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 영향요인 및 향상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허베이성 의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주영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국문 초록 본문은 기존의 메타 리터러시 연구성과를 분석 총정리하여 메타 리터러시 발전의 맥락과 의미를 명확히 밝히고, 실제 상황을 결합하여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을 연구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교육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분석을 기초로 세계의학교육연맹과 도서관협회의 표준을 준거로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 메타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영향요인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조사연구와 통계 분석을 통하여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를 밝히고 향상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 함축적 의미는 미디어 기술 사용, 비판적 평가 및 분석, 정보공유의 포괄적인 능력, 의학 정보의 구체적인 관리 및 비판적 사고 및 연구의 특성이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는 메타인지 전략, 정보 리터러시 및 의학 리터러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음을 탐구하였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화환경, 커리큘럼설정, 실습수업 및 지도교사로 집결되었다. 넷째, 경로 분석을 통해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이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다섯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 그리고 미치는 영향에 의하여 메타 리터러시 교육환경의 현대화, 과정 구축의 과학화, 수업 방법 및 방법의 디지털화를 개선하기 위한 향상전략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아래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는 의학 윤리,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지식, 정보 윤리, 정보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의학 기술, 정보 의식,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으로 탐구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향상에 관한 연구의 기초로 될 수 있으며 교육현실에서의 향상에도 직접적인 지도가 될 수 있다. 둘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영향요인은 의학윤리 정보 윤리, 의학지식, 학습 과정 모니터링 능력, 의학 기술, 건강 관여 및 관리, 정보 기술, 학습 계획 및 실행 능력, 정보 의식으로 정의되어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메타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외부 환경구축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셋째, 중국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경로분석과 관계분석을 통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정도를 밝힘으로써 의과대학 대학원생의 메타 리터러시의 양성전략에 지도적 의미가 있다.

      • 중국 산시성 대학 교수의 교수역량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개인관계를 매개변수로

        장민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교육연구는 교육문제로 부터 출발하며, 교육연구의 가치는 교육문제 자체의 가치와 함축에 달려 있다’. 교육평가의 아버지라 불리는 Ralph W. Tyler가 교육평가의 개념을 제시한 이래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는 끊 이지 않고 있으며 교육평가는 교육과학 분야의 중요한 분과로 자리 잡고 있다. 王光彦(2012)은 “대학교 교수는 교육평가 분야에 있어서 ‘제1요소’ 또는 평가 주체로서 고등교육 인재양성, 과학연구, 사회서비스 및 혁신발 전 등 많은 이슈를 담당하는 사람이자 교육활동의 성과 평가 대상”이라 고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교수자는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 는 사람으로 교수에 대한 평가는 교육평가 분야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수에 대한 평가는 많은 연구자, 학교관리자 및 교육 행정부서의 정책입안자들이 주목하는 중점분야가 되고 있다. 대학에서 교육활동을 담당하는 교수의 역량, 교수역량을 기반으로 교 수들이 도출해 내는 업무성과 및 교육활동과 업무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조직-개인관계는 모두 교육의 가치 평가 활동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중국의 대학들은 ‘세계 일류 대학교 및 일류 학과 건설’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매진하고 있다. ‘세계 일류 대학교 및 일류 학과 건설’ 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 대학교 교수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까? 대학교 교 수들이 도출하는 업무성과는 무엇이며 업무성과 극대화를 위한 대학 당 국과 동료들의 조직적 지원과 조직 내에서 개인의 역할은 어떻게 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주요 연구과제로 선정하여 연 구를 진행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급격한 경제 발전과정에서 능력 중심 인사제 도의 개혁, 인재를 중시하는 경영이념을 도입함에 따라 역량에 기초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와 관 련한 연구결과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역량 모 델은 다양한 인적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라 할 수 있으며, 인력의 채 용, 선발, 교육, 성과관리 및 급여관리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하여 조직 의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것이라 고 할 수 있다(宋倩 2008). 2018년에 중국 국가 인적자원 및 사회 보장부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 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다양한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 기능과 개념의 업데 이트로 이어질 것이다. 대학교은 최고 교육 기관으로서 인재양성, 지식혁신, 사회봉사 등 주요 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원할히 수행하고 대학교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이 보유한 자원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는 교수를 확보하고 지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학교의 서열화와 경 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대학교이 보유한 교수들의 전반적인 자질은 대학교의 생존과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역 량 기반 인적자원 관리 개념을 대학교 분야에 적용하고 대학교 교수의 역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역량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교 교수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 해 대학교 교수 역량 모델을 구축하고, 교수역량, 개인과 조직 간의 관계 및 업무성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 교수역량, 개인과 조직 간의 관 계는 대학교 교수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과 조직 사 이의 관계는 교수의 역량과 교수의 업무성과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등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교수역량, 조직-개인관계 및 업무성과에 대한 개념을 정 리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도출하 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를 수행한 후 중국 대학교 교수를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3.0 및 AMOS 23.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역량의 하위변인 중 연구역량은 직무성 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역량은 관계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 머지 교수역량 하위요인은 모두 업무성과 하위요인 사이에 서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역량 하위요인 중 기초역량 과 교육역량은 조직-개인관계 하위요인인 개인적 지원과 조직적 지원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역량 하위요 인 중 연구역량은 조직-개인관계 하위요인 중 조직적 지원에는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 지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고, 교수역량 하위요인 중 혁신역량은 조직-개인관계 두가지 하 위요인 조직적 지원 및 개인적 지원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개인관계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개인적 지원 과 조직적 지원은 모두 업무성과 하위요인인 직무성과, 관계성과 및 적응 성과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고, 조직-개인관계는 교수역량과 업무성과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중국 대학교의 교수들이 갖추고 있는 개인적 역량을 기 반으로 개인 및 조직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이 적극적으로 더 해질 경우 교수들의 업무성과는 당연히 긍적적인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나, 조직으로부터의 지원은 개인적 활동에 비해 교수의 업무성과 향상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대학교의 구성원들은 업무 성과 향상을 위해 대학교 당국의 더 많은 지원을 요구하지만, 실제로 업 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교수 자신의 활동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확인한 것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수역량 하위요인 중 교육역량과 교수의 업무성과 사이에서 대학교의 조직적 지원 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중국의 대학교 교수들 이 개인의 교육역량 향상 방법을 조직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문제로 인 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교수역량 네 가지 하위요인 모두 업무성과 하위요인 중 적응성과와의 사이에 개인적 지원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지만 조직적 지원 사이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적응성과를 조직적 지원이 필요한 문제가 아니라 개인적 활 동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중국 대학교 교수들의 생각이 드 러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조직-개인관계 및 업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 분석을 실시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표본의 수가 한정적이며, 지역적으로 도 중국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는 한계가 있다. 향후 조사 대상을 중국 전체 지역으로 확대하여 통계의 정확성을 향상할 필요가 있으며, 인근 국가들의 교수들과 비교하여 연구 를 진행하는 것도 가치 있는 연구 수행이 될 것이다. 주제어: 교수역량, 조직-개인관계, 업무성과

      • 융합형 워크숍 기반의 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교수법 연구 : -중국 구이저우(贵州) 퉁런(铜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후애명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창의적 글쓰기 수업 시 발생하는 문제에 관한 연구를 바 탕으로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 교육의 특성과 대학생의 창의적 글쓰기 능 력의 구성 요인 및 내용을 탐구하였다. 또한, 융합형 워크숍 수업 양식을 구축하고, 대학생의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주로 문헌 연 구법, 설문 조사법, 실험 수업법, 인터뷰 법 및 수리 통계법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일련의 관련 작업을 수행하였고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 수업 특성과 창의적 글쓰기 능력의 구 성 요인 간의 관계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관련 문헌을 분 석하여 해당 개념의 연구 초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는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 수업의 특성과 '창의적 글쓰기'의 구성 요 인을 정의하였다. 이어서 이론적 추론에 따라, 본 연구는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 교육의 특성과 창의적 글쓰기 능력의 구성 요인 간의 관계를 탐 구하였다. 둘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융합형 워크숍 수업 양식의 구축에 관 해 연구하였다. 워크숍 수업의 특성과 창의적 글쓰기 능력의 구성 요인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한 후, 본 연구는 이론적, 현실적, 그리고 응용의 세 가지 관점에서 창의적 글쓰기의 융합형 워크숍 수업 양식을 구축하였다. 셋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융합형 워크숍 수업 상태는 대학생의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창의적 글쓰기 능 력의 다섯 가지 요인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에는 글쓰기 경험 요인, 글쓰 기 기술 요인, 글쓰기 동기 요인, 지능 요인, 감성 지능 요인 등이 포함 된다. 넷째, 융합형 워크숍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상태는 학 생들의 창의적 글쓰기 성적 향상에 유리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창의적 글쓰기 워 크숍 수업 특성과 창의적 글쓰기 능력의 구성 요인, 그리고 이 두 요소 간의 관계를 탐구하여, 융합형 워크숍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글쓰기 수 업 양식의 내부 작용 시스템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형 워크 숍 기반 창의적 글쓰기 수업 모드에 관한 이해를 더욱 뚜렷하게 하였으 며, 후속 연구에 관한 참고 및 지침을 제공하였다. 둘째, 융합형 워크숍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양식을 구 축하여,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을 일선 교육에 실현하는 데 참고할 수 있 는 방향을 제공하였다. 이 상태는 단일한 전통적 강의식 수업법을 변화 시켰으며, 글쓰기 워크숍의 융합 수업, 학습, 상호 작용, 협력, 실습, 창의 적, 수정 등을 하나로 융합형 특징을 집중적으로 반영하며, 창의적 글쓰 기의 특성 및 수업 요구에 부합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융합형 워크숍 수업 상태는 전통적인 글쓰기 수업과 창의적 글쓰기 이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였다. 이는 전통적 글쓰기 수업의 장점 (전통문화, 문체 지식, 글 쓰기 기술, 글쓰기 자료 등)을 보존하는 한편, 창의적 글쓰기의 새로운 사고방식 (상호 작용, 협력, 실천 및 창의적 영감 등)을 흡수하였다. 이는 글쓰기 수업에서 워크숍 관련 수업 모드 설계와 전통적 글쓰기 수업 이 념의 융합형 방법 등에 대해 더 나은 이론적 지도 가치를 제공하였다. 셋째, 실험 수업을 통해 이 양식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대학 글쓰기 교사들이 융합형 워크숍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양식의 설계 와 실천을 위한 지침과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는 어느 정도 대학생 의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고, 창의적 글쓰기 수업 효과를 더욱 개 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험 수업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창의적 글쓰기 워크숍 수업 모 드가 점차 학생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일정한 학습 효과를 발휘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며, 양식의 실행과 확산은 객관적 조건에 의해 제한받고 있다. 그러 므로,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사, 학생 각도에서 출발 하여 제안을 시도하였다. 창의적 글쓰기 수업 이념과 전통적 글쓰기 수 업의 장점을 결합하여야 하며, 창의적 글쓰기 능력 평가 방식은 다양해 져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창의적 글쓰기를 지도하고 조직하는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야 하며,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 작용과 교류 를 촉진하고, 창의적 사고력과 실천 능력의 양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글쓰기 지식과 자료 축적, 글쓰기 기술 등의 수업도 소홀히 해서 는 안 된다. 학생들은 글쓰기에 관한 적극성과 주도성을 기르고, 자기의 창의적 사고력과 실천 능력을 향상하여야 한다. 주제어: 창의적 글쓰기, 자기주도학습이론, 글쓰기 인지모형, 융합형 워 크숍 수업 모드, 글쓰기 워크숍

      • 성악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전략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유명성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산시성 S 대학교 성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에 대한 매개효과를 알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성악전공 대학생들인 622명을 대상으로 하고,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평균값, 상관관계, 단순회귀 및 다중 회귀의 분석을 한다. 성악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그릿 및 학 습전략 간의 구조방정식의 모형을 탐색한다. 사회적 지지가 학습전략에 영향 을 줌에 있어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관여됨으로써, 그 직접효과가 감소되었 다. 그리고 그릿이 사회적 지지와 학습전략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성악전공 대학생의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증진 에 힘을 쓰면서 그릿 향상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자기표현과 목표지향성의 각 변수는 성악전공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래서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표현과 목표지향성 변수에 따른 대 학생에 관한 학습전략의 연구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추사 김정희 작품의 조형성과 서화 예술에 관한 연

        이옥진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 초록 추사 김정희 작가는 붓과 먹으로 화선지에 정신세계를 녹여내어 독창 적이고 독보적인 추사체라는 서체를 만들어 내고, 작품 또한 탄생하는 것이 아니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만들어짐을 증명한 <세한도>로 더 유명 해진 서화가이다.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적으로 특출난 예술인 작가 추사 김정희 작품의 조형성과 서화예술에 대해 세밀하게 관찰하고 연구해 보 았다. 문인화는 수묵 법을 기초로 하며 문방사우를 사용하여 시서화를 작품 으로 표현하는데, 화격을 부여하고, 사의적 사상과 내면적 정신세계를 표 출하며 표현한 그림을 말한다. 또 기운을 존중하고 문인화의 육법 (기운 생동 골법용필 응물상영 수류부채 경영위치 전이모사)과 육체(흑 백 건 습 농 담)를 늘 생각하며 집중하고 몰두해서 그려야 하며, 육법 중 하나 인 기운생동을 제일 우선시 해야 격이 높고 아름다운 창작품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사 김정희 작가의 문인화가 어떤 조형성의 특징을 통해 감정과 사상을 독특하고 절실하게 표현하고 전달했는지 <세한도> 를 포함한 묵란도 등 서화작품을 찾아보며 서화 예술 세계를 검증해 보 았다. 추사 김정희는 조선 후기 정조 시대에 명문가에서 축복을 받고 탄생 했으며, 문화 예술을 부흥하고 발전시키는 시기에 청조의 많은 문물과 다양하고 독특한 문화를 접하여 익히고 학문수양을 끝없이 하면서 무한 한 성장을 했다. 유년기부터 북학파 박제가 스승을 만나 학문과 예술의 기초를 연마 하고 청나라의 문물을 접하며 청조를 방문할 기회를 잡았다. 동지부사로 청나라를 가는 아버지와 동행하면서 자제군관 자격으로 청나라 여행을 하며 청나라 문화를 배워 익히고, 청나라 사람인 완원과 옹방강을 스승 으로 섬기며 학문과 문화와 서화를 폭넓게 배워 익히고, 남종문인화의 영향을 받아 서화론 등을 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전수할 수 있었다. 완원과 옹방강에게 청나라의 문명과 예술문화에 대해 서신으로 주고받으며 꾸준히 섭렵하여 승화시켰고, 조선의 문물들도 연구해서 경학 고증학 실 학 등 다양한 학문도 발달시켰다. 조선 후기의 남종문인화 작가를 초월하여 한국의 시, 서, 화, 문인화 가, 세계적인 추사 김정희 작가는 다방면으로 탁월한 유능함을 보여준 서화가이다. 타고난 재능만을 고집하지 않고 어려움과 외로움을 초월하며 꾸준한 노력의 연마과정과 연구를 통해 혹독한 역경을 극복하며 인격의 수양과 연마, 내면의 감정을 함축하여 표출하며 수많은 작품으로 조형성의 중요 성을 선보이며, 재능을 후학에게 전수한 잊히지 않을 천재 서화가를 전 반적으로 다시 연구해 보았다. 세도정치의 정쟁 속에 휘말려서 억울하고 힘들고 외로운 약 8년 6개 월의 제주 유배 시절과 2년의 북청 유배 생활을, 오롯이 자신만의 세계 에 묻혀 붓과 먹을 벗 삼아 화선지에 대련작품이나 현판작품 등을 포함 한 서예 작품 등 다양한 문인화작품으로, 내면의 세계와 사상을 표출하 며 독특한 조형성의 작품을 완성했다. 외로움을 견디며 학문에 몰두하여 정진하며 추사체의 탄생과 독특한 묵란도 및 문인화를 작품으로 승화해 서 파란만장한 인생을, 예술 세계로 득도하며 조형성이 강조된 <불이선 란도> <세한도> <일로향실> <계산무진> <산숭해심> <유천희해> <죽노지실> <잔석완석루> <사서루> <검가> 등 다양한 걸작을 만들어 냈다. <세한도> 작품이 중국과 일본을 넘나들며 작품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지고 만들어져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알려지며 문인화의 정수라 불리는 담대하고 거대한 작가가 탄생하게 되었다. 북청 유배 시절 유배지에서 <도덕신선> <침계> <진흥북수고경> 등의 작품에서 조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말년 과천 시절에는 정치에 무관한 듯이 달관한 작가의 삶으로 대전 환시켜 <산호가 비취병> <무쌍채필> <화법유장> <대팽고회> 등의 대 련작품과 <불이선란도>인 묵란도로 조형성의 묘미를 살린 작품들을 완성했다. 칠십일과 병중 작으로 낙관 글씨를 쓴 <판전> 현판작품으로 혼 신을 받쳐 고졸한 생애의 마지막 작품을 매듭짓고 3일 후 삶을 끝내며 죽음을 맞이했다. 영원히 기록될 역사의 인물이자 경학 고증학 실학 유가 미학 불교학 등 예술가의 사상을 통달하고 내면의 독특한 감수성을 표출해 서화가의 거장으로 우뚝 선, 추사 김정희 작품의 독창적인 조형성을 면밀하게 관 찰하여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서화 예술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독창적 인 서화작품을 창작하고 완성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추사 김정희 작가는 후학 양성에도 끊임없이 노력하며 허련 전기 권 돈인 등에게 많은 영향을 주어 예술을 발전시켰고, 문인화 제자들인 조 희룡 대원군 이하응 민영익 등은 추사의 작품을 능가할 정도로 다양하게 많이 발전한 모습을 선보여 오늘날까지도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작가들 로 부각 되고 있다. 오늘날도 추사박물관을 지어 추사 김정희 작가와 작품을 탐구하고 연구하여, 특출하고 특별함과 위대함을 알리는 강의를 하고, 독특한 우리 문화유산인 추사체의 작품과 세한도 불이선란도 등의 문인화작품을 통해 조선에서 탄생한 추사 작가의 일생을 교훈으로 삼으며 다양한 작가들의 활발한 활동과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요즘도 추사 작가에 대해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연구들이 진행 되고 있지만, 나의 미흡함이나 부족함으로 다양한 각도로 바라보기에는 아직은 흡족하지 못한 연구에 한계점이 있었다고 본다. 나의 바람이 있 다면 더 많은 자료를 세부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해서 추사 작가에 대한 미흡함이나 모자람을 바로 세울 수 있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이 나오기를 바란다. 이런 모든 과정을 통해 추사 김정희 작가의 작품의 독특한 조형성을 연구하고 중요한 서 화의 특징을 살려, 시서화가 반영된 문인화작품과 서예작품, 캘리그라피 작품을 연구해서, 멋지고 독특한 서 화 작품들이 쏟아져 나와 한국의 예술이 세계적인 예술로 자리 잡길 독특한 서화의 묘한 매력에 매료되어 작가 활동을 하게 되면서 온고 이신과 법고창신이나 입고창신의 정신을 기본으로 여기며, 시서화가 반 영된 특별한 문인화작품과 요즘 쉽게 접할 수 있는 캘리그라피 작품을 구상하고 있다. 추사 작가의 서화작품에 포함된 사상과 의식과 조형성 등 서화론을 가슴에 깊이 새기며, 독창적한 창작품을 만들고 후학을 양 성하는 강사와 우리 예술을 알리고 전수하는 서화가, 문인화가로 존재하 기를 소망해 본다.

      • 생태관광객의 친환경 가치와 장소애착이 친환경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중국 고등직업대학 컴퓨터 전공학생을 중심으로

        장영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중국의 컴퓨터 산업 육성 정책과 2011년에 중국 대학의 컴퓨터 학과 입학정원 확대정책 발표 이후 대부분 고등직업대학은 컴퓨터 관련 전공 학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교육현장은 시대변화와 함께 자 기주도적 문제해결 역량을 요구하는 기업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면서 컴퓨 터 전공 졸업생들의 일자리 수는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중국교육부 는 직업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학생들의 학습능력, 실천능력, 취업능력, 문제해결력 강화 기반 인재 양성을 목표를 수립하고 프로젝트 교수법, 거꾸로 수업 등의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개편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 구는 프로젝트 기반 교수법을 컴퓨터 전공학과 전공기초 교과목인 ‘웹사 이트 설계 및 제작’ 수업에 적용하여 컴퓨터 전공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광둥문리직업대학 컴퓨터 전공 1학년 67명 을 대상으로 전공 기초 교과 ‘웹사이트 설계 및 제작’ 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기존 방식의 수업방식을 적용한 통제집 단 간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과 팀별 작품 성적을 비교 분석하 였다. 실험 결과, 프로젝트 기반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 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과 작품 점수가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를 두려워하고 아직까지 프로젝트 교수법에 대한 인식 및 실행 능력 이 부족한 컴퓨터 전공 교수자들에게 프로젝트 기반 교수법의 효과성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수업설계가 교수자들의 수업 방향성 및 개선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프로젝트 기반 학습,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중국고등 직업대학, 컴퓨터 전공

      • 중국 직업기술대학 교양필수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수업 인식차이 연구

        황감탁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직업기술대학 교양필수 체육수업의 지도자인 교사와 참여자인 학생의 참여 실태와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기술대학 교양필수 체육수업에 대한 중국 귀주시 한 직업기술대학의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통해 빈도 분석과 카이제곱 차이분석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직업기술대학 교양필수 체육수업의 학생과 교사의 실태와 인식에 대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향후 교양필수 체육수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보면 학생들이 직업기술대학의 교양필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기 모두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각 측면으로 학생들보다 수업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이다. 하지만 현재 수업의 내용이 재미없다는 것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수업선호도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수업장소 및 기재, 수업내용, 수업방식, 수업 평가방식,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등 영역에서 학생과 교사의 인식차이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교사들이 어떤 수업개선 전략 및 방안을 실시하기 전에 학생의 인식을 먼저 확인 하는 것을 필요하다. 둘째, 교육학 지식이 있고 학생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체육종목 전공의 체육교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체육수업에서 수업분위기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향후 체육수업의 참여 및 수업 효과를 높이는데 동반 또는 스승 간 관계가 좋고, 신체건강을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종목, 따뜻하고 재미있는 수업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대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참여 동기를 연구할 때 수업의 재미성보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의 양성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다섯째, 체육수업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모두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체육을 주관하고 있는 교수자 입장인 체육교사와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 입장의 학생, 두 입장의 인식을 확인하여 향후 체육교사들이 학생중심의 수업을 계획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피아노 전문연주자 과정의 학습내용 인지와 심리적 자질이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중국 북경 중앙음악대학교 피아노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진패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중국은 지난 10여년 동안 중국 대학입시 정원 확대로 예술전공 과목의 점수가 하락하고 지원자가 두 배로 증가했지만 학생의 자질은 역발전 추세를 보였다. 교양과목에서의 성적 부족으로 많은 학생이 대학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강도 높은 훈련과 단기적인 연습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탄탄한 음악 실력을 갖춘 학생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피아노 연주과정에 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나타나는 피아노 연주 과정의 질적 문제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심리적 배경뿐만 아니라 실제 피아노 표현력이 발현되는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음악 표현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피아노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피아노 전문 연주과정 이수에 따른 인식과 심리적 자질에 따른 음악적 표현력의 인과성을 밝힘으로써 피아노 교육에 따른 음악적 표현력 향상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월성을 고려하여 중국의 북경 중앙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06월 11일부터 06월 25일까지 14일간 진행되었고 피아노 전문교육 과정의 인식과 심리적 자질에 따른 인지 변화를 통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앞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H1> 학생집단별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피아노 연주 과정 인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 <H2> 피아노 전문 연주과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은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3> 피아노 전문연주 과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이 피아노 전문가 연주과정에서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4>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이 피아노 연주 과정에서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5> 피아노 연주 교과목에서 피아노 전문 연주 교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지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질의 중개 역할을 통해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가변성 검정을 이용하여 검정의 독립변인으로 성별, 학년, 기타 조건을 달리 설정하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및 spss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의 대상 변수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을 검증하였다. 둘째, ANOVA 일원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피아노 전문연주과정의 인지도,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하여 세 변수의 관계와 비율을 탐색하고, 피아노 전문연주과정의 인지도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검증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상관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을 중간 변수로 하여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대한 회귀 분석하여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를 검증하고, 각 관련 효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연구 가설 결과를 검증하였다. 위 검증 방법으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식을 구현한 것은 성별과 학년이 다른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의 인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을 살펴보면 학습 수준이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능력 함양은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지는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지는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의 역할을 통해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서 대학생의 인식을 배양한 후, 대학생의 심리적 품질과 같은 다양한 차원은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중요한 예측 효과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 간의 효과는 전체적 효과는 아니며, 테스트 모델의 결과는 유의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중간 정도이다. 그러나 결과는 여전히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을 통해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확인시켜 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은 피아노 이론 과목 공부에도 주력하여 학생의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둬야 하여, 교수법 최적화, 교과과정 개선 및 개발 촉진으로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교수법에 도입하여 학생의 적극성과 학습효과를 이끌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 검증되지 못한 영역이 남아 있으며, 연구 과정의 내용적, 시간적 한계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은 추후 정리를 통해 향후 관련 학술 분야의 발전과 논의의 확장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국 무용 전공 대학생의 인식 및 실행 연구

        진암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온라인 수업 범위를 넓히고 있는 분야 중 연습이나 실습이 중요시되는 무용 전공자의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워드 COVID-19 이후에 이미 익속해진 다양하고 보편적인 온라인 수업이 적절하고바람직한 방향으로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이으로 전개되는데 도움을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범위를 넓히고 있는 분야 중 연습이나 실습이 중요시되는 중국 무용 전공자의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연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2023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15일 간에 중국 삼동성 칭다오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국 무용전공 대학생의 인식을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COVID-19으로 인하여 온라인 수업을 일반적인 수업의 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온전한 수업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 놓여있다. 둘째, 인식조사 결과에서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국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실행경험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실행 연구 평균은 환경지원보다 수업 실행의 평균이 좀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무용 전공 대학생은 환경지원보다 수업 실행에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체계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국 무용 전공 대학생의 인식은 어떠한지 또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국 무용전공 대학생의 실행 연구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동일 요인으로 다양한 지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이루어진다면 일반적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ess and Performance Anxiety in Guzheng Performance Online Clas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Mediated of Learning Input and Learning Motivation

        이우명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중국의 경제는 투자중심에서 혁신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경제성장의 중심은 주로 과학기술혁신의 성과에 있다. 대학은 국가 혁신 시스템의 중요한 원동력이며, 기초연구의 주체이고, 과학기술 성과의 주요 생산자이자 응용기술혁신의 원천이기도 하다. 이러한 대학의 과학기술 성과를 전이하고, 전환하는 것은 경제와 사회의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혁신주도적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대학에 과학기술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현재 중국 대학의 과학연구 시스템은 대학의 과학기술성과에 대한 전이와 전환을 제약이 있어서 과학기술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전략에 맞지 않거나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어서, 많은 대학들의 과학연구에 대한 투자와 산출의 효율성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많다. 이에 대학 내 과학기술성과의 전이와 전환의 효율성을 어떻게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대학 내에서 과학기술성과의 전이와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에서 과학기술 성과의 전환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핵심사항을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과학기술 성과의 전이와 전환 체계의 개혁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과 기술적 지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혁신가치 사슬이론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과학기술의 성취결과를 이전과 전환의 활동을 성과화 생산성과 상업화 생산성의 두 단계로 구분하여, 2단계 효율성 평가지표체계를 구성하였다. 네트워크 SBM 모형은 중국 27개 성의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의 성(省) 간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의 과학기술 성취이전과 전환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의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대학의 과학연구에 대한 투자가 크고, 과학기술적 산출량이 낮으며, 과학기술적 성과의 이전과 전환이 효과적이지 못하며, 자원의 낭비, 인력의 중복, 불합리한 배분 등이 있었다. 둘째,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대학의 과학기술 성과이전 및 전환 효율성은 2019까지 성장하는 추세를 나타났으나, 2020년에는 전년 대비 하락하였다. 전체적인 수준은 아직 높지않았고, 상업전환의 효율성은 성과화 효율성보다 높았으며, 각 성 대학의 과학기술 성과이전 및 전환 효율성은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지역간의 발전에서 불균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상승의 원인은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정책 및 시스템, 과학연구의 투자증가로 나타났고, 감소의 원인으로는 불충분한 과학연구의 투자 및 활용, 각 성의 불균형적인 자원의 할당, 두 단계의 생산량에서의 불일치였다. 셋째, 지역적 관점에서는 동부지역의 대학과학 기술성과의 전이 및 전환 효율성이 가장 높았던 반면에 서부지역의 효율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개발요인(GDP), 정부지원요인(GOV), 산학연협력요인(ENT), 산업구조요인(IND), 교육수준요인(EDU), 개방수준요인(OPEN), 혁신효율성(INN) 등의 7개 영향요인에서 ENT와 INN은 대학의 과학기술성과에 대한 이전 및 전환의 전체 효율성과 2단계 효율성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GDP와 IND는 전체 효율성과 2단계 효율성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OV는 상업화 효율성에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고, OPEN의 전반적인 효율성과 2단계 효율성은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끝으로 이 논문은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대학 내에서 과학기술혁신의 평가체계를 개선하도록 제언하였고, 과학기술의 혁신성과를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대학 과학기술의 혁신활동을 강화하고, 지역 간의 조정을 통하여 자원배분을 최적화하고, 중복성 투입을 감소시켜야 한다. 대학 과학기술혁신에 다양한 투자를 장려하고, 혁신적인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China's economy is transforming from investment-driven to innovation-driven, with economic growth mainly rely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benefits. Universities are an important force in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y are the main force in basic research and the main own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They are also the source of applied technology innovation.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are also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novation-driven development requires the support of universities. At present, my country's university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ystem still has some problems that do not match and are not smooth with the national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country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restricts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there is still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put and output efficiency of many universities. Therefore, how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It can not only effectively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key point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but also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guidance and technical support for the reform system of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Based on the innovation value chain theory and a review of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this article divides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of universities into two stages: output achievements and output commercialization, and constructs a two-stage efficiency evaluation index system. The Network Slacks-Based Measure(SBM) model takes universities in 27 provinces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and based on China's inter-provincial panel data from 2016 to 2022, measures the efficiency of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and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of efficiency. The main research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input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of universities is large, the science and technology output is low,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s not effective, and there is a waste of resources, duplication of personnel, and unreasonable distribution. Second, from 2016 to 2020, the efficiency of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Chinese universities showed a trend of up and decreasing, reaching the highest point in 2019. The overall level is still some distance from the frontier, and the commercializa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the achievements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of universities in various provinces there are large differences, and development is unev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wo-stage efficiency model, a large proportion of provinces are in the low achievement efficiency-low commercialization efficiency.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s the policy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increase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put.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s insufficient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put, uneven distribution of resources among provinces, and uncoordinated output between the two stages. Third, from a regional perspective, the efficiency of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in the eastern region is the highest, while the efficiency value in the western region is the lowest. Presenting a development trend of “high in the eastern and low in the western”.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development factors (GDP), government support factors (GOV),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factors (ENT), industrial structure factors (IND), education level factors (EDU), opening-up level factors (OPEN) and innovation efficiency factors (INN) seven influencing factors were studied and concluded: ENT and IN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and two-stage efficiency of the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universities. GDP and IND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efficiency and two-stage efficiency. GOV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ommercialization efficiency. OPE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verall efficiency and achievements efficiency. Finally, based on empirical analysis, this article puts forward relevant suggestions: improve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evaluation system in universities and accelerate the achieve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trengthen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promote regional coordinated development; optimize resource allocation in universities and reduce input redundancy; encourage diversification inpu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universities and strengthen collaborative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novation cooperation. Key words: Universities, Efficiency of Transfer and Transfor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Network SBM Model, Tobi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