ‘동북아 물류공동체’의 구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했으나, 앞으로는 ‘동북아 관광공동체’의 구축에도 필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연결되어 국제철도망이 구축될 경우 동북아 국가간의 국제관광협력 가능성을 분석하고, TKR-TSR 연결을 활용하여 동북아 지역내의 관광교류․협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硏究方法으로는 기본적으로 문헌분석(국내외 관련서적․정기간행물․연구보고서․세미나자료․통계자료)을 중심으로 하는 서술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반적으로 TKR-TSR 연결시 동북아지역내의 국제관광협력이 활성화될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그동안 열악한 접근성으로 미개발상태였던 북한의 관광자원이 국제철도의 북한통과에 힘입어 접근성이 개선됨으로써 남북한의 협력하의 개발이 본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된다. 둘째, 한․중간에는 서해를 둘러싸고 輪環型의 철도관광권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동북3성이 우리의 주요 시장으로 부상하는 등 관광협력기반이 조성될 것이다. 셋째, 한․러간에도 철도를 통해 빈번한 상호방문이 가능해지며 특히 장거리․ 단체 철도여행을 선호하는 러시아인들의 특성과 맞물려 관광협력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TKR-TSR 연결사업이 본질적으로 대륙교통망의 복원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섬나라인 일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한․일 해저터널 건설과 연계될 경우 일본도 동북아 육로 관광권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다섯째, 한국은 대륙철도망에의 접속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 관광시장을 배후지로 얻게되어 ‘관광르네상스’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TKR-TSR 연결을 활용하여 동북아 지역의 관광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제철도가 지나는 북한 관북지방의 관광자원을 중점 개발하는 방안, 북․중․러 3국의 국경지역에 위치한 관광자원을 토대로 동북아 공통의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방안, EU․북미와 같은 장거리 국제철도상품을 선례로 참고하여 동북아지역에서도 국제열차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방안, 중국과 러시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대규모 관광단을 송출하는 기초단위인 점에 착안하여 국제철도 노선상에 위치해있는 지자체간에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TKR-TSR 연결시 동북아 관광협력을 저해하는 요인도 상존하고 있는데, 특히 통과수익 획득에 대한 기대감과 대외개방에 따른 체제불안감을 동시에 안고 있는 북한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은 ‘동북아 관광중심국’이라는 확고한 비전을 갖고 TKR-TSR 연결을 통한 관광협력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관광개발 지원을 매개로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하며, 통일이전이라도 ‘한민족 관광공동체’의 복원 차원에서 북한의 관광자원을 개발․관리하는데 정책적 관심을 꾸준히 경주해나감이 바람직하다.

      • 국제관광 동기, 제약, 협상, 참여 관계 구조분석 : 해외여행 경험자를 중심으로

        석민선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國 文 要 旨 본 연구는 국제관광 동기, 제약, 협상, 참여 관계 구조분석 연구로 국제관광 동기·제약·협상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변수항목을 도출하였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는 글로벌 시대의 전략산업이자 삶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적극적인 레저활동인 국제관광 참여 연구에 긍정변수와 부정변수의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 하였다. 국제관광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수인 동기, 제약, 협상에 관한 요인도출을 위해 사회변화를 고려한 2000년 이후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국제관광에 적합한 변수요인을 추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Jsckson & Crawford & Godbey(1993)의 “균형이론(Balance proposition) "모델과 Hubbard & Mannell(2001)의 제약효과완화 모델(CEM)과 인식된 제약감소 모델(PCR), Son & Mowen & Kerstetter(2008)의 레저 제약-협상 더블 채널 모델을 참고 하여 연구모형을 작성 하였다. 실증분석은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변수항목을 국제관광업에 10년 이상 종사하고 석사이상 학력을 보유한 국제관광 전문가의 수정·보완을 거쳐 변수항목을 도출하였다. 동기요인으로 색다른 체험, 일상탈출, 사회적 교류, 교육, 친목 등 5개 요인 14항목과 제약요인으로 내재적, 대인적, 구조적 3개 요인 12항목을 협상요인으로 시간, 기술, 대인, 재정 등 4개 요인 13개 항목으로 최종확정 하였다. 인과성과 참여성을 확인하기 위해 6개의 가설과 12개의 세부가설을 검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도시 성인 해외여행 경험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총 유효표본 356개를 회수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국제관광 동기요인은 참여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탈출 동기와 교육 동기가 높을수록 참여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관광 동기요인은 제약요인에 미미한 영향으로 설명력이 약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제관광 동기요인은 협상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기요인이 참여와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동기가 강할수록 참여가 높아지며, 동기요인은 참여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관광 제약요인은 참여에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이 높을수록 참여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제관광 제약요인은 협상요인에 미미한 영향으로 설명력이 약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제관광 협상요인은 참여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협상 요인에 노력을 할수록 참여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동기·제약·협상 요인은 참여에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는 참여에 직접 영향과 협상을 통한 간접 영향을 행사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 변수 요인의 조절 강도에 따라 참여 수준이 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동안 관광연구에서 동기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되었으나 제약에 대한 연구는 장애인·노인·청소년·여성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하고 포괄적인 심리적 연구에 기여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21세기 글로벌 국가 산업으로서의 국제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자료로 활용됨과 국제관광 산업기업에 중요한 마케팅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되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 대상을 서울 및 수도권의 국제관광 경험자로 한정하여 비교적 고학력자이며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연구의 보편성을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이 있으므로 연구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을 다양화 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향후 연구 과제로 첫째, 국내환경에 적합한 국제관광 동기·제약·협상 등 복합적인 연구를 위한 측정척도 개발 필요성이 제시 된다. 둘째, 국제관광 참여 변수를 동기, 제약, 협상으로 한정하였으나 국제관광에서 더 많은 변수들이 잠재해 있으므로 다양한 변수를 적용한 포괄적 연구가 필요 하다. 핵심용어 : 국제관광, 동기, 레저제약, 관광제약, 제약협상, 참여

      • 해외개별여행자 추구편익에 따른 여행동반자 선택요인

        윤해정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article was conducted to identify that FIT(free independent tourists) prefer to join travel companion depending on their benefits sought. While tourist guided by travel agents has decreased, recent trends on the travel market reveals that individual tourists have increased, due to demographic structural changes, changes in level of education, increment in travel experience, and internet development.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of the benefits sought and companion selection factors which was brought from marital theories,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executed to FI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analyzing the data by SPSS 18.0 version. This article contains two inherently different contents: 1) determin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sought and travel companion selection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were both utilized. A core result of these analyses were: four factors of benefits sought influences partially to five companion selection factors. 2) market segmentation was performed up to benefits sought by cluster analysis. Three clusters were extracted, they were named as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lusters. In summary, this article includes implications on apprehension of FIT as travel companion selections. 본 연구는 해외개별여행자들이 자신의 여행에서 얻고자 하는 추구편익(benefits sought)에 따라 어떠한 동반자와 함께 하고 싶은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해외여행의 트렌드는 인구구조의 변화, 교육 수준의 향상, 여행경험의 증가, 인터넷의 발달로 패키지여행자가 줄어들고 개별여행자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개별여행은 패키지여행보다 여행자 스스로 자신의 여행에 더 많은 관여를 하게 되고, 어떤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아진다. 만족도가 높은 상품은 재구매로 이어지기 때문에 앞으로도 개별여행자는 점점 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대체적으로 모험심이 강한 개별여행자는 새로운 관광시장을 개척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하며, 개별여행자가 먼저 경험을 하고 알리면서 일반인들도 가는 관광지로 발전하게 된다. 여러 가지 이유에서 개별여행자의 증가는 곧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광상품의 다양화, 관광목적지 다변화, 고급 체험상품의 개발 등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투자하고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관광시장에서의 추구편익은 여행자들이 여행을 통한 지식이나 경험 등으로 얻을 수 있는 편익이나 이점을 말하며 관광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많이 연구되어져왔다. 관광시장에서 추구편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으나 여행동반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또한 기존의 여행동반자 연구는 여행동반자를 단순히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으로 나누고 여행의 하나의 속성으로만 연구되었을 뿐이며 중요한 요소로 살펴보지 않았다. 그러나 여행동반자는 관광지나 방문기대치, 만족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기존의 연구들 보다 더 자세하게 연구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행동반자에 대한 세분화된 접근을 시도한 탐색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해외개별여행자의 추구편익에 따른 여행동반자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해외개별여행 추구편익, 동반자 선택속성, 여행자의 일반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339부의 유효표본이 회수 되었으며, 분석방법은 SPSS(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중회귀분석, 정준상관분석, 교차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추구편익에 따른 여행동반자 선택속성에 대해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첫째는 해외개별여행자의 추구편익과 동반자 선택속성 간의 인과관계분석이다. 추구편익과 동반자 선택속성의 관계, 즉 자신이 여행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에 따라 동반자를 선택하는데 고려하는 요소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해외개별여행자를 추구편익에 따라 시장세분화 하여 동반자 선택속성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추구편익에 따른 시장세분화에서는 세분시장별로 대부분의 항목과 동반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세분화를 통해 진정 알고자 했던 세분시장별 동반자 선택속성에 있어서는 추구편익 군집 중 적극형이 동반자 선택에 있어도 적극적이고, 소극형이 동반자 선택에 있어서도 소극적인 차이었을 뿐 각 군집별로 특별히 어느 동반자 선택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차이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관광연구에서 여행동반자가 여행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면서도 여행동반자를 단순히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그저 여행의 한 요소로서 본 것에 대해, 여행동반자는 더 세밀하게 연구되어져야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여행자들이 어떤 여행동반자를 원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여행자에 대한 더 다양한 방법의 이해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개별여행자 시장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되기 위한 종합 논의와 함께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치유 관광의 관점으로 본 관광 체험의 심리적 효과 : 유럽 자유여행 참가자 대상으로

        주혜돈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치유관광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과 수요증가는 치유관광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효과와 여행이라는 체험으로 개인이 얻게 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한 많은 매력들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치유관광을 통해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정서적 치유, 인지적 치유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곳 심리적 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치유관광의 시장성을 살피고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치유관광의 관점에서 본 관광체험의 심리적 효과의 요소와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 전반적인 곳에서 등장한 힐링과 힐링관광의 열풍으로 치유관광의 관점에서 관광체험의 심리적 효과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서 시작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치유관광 및 관광체험의 심리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연구모형에 따라 설정된 가설을 검증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방법과 실증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치유관광과 관광체험의 개념 및 관광체험의 심리적 효과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실증조사에서는 유럽 개별여행을 다녀온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가설은 첫째, 관광체험이 치유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관광체험의 치유영역이 심리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관광체험이 심리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설의 검증 결과 관광체험은 치유영역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관광체험의 치유영역은 심리적 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관광체험은 심리적 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 되었다. 이는 치유관광의 프로그램 발전 방향 모색에 있어서 관광체험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심리적 효과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체험의 각 구성 요소는 치유영역과 심리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앞으로 관광체험에서 심리적 치유효과를 연구하며, 여행전문가가 만드는 치유 여행 프로그램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 연구

        정윤정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전통시장은 본래 자연발생적 또는 사회경제적 필요에 의해 조성되고, 상품 및 용역의 거래가 상호신뢰를 근거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는 장소이다(전통시장 특별법 제2조). 2015년 기준 전국에 1,439개가 위치하며 종사자수만 해도 35만명을 넘는 서민경제의 주요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 SSM 등의 업계 과다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고객들의 기호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상인들의 자생력 부족 등으로 전통시장은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과거 시설개선 위주의 지원에서 개별시장이 가진 특성을 바탕으로 시장경영혁신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전통시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주로 전통시장 자체의 매력성과 기능, 성공요인 등에 대한 연구로서 소비자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추구편익에 대한 연구와 추구편익과 전통시장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선택속성에는 어떤 요인이 있는지 알아보고 추구편익,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 1.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은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전통시장 선택속성은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세웠고, ‘17.5.5 ~ 5.7에 걸쳐 전주남부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81부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통시장 관광객 추구편익은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부분채택).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김현지(2004)의 연구에서 일상생활을 탈피하여 휴식과 육체의 활력을 추구하는 휴식추구형 관광객이 부산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원하는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전주남부시장 관광객의 휴식추구 편익이 주요혜택(볼거리, 즐길거리, 특유의 분위기 및 문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광객 추구편익과 선택속성간의 관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추구편익 중 문화적 경험을 추구하는 관광객과 다양한 활동을 추구하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전통시장 고유의 콘텐츠를 발굴하여 확대하고 주변 관광지와 적극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나 무료함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교통편 확충, 주차공간 정비, 편의시설 구비 등의 관광객에게 편의를 가져다주는 장치를 적극 마련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시설개선 위주의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통시장 선택속성은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부분채택).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상품의 차별성이라는 특정요인이 전통시장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철원·이태숙(2010)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전통시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다양성과 가격 적절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전통시장 선택속성과 만족간의 관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관광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광매력, 관련정보 속성을 강화해야 하는데, 관광매력 속성은 고유의 관광 콘텐츠 개발로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본 연구의 대상지인 전주남부시장 외에도 대구 서문시장, 부산 부평깡통시장처럼 야(夜)시장이 하나의 문화와 소비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데, 기존 상인들이 영업을 마친 심야시간에 먹거리 중심의 야시장을 활성화 시킨다면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주남부시장 주요 방문 연령층은 20대(50.2%)으로 방문하고자 하는 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 경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년상인 주도의 홍보 및 SNS활용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시장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전통시장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이는 기존 연구에서 다룬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구성요인을 전통시장에 적용하여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과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선택속성과 만족간의 관계별로 속성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야시장과 같은 시장 고유의 콘텐츠 개발이나 주변관광지 연계가 필요하고, 고객에게 편의를 도모하는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는 정책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이 변수간의 관계가 완벽하게 지지되지 않은 부분채택이라는 한계점과 관광형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하지 않은 방문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변수의 설명력이 높지 않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속성별로 역할이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고, 전통시장이 관광자원으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페이스북 관광콘텐츠 유형에 따른 사용자 반응 비교 연구

        김수연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정보 전달 기능을 가진 미디어는 사회의 발전과 함께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즉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페이스북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및 지자체 등의 홍보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페이스북에 게시된 콘텐츠의 파급 효과는 상당하다. 본 연구는 관광콘텐츠 유형에 따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관광콘텐츠의 선호도 차이를 알아보고 향후 관광마케팅에 적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관광홈페이지의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번체 페이스북에 게시된 포스팅으로 관광콘텐츠를 관광지, 관광정보, 음식, 축제 및 행사로 나누어 사용자의 반응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식 콘텐츠가 가장 높은 사용자 반응도를 나타내었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번체 등 언어별 사용자 또한 음식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관광지, 관광정보, 축제 및 행사 등으로 반응도 순위 또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음식에 대한 흥미도가 국가와 문화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만큼 축제, 체험프로그램, 관광코스 등 음식과 관련한 다양한 관광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반응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류 콘텐츠를 제외하였으며, 웨이보라는 별도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국 간체 사용자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한류와 중국인 관광객을 포함한 심도 있는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크루즈 기항지관광 만족도 연구 : 아시아 크루즈 외래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윤여현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지속적인 수요증가와 함께 성장 잠재력이 확인되고 있는 크루즈 산업의 한국 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외국 크루즈선의 한국 기항유치확대방안을 모색하던 중 고안되었다. 세계 크루즈선들이 오랫동안 고착되었던 크루즈 3대 목적지 시장에서 신흥 관광시장으로 아시아를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주요 기항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크루즈 외래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외래 관광객들의 기항지관광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시아 크루즈 시장의 발전가능성과 기항지관광 만족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극동아시아의 주요항구인 일본의 후쿠오카와 한국의 제주의 기항지관광 만족도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부 목적은 크루즈 기항지관광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평가요인을 분석하고 기항지관광 평가요인별 만족도 차이를 국외 국내기항지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에 앞서 문헌고찰에서는 크루즈관광의 개념, 특성,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세계 크루즈 산업, 아시아 크루즈 산업, 우리나라 크루즈 산업의 동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크루즈 기항지관광이 갖는 의미를 알기 위하여 크루즈 항구 및 항만시설과 아시아 기항지관광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광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개념을 정리하였고, 크루즈 만족도와 선택속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크루즈 외래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국외 기항지인 후쿠오카와 국내 기항지 제주의 기항지관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기항지관광 평가요인을 도출해냈으며 관광콘텐츠 및 운영, 관광기념품, 인프라 세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크루즈 기항 유치를 위해서는 시설, 인력면의 인프라 조건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주요 기항지로 선호할 만한 기항지관광 프로그램 및 운영면의 질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a way to bring a foreign cruise ship to Korea, noting that Korean market has an enormous potential. For Korea to become a major destination for cruise ships which had been staggered in big three destination market but are trying these days to find emerging markets in Asia,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much the cruise tourists are satisfied with the ship's destination. There are some points we can find by analyzing in-coming tourists' satisfaction rate. Therefore,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analyze and compare tourists' satisfaction rate between Fukuoka, a popular destination for Asian Cruise, and Jeju. For more specifics, we will analyze factors that greatly affect tourists' general satisfaction and compare to other domestic destinations. Prior to making an in-depth analysis, we have surveyed the definition of cruise ship tourism, features, and its types. It also includes the trend of the International, Asian, and the Korean cruise industry with the current status of cruise’s ports, facilities, and shore excursions in Asia. These definitions provide us a better understanding on destination based cruise tourism. By summarizing the concept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assessment factors on tourists' satisfaction rate became clear. After analyzing the result of the survey with the cruise tourists of Fukuoka, a foreign port, and the tourists of Korean cruise destination, Jeju, we have come up with three factors that are to be used for in-coming tourists' satisfaction rate: the contents of the tour and its management, souvenirs, and infra structure. So, to become a favorable port of call, we have to consider not only the sufficient infrastructure of both facilities and human power but the improvement of the tour program together with the quality of the management.

      • 농촌 관광지에 대한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의 지각, 태도, 기대행위 차이

        김영아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Assessing local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including local residents in the field of tourism developmen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reating the value of tourism development (Sheldon and Abenoja, 2001).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sector and participation among each stakeholder are being emphasized in order for tourism development to lead to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Yoon Yang-soo, 2001).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local residents in tourism development is an important topic being studied continuously by scholars (Choi and Sirkyay, 2011; Anderek andVogt, 2000; Ribiero et al., 2004; Yang Sung-soo et al., 2009; Ko Dong-wan, 1998) and the role of local residents in the establishment of tourism policy and community(Vargas-Sánchez et al., 2011; Lankford and Howard, 1994). In pursuit of changes i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other than physical facilities with the advent of the localization era, tourism development is drawing attention as a comprehensive plan to improve the economic value and quality of life and welfare of the region (Kim Jung-hwan, 2001; Seo Mi-seok, 1995). In particular, research on tourism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destinations under way through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s insufficient. This study considered the prior study and set up three assumptions to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from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behavior from tourism development. The five Yeongwol-gun regions (Yeongwol-eup, Jungdong-myeon, Kim Satgat-myeon, Nammyun, and Hanbando-myeon) were conducted five times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August 20, 2019 to November 17, 2019 for local resi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and for local residents who do participate. Of the total 650 surveys, the effective sample of part 615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f local residents and local tour operators,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behavior from tourism development. T-test was used to verify differences by interest group and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up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tour operators to show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and expected effects from tourism development. The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lso shown to represent differences between age and reg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verified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of rural tourism destination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local tour operators who participate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By dividing local residents into groups of interests participating in tourism-related economic activities and verifying their differences, i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redicting obstacles to tourism development due to conflicts and conflicts of interest among local resident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f these research results are used as data to preven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by referring to comprehensive rural tourism development plans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results.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를 평가하고 관광개발 분야에 있어 지역주민을 포함하는 것은 관광개발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Sheldon and Abenoja, 2001). 특히 관광개발이 지속가능한 지역개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과 각 이해관계자간의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윤양수, 2001).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대상의 관광영향 인식에 관한 연구는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주제며(고동완, 1998; 양성수 등, 2009; 이후석, 2004; Andereck and Vogt, 2000; Choi and Sirakyay, 2011; Ribeiro et al., 2013) 관광정책 수립과 지역사회 역할모색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Lankford and Howard, 1994; Vargas-Sánchez et al., 2011). 지방화시대 도래와 함께 물리적 시설 외 지역경제 성장, 사회 개발 등에 관한 변화를 추구하면서 관광개발은 지역의 경제적 가치 및 삶의 질과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종합계획으로 주목받고 있다(김중환, 2001; 서미석, 1995). 특히 농산어촌종합개발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농촌관광목적지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을 구분하여 연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관광영향 지각, 관광개발로 인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행위에 대하여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영월군 다섯 개 지역(영월읍, 중동면, 김삿갓면, 남면, 한반도면)을 대상으로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주민과 관광과 관련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지역관광사업자를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11월 17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5회 방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총 650부의 설문 가운데 615부의 유효 표본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의 관광영향에 대한 지각,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타당성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해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s post-hoc analysis(셰페의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지역주민과 지역관광사업자가 관광개발에 대한 관광영향에 대한 지각,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개발로 인한 기대효과 세 가지에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고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서도 연령과 지역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목적지의 지역주민을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지역관광사업자와 참여하지 않는 지역주민을 구분하여 그 차이를 검증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지역주민을 관광관련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이해집단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주민 가운데 이해집단 간의 이해충돌과 갈등으로 인한 관광개발의 장애요인을 예견하고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농산어촌종합개발 등 농촌관광개발 계획 시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주민참여와 갈등예방의 자료로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국내 골프장의 관광 매력속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민석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Golf is a sports of our modern society. It is not simply a temporary event but a periodic and continual popular leisure activity, while being used by many people as means of their businesses. People are using golf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lief of stress, cultivation of pride and recreation. As people have more leisure time with more interest in their health and leisure, they spend more money in leisure activities, changing their life styles. Thus, golf has served much to develop and activate diverse popular sports activities, while conducing to nation's economy as important tourism resources and industry. So far, the golf courses have chosen their users because golf has been limited to certain classes, but from now on, users are choosing their golf course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understand golf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research into attractions of golf as tourism resources and consumers' behaviors and thereby, operate the golf courses in response to consumers' needs and desires as well as their value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golf consumers for their priorities put on domestic golf courses, their consumption behavior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golf courses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an efficient operation of golf courses and enhancement of consumers' satisfaction to encourage them to use domestic golf courses more than overseas ones and thus, develop the golf courses as profitable domestic tourism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 golf exercise fields in Seoul and a golf course in Gyeonggi Province. Meanwhile, the researcher surveyed those who were departing from Korea for overseas golf tours in order to analyze the attractions of foreign golf courses,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m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them to obtain some insights for development of our domestic golf business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and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books, dissertations, various periodicals, statistics and Internet web pages were reviewed, and then, 2 golf exercise fields in Seoul and a golf course in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to survey their users, while those leaving for overseas golf tours were surveyed to compare their experiences of golf activities between foreign and domestic golf courses. The survey conducted for about 60 days beginning from February 15, 2007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o consist the question items about attraction points for choice of golf courses, their effects on their choices and users' priorities on golf cours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golfer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males far outnumbered females. 34.0% of the golfers had been engaged in golf for 3~5 years, and 46.4% of them had the average of 90~100 strokes. Golf club members accounted for the absolute majority (86.6%) of them, and 38.7% of them were golfing once or twice a month. 53.1% of them were using golf for businesses. Their highest priority in their choice of golf courses was traffic convenience (34.0%), followed by fee, convenient booking, facilities and services.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golfers' overall satisfaction, it was disclosed that their satisfaction differed depending on such attributes of golf courses as landscape, course design, restaurant, shadow, pre-match services, fee, caddies and parking facilities. In particular, pre-match services affected golfers' satisfaction most, which suggests that golf course managers should take more care of their consumers before golf match. In addition, the golf course managers are requested to construct a quick and precise booking system, lower their fees and administer locker and shower rooms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ir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ir golf cours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researcher put forward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nducive to discourage our golfers from their overseas golf tours and improve the attractions of our domestic golf courses and their users' satisfac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harpen the competitive edge of our domestic golf courses. Second,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golf courses and set the fees at a proper level. Third, it is also necessary to diversify the golf commodity programs. Fourth, it is important to improve various conditions of our golf courses. This study reviewed the attractions of our domestic golf courses as tourism resources and analyze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m. However, since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limited to domestic golf exercise field and golf course users and some overseas golf tourists, its results may not well be generalized. In this regar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survey the foreign golf courses used much by the Korean tourists and thereby, compare their attractions with ours. 골프는 현대사회의 스포츠로서 단순한 일과성 이벤트가 아닌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대중여가 활동이며 많은 사람들의 비즈니스의 수단으로 이용 되고 있다. 국민들은 골프를 통하여 스트레스 해소, 자긍심 함양, 여가선용 등의 다양한 개인목적을 달성하여 여가시간의 증가 및 건강과 레저에 대한 관심 증대, 개인 소비지출의 증가, 생활양식의 변화 등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에 골프는 다양한 대중의 참여 스포츠의 발달과 활성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국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광자원 및 산업으로 발전되었다. 지금까지는 일부계층에 한정된 까닭에 골프장이 이용자를 선택하는 시대였지만 이제부터는 이용자가 골프장을 선택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음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골프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골프장의 관광자원으로서의 매력성을 연구, 소비행동을 이해함으로써 골프장에 대한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 가치관에 대응하는 골프장 사업의 전개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골프장 이용자의 골프장 선택시 고려요인과 소비행동, 만족도를 설문에 의하여 조사 분석함으로써 골프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 이해함으로써 골프장 운영의 효율적인 경영과 나아가 이용자들의 만족을 높이며, 이를 해외 골프관광 이용을 줄이고, 국내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취합함과 동시에,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서울시내 2곳의 골프연습장과 경기도지역의 골프장 1곳, 그리고 해외골프투어를 목적으로 출국하는 내국인들은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매력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용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와 이후 재방문 의사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국내 골프사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위해서 국내외 서적, 논문 , 기타 각종 간행물 및 통계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적 연구방법을 위하여, 서울 시내 골프연습장 2곳과 경기도지역 골프장 1곳의 이용객, 해외골프투어를 목적으로 출국하는 내국인들을 선정하여 국내 골프장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조사대상으로, 2007년 2월 15일부터 약 60일간 직접 설문 등의 방법을 취하여, 응답방식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 구성은 골프장 이용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골프장 선택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매력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전반적인 중요도와 시설부분에 대한 선택속성의 중요도 분석으로 실시하였고, 이에따른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택속성 차이를 살펴보니 일반적으로 예상했던바와 같이 남성의 골프이용자가 여성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골프경력은 3-5년이 34.0%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타수는 90-100타가 46.4%로 가장 많았으며, 회원권 소지 여부는 비회원이 86.6%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월평균 골프장 이용횟수는 1-2회가 38.7%로 가장 많았고, 골프장의 이용 목적은 사업상의 필요에 의해서라는 응답자가 53.1%로 가장 많았으며, 골프장 선택 시 고려사항은 교통편이 3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비용이 그리고 예약의 편의성, 시설과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프장 선택 속성의 전체 만족도는 골프장 선택 속성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골프장 선택 속성 요인 중 조경 및 코스와 식당 및 그늘집, 경기전 서비스, 이용요금, 필드도우미(캐디), 주차시설 등의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경기 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골프장의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경기 전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속하고 정확한 예약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용요금을 다소 낮추고, 라커 및 샤워장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골프장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론에 따라, 우리는 골프관광객의 해외골프관광을 줄이고 국내 유입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내골프장의 매력속성 및 만족도 상승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국내 골프장의 경쟁력 강화이다. 둘째, 골프장의 확충 및 적정 이용요금 설정이다. 셋째, 골프상품 프로그램의 다양화 모색이다. 넷째, 골프장 제반 여건의 중요성이다. 본 연구는 국내 골프장의 관광자원으로서의 매력속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에 따른 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다만, 연구의 설문 대상 및 지역은 국내 골프연습장과 골프장 및 해외 골프투어 출국예정자들로 한정 조사되어,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해외 골프관광객들이 이용하는 외국 현지 여러 곳의 골프장을 조사하지 못했다는 점은, 국내 골프장과의 비교 연구를 할 수 없다는 점으로 연결되어 본 연구의 미흡한 부분으로 남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