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와인 대중화를 위한 안동와인축제 프로그램 개발

        김종례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와인을 찾고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국산와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 안동에서 전해지는 고조리서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온주법』에 320여 가지의 음식 가운데 술빚는 방법이 165종류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수운잡방』과 『온주법』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포도주 만드는 법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 사실은 조선시대에 이미 안동지역에서 현대와 조금 다른 포도주를 담그고 즐겼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 와인 생산지인 안동지역을 대상으로 와인축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와인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와인의 대중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와인축제의 현황분석을 통해 안동와인축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 요소인 장소와 주제, 시기와 기간, 운영과 홍보, 프로그램(전시, 경연, 세미나, 공연, 체험) 개발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참고해 연구배경과 이론을 정립하고, 와인 업계 전문가와 안동 설월당 김도은종부를 인터뷰하여 와인축제가 와인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과 ‘264청포도와인’과 종가음식 페어링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또한 ‘264청포도와인’ 산지를 직접 방문해 와인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와인축제를 안동에서 개최해야 하는지의 당위성과 안동이라는 장소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축제의 주제를 ‘만남’으로 정하고 만남은 다시 ‘와인과 고택의 만남’, ‘와인과 문학의 만남’, ‘와인과 음악의 만남’, ‘와인과 음식의 만남’의 4가지 형태로 차별화하였다. 4가지 만남의 주제에 맞게 안동와인축제의 프로그램을 구체화, 세분화, 다양화하고, 연계 자원을 이용한 체류형 축제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축제의 프로그램은 크게 ‘전시, 경연, 와인/문학세미나, 공연, 체험과 연계프로그램’으로 크게 나누었다. 와인의 대중화를 위한 와인축제라는 목적에 부합하며, 가족 단위의 관광객 포함,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세부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전시는 와인과 음식, 문학 세 분야로 나누어 와인과 와인용품, 전통종가음식 전시와 시화전등을 하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경연은 ‘『수운잡방』과 『온주법』으로 만나는 포도주’, ‘청포도와인어워드’, ‘청포도와인소믈리에대회’, ‘청포도백일장’으로 총 4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세미나는 와인과 문학 두 분야로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위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공연은 총 8개의 꼭지로 음악, 문학, 마술, 무용, 향음주례시연 등 다양한 분야의 공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체험은 와인축제에서 관객을 끌어들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상시와 예약프로그램으로 구성해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계 프로그램은 ‘숙박형패키지’와 ‘와이너리체험’, ‘기존축제와 연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전통과 문화의 보고인 안동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 정체성을 드러내는 안동와인축제를 통해 와인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지만 보다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다 보니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와인 대중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축제가 개최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

        김민기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안동에서 시작된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주체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매달 이루어지는 ‘안동문화지킴이’의 정기활동을 참여관찰하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이 재발견한 것이다.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집단적 문화실천이기 때문이다. 이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민은 안동문화유산의 보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진다. 이들은 이런 의식을 가지고 더 많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재발견 하도록 하는 것은 지역민이 지역정체성의 유지에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민이 국가나 소유자와는 다른 목조건축물 보호주체가 되며, 안동사회에 문화유산 보호와 활용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목조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 운동으로 평가된다. 활동주체가 지역민이므로 국가주도의 문화유산 보호보다 지속 가능성이 크다. 이 활동은 지역민의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며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를 지향하고 있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 찾기와 활용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 활동 대상을 선택하면서 문화유산이 가진 공공적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그리고 문화유산을 직접 보호·관리하고 지역민에게 교육해서,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알리고 그에 맞게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의 어려움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활동 후속 세대 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지역민에 의한 문화유산 보호활동이 지속되기 위해서 후속 세대 양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청소년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에도 청년층의 활동 참여는 그 연속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런 과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교적 젊은 지역민을 실무진으로 초빙하거나 안동대학교에 문화유산 보호동아리를 결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표방하는 목적과 실제 활동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이들의 활동은 주목적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고, 대표 활동인 ‘한 가족 한 문화재 지킴이’ 활동의 대외적 위상과 실제 활동도 좀 다르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 보호활동을 위한 문화운동으로서 일정한 한계를 드러낸다. 그것은 엘리트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제도권에 포섭되는 점, 다량의 문화유산을 소유하고 있는 안동의 주요 문중구성원들이 활동에 거의 동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民俗酒 安東燒酎 醱酵의 釀造學的 特性糾明 및 自家 누룩製造의 最適化

        배경화 安東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민속주 안동소주는 198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12호로 지정되었으며, 국내 민속주 중에서도 높은 알코올 함량(45%), 및 특유의 맛과 향으로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주 안동소주 제조 및 곡자 생산의 오랜 경험과 전통을 체계적,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전통의 계승, 발전과 함께, 고품질의 안동소주 제조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안동소주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의 생육 특성과 발효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유용 생물자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전통으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적인 여러 가지 지식들을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안동소주 발효는 고두밥과 자가 제조된 누룩의 혼합으로 시작되며, 순차적인 미생물 대사에 의하여 진행된다. 2. 안동소주 발효액으로부터 4종(Saccahromyces cerevisiae ADS-9, -10, -11, 및 Issatchenikia orientalis ADS-12)의 발효효모를 분리, 동정, 확보하였으며, 이 중 ADS-11 균주가 가장 우수한 발효학적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3. 전통적으로 제조된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으로부터 전분 분해활성이 우수한 5종의 곰팡이(ADS-M1, -M2, -M3, -M4 및 -M5)를 분리, 확보하였으며, 이 중 ADS-M3 균주가 누룩에서 가장 중요 우점종이었으며, 이 균주는 누룩의 제조 및 알코올 발효시에 지속적인 전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발효 성공을 결정짓는 주요 곰팡이였다. ADS-M3는 동정결과 Aspergillus oryzae로 확인되었다. 4. 전통적으로 제조된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으로부터 누룩 세균 7종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세균이 가장 강력한 전분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5. 누룩의 제조 및 고두밥의 분해에는 초기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가 주요 작용을 하며, 누룩 띄움 후기 및 알코올 발효 후기에는 Aspergillus oryzae ADS-M3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6. 누룩에는 안동소주 발효를 위한 다양한 곰팡이와 세균 및 효모들이 성장하며, 이들의 적절한 성장 및 기능조절이 고품질 누룩 유지에 필수적이다. 7. 안동소주 발효를 위한 고품질 누룩 제조를 위해서는 수분 증발 억제, 누룩 미생물 성장, 전분 분해효소 활성도 등을 고려하여 4.0~5.5 cm 두께로 누룩을 자가 제조하여 2~3주간 띄움이 적당함을 확인하였다. 8. 최종적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의 전통과 우수성을 체계적으로 과학화하려는 시도는 전통과 과학이 공존하면서 민속주 제조를 하나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전통 발효로부터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을 위한 유용 생물자원을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dong-Soju, which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ungsangbukdo province from 1987,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It is famous for high ethanol content (45%), bitterness, and characteristic flavor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 of different microorganisms, such as fermentation yeasts, starch saccharifying molds and bacteria in Andong-Soju fermentation broth and nuruks, to understand the ferm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Andong-Soju and to achieve the useful microorganism resources from traditional fermentation products. Also, the optimization of nuruk production was investigated, especially the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nuruks, for high quality and homogeneous Andong-Soju production.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Andong-Soju is produced by mixing nuruk with steamed rice, and the following fermentation process involves different metabolic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sequential metabiosis). 2. Four different fermentation yeasts, named as ADS-9, -10, -11, and -12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The ADS-9, -10, and -11 strains were identified as Saccahromyces cerevisiae and ADS-12 was identified as Issatchenikia orientalis based on 26 rDNA sequencing results. 3. Five different saccharifying molds, named as ADS-M1, -M2, -M3, -M4, and -M5) were isolated from the Andong-Soju owned nuruks, which were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s in Andong-Soju factory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Among them, ADS-M3 was predominant and showed higher saccharifying activity for starch, wheat bran and steamed rice. ADS-M3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oryzae based on 5.8S rDNA sequencing results. 4. Seven different saccharifying bacteria, named as ADS-1, -2, -3, -4, -5, -7, and -8, were isolated from the nuruks, which were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s in Andong-Soju factory and characterized by enological and fermentational researches. Among them, ADS-8,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results, showed higher saccharifying activity. 5.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rch degradation only at the early stage of nuruk maturation and ethanol fermentation of Andong-Soju. When the ethanol concentration is high and pH of fermentation broth is low, the cell growth is rapidly decreased with activity loss of amylase. In a while, the Aspergillus oryzae ADS-M3 is active during the end-stages of nuruk maturation and ethanol fermentation, since the cell growth and amylase activity is maintained under high ethanol and low pH environments. 6.In sequential metabiosis, the sequential-controlled growth of normal microflora, including Saccahromyces cerevisiae ADS-11, Aspergillus oryzae ADS-M3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ADS-8 are necessary. 7. The optimization of nuruk production revealed that 4.0~5.5 cm thickness of nuruk is necessary and 2~3 weeks maturation period is suitable. 8.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liquors could be developed to one of modern industry by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science, which can exist together. Also, my study provided that the traditional fermentation products could be used as valuable sources of useful microorganisms. These results would be applied to production of homogeneous, and high quality of Andong-Soju.

      •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 활성화 방안 연구

        권은영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전통시장은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 깃들어진 소통의 공간으로 우리의 경제활동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었던 곳이다. 그러나 1996년 우리나라 유통시장의 전면개방을 전후하여 전통시장은 고객과 매출감소라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유통시장의 개방과 SSM(기업형 슈퍼마켓) 등 대형마트의 경쟁적 진출로 인해 전통시장의 점점 더 위축되어 가고 있고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와 인구의 감소는 전통시장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2002년 ‘중소기업의 구조개선과 재래시장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시설현대화와 경영현대화를 위한 지원을 계속하여 오고 있다. 안동의 전통시장 또한 쇠퇴의 양상을 걷고 있어 다양한 지원책과 자구책을 마련해 나가고 있으나 눈에 띄는 고객 유입현상은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5년부터 상인들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19세 이상에서 39세 이하의 청년 상인을 대상으로 청년 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청년 몰 사업은 상인들의 세대교체 및 젊은 층 고객 유입을 위해 미래 전통시장을 이끌어나갈 청년 상인을 육성하고, 창업지원을 통해 전통시장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안동중앙신시장은 2017년 청년 몰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11월 사업이 완료되었다. 20개의 상점이 입점하여 영업을 하고 있으나 사업 시행 당시 기대했던 젊은 층의 고객 유입과 시장의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아직 청년 몰이 조성 된 지 채 1년이 지나지 않아서 그 성공여부를 판가름하기에 이른 감은 있지만 청년 몰 조성이전의 청년창업 지원 사업이나 타 시장의 청년 몰 조성 결과 그리고 기존 상인들과 청년 몰 입주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보았을 때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의 미래도 그리 밝지 만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대책 방안을 마련하여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이 전통시장 활성화는 물론 중앙신시장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반 조성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청년 몰 조성의 성공은 단순한 전통시장 활성화 뿐 만 아니라 지역민은 물론 관광객 유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자원으로까지 활용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Keywords :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 전통시장, 랜드마크, 관광자원

      • 都市 公共디자인 改善 硏究 : 안동시를 중심으로

        李在甲 안동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interpretation of local people and community according to the new order determines the style of public designs, and historical traces of local life and traditions form the background of public designs. For this reason, loc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properties in public designs. The globalization of public designs starts from fi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for this reason,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herished, generated and passed on. It needs to be restated that local features can be globalized when inherited local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meaning. It is clear that Andong city has planned and carried out public design-related work without reflecting on its local traditional features. This study classifies and analyzes public design-related work of Andong into the following sections: public space design, public facility design, and public information design. Also, it suggests improvements for future public design. As for public space design - openness to the public, locality, accessibility, connection, aesthetic elements and ecology were all specified as criteria for analyzing and observing the public designs of Woongbu Park, the Mask Dance Festival site, and the five Big Gates of Andong. As for public facility design - necessity, stability, range of usage, maintenance, artistic elements, and locality were criteria for analyzing and observing bus stops, bus exterior designs, street lights, public rest rooms, the Andong bus terminal, and tour guide facilities. In regard to public information design- shape, color, harmony of design, range of usage, systematic representation and symbolic meaning were the specified criteria for analyzing and observing signs (‘Food’ Street), bus stop signs, tour guide maps, placard stands, recycling bins, and the Andong city logo. Current issues and possible future issu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Practically none of the current public designs satisfied these criteria. Openness to the public, aesthetic aspect, maintenance, artistic aspect, shape and color, and symbolic meaning couldn't even be analyzed because most public facilities projects were individually discussed and formulated by each department without any cooperative interdepartmental discussion.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all public design related work from policymaking and planning to operation and maintaining, be within the scope of one integrated system. Within the public space design projects, the five Big Gates of Andong Project should proceed after fully considering openness to the public, locality, and aesthetic elements in terms of leaving a traditional heritage to our descendants. As for the Mask Dance Festival site, openness to the public, aesthetic elements, and ecological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as the area needs to be a public space which is environmentally-familiar and visually impressive. At the moment, many of the statues and sculptures are not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creating a look that is crowded and messy rather than comfortable. The main theaters, guide maps, rest spots, lighting equipment, the mask statues and other facilities need to be relocated and renovated. Public facility design in Andong also suffers from poor maintenance, artistic aspect and locality. Most bus stops have not been well-maintained. Proper locality which can enhance Andong city's features should be reflected in them. Streetlight placement should also reflect the roads that they are placed on. In the case of public information design, improved signage for the ‘Food’ street is undergoing design change. First of all, the shape, color, harmony of design, range of usage, systematic representation and symbolic meaning should be considered before moving forwar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city planning professionals must be consulted and university professors, writers, artists, and advertising enterprises from the area should be invited to join in on the project so that they can discuss public design-related problems in addition to offering advice on lettering, color, and design. With regard to placard stands, disorganized placards jeopardize the urban beauty of cityscapes. They should be set up so that they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To this end, guidelines describing the arrangement of placard stands need to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lacard stands near the Nakdong River which are spoiling the lovely view must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As for the recycling bins, three bin stands and four bin stands to which pictograms are applied are typically in use around the city. But this year, instruction No. 828 issu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regarding the collection of recyclables, was revised and took effect last February. This has caused some confusion among people who produce and use the recycling bins. This confusion should be remedied early. Also, recycling bins should only put in place after deliberating about whether they will be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s and will easily fulfill their purpose. To effectively proceed with these public design projects in Andong, a department which is in charge of all public design work (a city design department) would be indispensable. Also a design development and consultation institute which incorporates local design enterprises, design-related colleges, and design companies is necessary. Furthermore, an organic channel with the Daegu Kyeongbuk Design Center needs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have access to design development support and public design-related seminars, and to be able to seek advice regarding public design-related problems. Additionally, the city design department for Andong can contribute to public design,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city public design projects by recruiting design professionals and regularly educating local government workers as well as citizens in regard to public design so that the importance of city design may be wide-spread.

      • 鄕土地緣産業 育成 方案에 관한 硏究 : 民俗酒 安東燒酎를 중심으로

        김연박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I. Introduction These days, the prevalence of new liberalism,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phenomenon across the world 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gap not only between the nations but between the central region of Seoul and its neighboring and other local regions in Korea. Measures to narrow down and get rid of the gap can be drawn from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s and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focuses on the Minsokju Andong Soju (Folk Liquor Andong Soju), and prepared some plans to promote this industries related to the region. The Minsokju Andong Soju which still employs the original distilling method handed down from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has taken its place as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the Andong area since it first launched products on the first of September, 1990. It is still in business as of November 2008.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Frame of Analysis Region-related industries form industrial clusters characterized by the region, and are defined as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producing consumer products utilizing the regional resources such as the raw materials, capital, labor and technology for that reg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doing so.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an effect on the economy, finance and social culture of that region. They are regarded as the special products and treasures of the region. Finding measure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Andong.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s falling behind and an increasing gap between regions, and in unifying the nation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understand these roles of the industries, the attitudes of people in general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nd the rol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tems analyz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re as follows: (ⅰ) the degree of their understanding the product, (ii) their experience of the product (iii) ways to raise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market it.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are (i)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i) the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iii) organizations connected to region-related industries.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are (i)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ii) comprehensiv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ii) other ways to support region-related industrie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III.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subjects of the study's questionnaires were 870 adult male and female, aged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Daegu, Gyeongbuk area, Seoul and other regions 20 or more. They were sampled at random.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collected by mail or by visiting the subjects in person for 53 days between July 4, 2008 and August 25, 200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t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o produc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a Chi-Square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by age and by plac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 from other products of Andong soju,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 product price,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was proved. As for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has taken its place as a pronoun representative of soju (a Korean liquor) and food because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reputable hard drink, it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it is distilled by Cho Ok-hwa herself who is a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food. However, young people have a poor understanding and are ill informed of the kinds of liquors and can't distinguish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soju made by other companies in Andong. With reference to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y purchase the product to give as a present for others rather than for drinking it themselves, which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 strong spirit with a high level of alcohol, but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buyers hav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consumers. Speaking of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the response that drinking the product causes little hangover is prevalent.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n expensive and high quality liquor. IV. Plans to Support and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Plans to foster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as follows: an exac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 supports for the quality product,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increasing the support of the national government.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 Through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young people need to be better informed of the product,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to raise the value of the brand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n particular, as people can't distinguish genuine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other kinds of soju made in Andong, measures to differentiate the product are needed: application for a patent, strengthening product advertisement, mak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brand, and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the product need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motivation to buy the product is regarded as a measure to vitalize the product marketing. Purchase by age, and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show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o secure future consumers. With respect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ts marketing, people need to be informed that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distilled liquor of high quality, and that the liquor tax accounts for 72% of the price of the product. Marketing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linking the Minsokju Andong Soju.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 are several ways to do so: investigating the regi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lan, building up a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organizing and operating a region-related industry promotion center.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needs stronger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should be improved.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region-specializing industries should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supports for developing technology,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a job training center, and for creating markets for the product. V.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aise the product quality and to form marketing strategies but also for the local government to mak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set up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promoting such industries. In addition, the national government has to strongly support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by laying down laws to encourage them.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aid in the preparation of preparing measures to promote them. 오늘날 세계는 신자유주의의 만연, 세계화.정보화 현상으로 국가 간, 중앙과 지방의 격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지역의 균형발전과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향토지연산업의 실태를 민속주 안동소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육성방안을 마련하였다. 신라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민속주 안동소주는 안동의 대표적인 향토지연산업으로서 위치를 지니고 있으며, 1990년 9월 1일에 출시되어 2008년 11월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은 지역적인 기업집단을 형성하고 당해 지역을 특징짓는 산업으로서 그 지역의 자원(원료, 자본, 노동력, 기술 등)을 활용하여 소비재 상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 정의를 내렸다. 향토지연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향토지연산업을 육성시키려는 의지와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의 특산물과 고유한 관련성이 있는 향토지연산업은 경제적·재정적·사회문화적 효과가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방안의 모색은 안동의 대표적 향토지연산업인 민속주 안동소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의 낙후성, 지역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통합과 국가경쟁력의 강화 측면에서 향토지연산업은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분석, 지방정부의 정책 분석, 중앙정부의 정책 분석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요소로, (ⅰ) 제품에 대한 이해도 (ⅱ) 제품에 대한 경험 (ⅲ)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이다. 지방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지방정부의 기능 (ⅱ) 지역협력체계 (ⅲ) 향토지연산업 관련기구이다. 중앙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법.제도 (ⅱ) 종합계획 (ⅲ) 기타지원방안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안동시, 대구·경북지역, 서울, 기타지역 등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870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08년 7월 4일부터 8월 25일까지 53일간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 분석을 했다. 또한 소재지별, 연령별 민속주 안동소주의 제품에 대한 이해도, 타 제품과의 차이점,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 제품의 가격,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제품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민속주 안동소주가 명실상부한 유명한 술이라는 점, 고급전통주라는 점, 경북 무형문화재·전통식품명인 조옥화씨가 만드는 안동소주라는 점 등이 소주와 음식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젊은층의 경우 주종에 대한 이해와 홍보가 부족하고 민속주 안동소주와 타 안동소주와의 구별에 있어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의 경우, 실제 음용(먹고 마심)이 낮고 선물용 구매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도수가 높은 독한 술이라는 인식이 자리매김하였으나 젊은층일수록 마셔본 경험이 없어 고객 창출에 곤란을 야기하고 있다.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의 경우 음주 후 뒤 끝이 깨끗하다는 반응이 나타나고 고급술인 비싼 술로 인식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지원, 지방정부의 기능 합리화, 중앙정부의 지원강화이다.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품에 대한 이해도 증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젊은 층에 대한 홍보강화와 브랜드 가치의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타 제품과의 인지도에서 혼란을 겪고 있으므로 특허의 출원, 홍보강화, 브랜드화, 디자인의 개선 등 차별화에 대한 대책마련과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제품사용에 대한 경험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구매 동기의 부여가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구매, 사용경험의 차이 때문에 미래의 고객 확보를 위한 새로운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제품에 대한 품질 및 마케팅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민속주 안동소주가 고급술 증류식소주며 주세가 72%라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향토음식과 연계해 개발하는 마케팅 전략도 필요하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방정부의 기능을 합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조사와 종합계획의 수립, 지역협력체제구축, 향토지연산업 육성센터 설치·운영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지원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육성법 등의 법·제도 개선, 지역특화산업 전담부서 설치, 직업훈련소 운영 등 기술개발 지원, 판로 개척 지원 등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와 마케팅 전략의 수립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과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며 중앙정부에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법의 제정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균형발전과 지역 간의 격차해소에 행정력을 집중하여야 한다. 앞으로 각 지역별로 향토지연산업에 대한 현황파악과 육성방안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이재일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예술경영 전공 이재일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안동의 공연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연은 현장성이 중시되고 관광 상품화에 적합하므로 새로운 관광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공연관광 상품은 고부가가치형 콘텐츠로 관광시장 성장을 위한 주요 상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공연 관광의 성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명 관광지에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를 개발했을 때 그 효과가 배가 된다는 사실을 해외는 물론 국내의 특정 관광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관광의 국내사례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와 점프를 통해 국내 공연관광의 성과와 현황을 파악했다. 전통예술 공연을 진행한 워커힐 상설공연과 정동극장 그리고 최근의 광주 국악 상설공연 등도 같은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예술진흥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콘텐츠발굴을 위한 활발한 지원 사업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각 지방의 공연관광 콘텐츠 제작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 인상 시리즈와 우견 시리즈, 프랑스 퓌뒤푸 테마파크의 공연을 비교 분석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의 긍정적인 활용사례와 흥행요소, 발전상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공연관광 콘텐츠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의 발굴과 활용에서는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특정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부분 단발 공연으로 끝나는 현실적 문제와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은 지역 문화자원이 풍부한 문화관광 도시이다. 전통문화 공연관광 콘텐츠로 하회별신굿 탈놀이 상설공연, 안동차전놀이 정기공연, 하회선유줄불놀이 정기공연을 분석했다. 대표적 기획 제작 공연관광 콘텐츠는 모두 뮤지컬로서 왕의 나라, 퇴계연가, 이육사, 신 웅부전(고등어 찜닭에 빠진 날)을 분석하였다. 안동은 다양한 공연관광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하회별신굿탈놀이 상설공연 이외의 콘텐츠는 아직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등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안동차전놀이 상설공연과 원도심 야간 공연관광 콘텐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안동의 지역 공연관광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의 활성화, 공연관광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대의 구축을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본 연구는 안동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공연관광 콘텐츠가 안동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에 보탬이 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안동, 지역 문화자원, 공연관광, 공연관광콘텐츠

      • 안동식혜의 전승 양상과 상품화 과정

        권나현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nsmission aspects of Andong Sikhye (sweet rice drink), various changes occurring in its commercialization process,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Andong Sikhye, and its cultural meaning. The data on traditional Andong Sikhye was collected through a field survey of two natural villages of Maegok 2-ri, Pungsan-eup, Andong-si, Gyeongsangbuk-do. The data on the changing aspects of Andong Sikhye after commercialization was collected by surveying Andong Sikhye stores in downtown Ando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Andong Sikhye originated from Andong area during the pre-modern period and spread in Ando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Traditional Andong Sikhye was made by fermenting water infused with red pepper powder, malt, shredded radish, and cooked rice. It was a spicy and cold red-colored snack as well as dessert. Before refrigerators became available to the masses, the traditional consumption pattern of Andong Sikhye was to eat it as a snack or dessert in winter. Especially from the Lunar New Year’s Day to the first full-moon day, Andong Sikhye was made and enjoyed from house to house, and people also served Andong Sikhye to their guests. In the early 2000s, Andong Sikhye began to be commercialized in earnest. Compared to Andong Soju, Andong-style Bibimbap, Andong JJimdak, and Andong Salted Mackerel, the commercialization of Andong Sikhye began late. Compared to these types of food, Andong Sikhye is particularly unique, so it was difficult to achieve its commercialization aimed at the public. Along with the activation of tourism, Andong Sikhye became known gradually to the public as a local dish of Andong area. The commercialized Andong Sikhye changed quite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version in terms of taste and form. The phenomenon in which people consider Andong Sikhye a drink occurred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Andong Sikhye. This caused different perceptions of Andong Sikhye between the local people of Andong and outsiders. In the form of Andong Sikhye after commercialization, the amount of water increased, the color of red pepper powder was emphasized, and the radish was diced to make it easier to eat with a spoon. During this process, a perception that Andong Sikhye is a drinkable snack formed, and as Andong Sikhye was commercialized in earnest after the 2000s, it was naturally regarded as a type of traditional drink. Due to this, Andong Sikhye’s attributes as a drinkable dessert rather than a snack became stronger, and accordingly, the form changed to have more water than solid ingredients. Due to an unfavorable perception of red pepper powder, the character of Andong Sikhye was unstable for a long time. But as Andong Sikhye began to become known as a local dish of Andong area after it was commercialized, tourists started to perceive it as a noble dish or a luxury dish. The local people of Andong came to think Andong Sikhye is an important local dish after knowing that Andong Sikhye is a dish representing Andong and it is beneficial to health from experience. As a result, changes in Andong Sikhye stand out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especially by commercialization, Andong Sikhye shows aspects such as standardization of taste, change in the radish cutting style, settlement as a drink with a lot of water, and increased intensity of red color according to the public taste. Also,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consumption pattern that is focused on winter holidays, Andong Sikhye is being settled as a drinkable dessert that can be enjoyed regardless of the season. Although the traditional consumption method and meaning of Andong Sikhye is disappearing, the commercialized Andong Sikhye is decontextualized in the industrial society. Its taste and form are standardized, but Andong Sikhye is changing into a drinkable dessert made and consumed regardless of the season in wider areas. Regarded as a meaningful traditional dish by both local people and tourists, Andong Sikhye’s consumption is being revitalized.

      • 지방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 안동시를 중심으로

        홍성란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re has been a sense of crisis with Korean birth rate falling to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this study is intended to survey the realities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and analyze the causes. In addition,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deas of childbirth held by fertile women residing in Andong City an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Both literary surveys and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reach these goals. The analysis model has established a demographic factor, a social factor, and an economic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ow birth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and female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twenty or above. 350 questionnaires were mailed, 300 out of them were recollected, and thirty out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validity. In the end, 2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data derived were processed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of ver.17.0. The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There are three aspects on the complicated causes of the low birth rat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 for the economic aspect, the educational expenses and child-rearing costs are thought of as heavy burden. From a social viewpoint,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and institutionally, there is no sufficient support system such as a maternity leave or a parental leave. To help Andong City solve these problems and promote childbirt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expenses and nursing costs. Second, recently,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Work is given priority to marriage. This prevalent way of thought has led young people to avoid childbirth. They should be persuaded to believe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very valuable, and to have their values changed. Third, of lat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void childbirth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handling work and child-rearing. To solve this problem, legal actions should be taken to make systems such as a maternity leave and a parental leave. As the above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he problem of the low birth rate is not only a personal or familial matter, but a national one. Therefor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be committed to making the environment favorable to childbirth and nursing, and raising the low birth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