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의 수요자 중심적 교과과정 및 관련 변인분석

        이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대학원의 미용교육과정은 질 높은 전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전문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며, 교원양성기관으로서 학교현장과 연계된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과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와 요구를 교육과정, 영역별 교과과목,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의 5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 만족도, 영역별 교과과목 만족도, 수업운영 만족도, 교육여건 만족도, 졸업요건 만족도는 모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교육대학원 학생들은 현재 교육대학원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으로 교원 양성기관으로서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기능에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될 기능으로는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위한 차별성 있는 교육 기능의 분화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교육대학원을 교육과정, 교과과목,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논문지도 및 학위취득)요건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각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여건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각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운영의 경우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여건의 경우 행정지원 및 요구수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거나 차수(학기)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직교사와 비 현직교사에 대한 교육만족도와 요구도는 대체적으로 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미용교사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과 비현직교사의 양성교육을 분리하여 운영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미용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수요자에게 교원자격 관련 법령에 관련한 정보와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등의 취득학점관련 정보를 자율적인 참여로 획득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구축하고 정보안내를 비롯한 행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미용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은 학교교육현장과 연계된 체계적인 교수법 개발을 위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이 균형적인 비율로 편성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미용교육대학원에 적합한 전문적이고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미용교육 현장 경험과 연구경력을 가진 전임교수(강사)진의 확충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해 각 변수를 철저히 관리하여 교육과정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2년제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 중에 경험하는 진로장벽 대처에 대한 사례연구

        김광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김 광 희 지도교수 박 기 영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미용전공 대학생이 진로준비행동 중 경험하게 되는 진로장벽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는지 심층 탐색하고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2년제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은 무엇인가? 둘째, 2년제 미용전공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은 무엇인가? 셋째, 미용전공 대학생은 자신의 진로장벽에 어떻게 대처하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J대학교 1, 2학년 학생 8명으로 2021년 12월 연구 참여 사전 동의를 거치고, 2022년 1월에서 3월까지 3개월에 걸쳐서 참여자별 심층면담으로써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의 다중 사례연구 기법인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96개의 의미 있는 주제로부터 하위범주 18개가 추출했고, 총 3개의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은 ‘국가자격증’, ‘민간자격증’, ‘봉사활동’, ‘각종 대회 참여’, ‘기술 습득을 위한 노력’, ‘취업 준비’, ‘진로상담’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수의 학생이 대학 진학 전에 전공 관련 국가(민간) 자격증 취득을 위해 노력했고, 각종 미용대회에 참가하였으며 대학 진학 후에도 지도교수와의 상담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었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은 ‘인간관계’, ‘감정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 ‘기술습득의 문제’, ‘건강문제’, ‘성격문제’, ‘환경적 문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참여자들은 직장 내 스텝 및 선임과의 인간관계와 고객응대를 하면서 겪는 감정노동의 고충에 따른 어려움, 남들이 쉬는 주말 및 공휴일 근무, 그리고 종일 서서 근무하는 것에 대한 신체적 부담을 진로장벽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대처 방식은 ‘기술향상을 위한 노력’, ‘미래모습 상상하기’, ‘건강관리를 위한 노력’, ‘조언과 사회적 지지 구하기’, ‘소통을 위한 노력’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참여자들은 기술향상을 위해 미용과 관련한 아르바이트, 근로장학, 방학 특강, 앱 구입 등 본인의 상황에 맞게 자구책을 마련하였고, 장벽이 느껴질 때마다 헤어디자이너, 원장, 교육 강사, 대학교수, 미용 제품 사업가 등 자신의 성공한 모습을 떠올린다고 했다. 그리고 건강관리를 위해 운동을 하거나 지인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고 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현장 중심 실무교육인 교내 인증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매주 산업체 디자이너의 수업 진행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고, 가발이 아닌 사람 머리에 시술함으로써 현장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샴푸교육을 시스템화하는 것이다. 샴푸 수업을 1, 2, 3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테스트 한 후 시상을 통해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상승효과의 결과를 가져오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맞춰서 스텝 과정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동아리 형태의 특별팀 교육으로 학생들의 기량을 높일 수 있다. 특별팀은 자격증 취득, 봉사활동, 대회 참여 등을 위해 전임교수가 주관하는 다양한 특별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실력향상 및 재능기부를 통한 성취감 제고의 기회를 얻는 것이다. 넷째,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이다. 자기효능감 증진, 고객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역할연기, 사례 중심 사전교육, 선배초청 특강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장벽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강화가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교내 부속기관 및 지도교수와의 협업이다. 교내 취업 전담센터와 전공 교수의 협업을 통해 학생들의 최저시급 및 복지를 고려한 산업체 우선적 소개가 이루어지면 좋을 것이다. 특히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졸업한 후에도 지도교수와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 성공한 졸업생 동문과 활발한 교류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Responses of Two-Year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a Barrier during Career Preparation Kim Kwang Hee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dvisor;Prof. Park Ki 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career counseling by in-depth exploration of how two-year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cope with career barriers experienced dur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two-year beauty major college student? Second, what are the career barriers experienced by two-year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Third, how d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cope with their career barri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of J University whose prior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as received in December 2021. In-depth interviews for each study participant were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January to March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eswell (2013)'s multiple case study technique, specifically using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method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18 subcategories were classified from 96 meaningful topics, and a total of three upper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auty major student’s actions to prepare for their careers were classified as sub-factors of 'national qualification', 'private qualification', 'volunteer activities', 'participation in various competitions', 'efforts to acquire skills', 'employment preparation', and 'career counseling'. Many students tried to obtain national (private) certificates related to their majors before entering college, participated in various beauty competitions, and prepared for their careers through counseling with their professors after entering college. Second, career barrier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e 'human relations', 'stress due to emotional labor', and 'problems of acquiring skills'. They were classified as a sub-factor of 'health problem', 'personality problem', and 'environmental problem'. Participants regarded difficulties in emotional labor as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hips with staff and seniors in the workplace, working on weekends and holidays when others rested, and the physical burden of standing all day as career barriers. Third, the method of overcoming career response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was classified as sub-factors of 'efforts to improve techniques', 'imagining future appearance', 'efforts for health care', 'seeking advice and social support', and 'efforts for communication'. Participants prepared self-rescue measur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such as part-time jobs related to beauty, work scholarships, vacation lectures, and purchasing apps to develop their techniques. Whenever they felt a barrier, they thought of their successful self as hair designers, principals, education instructors, university professors, and beauty product businessmen. Also, they said they exercise or spend time with their good friends for health ca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posed through discussion. First, activate a school certification system program which is field-oriented and provides practical training. Every week, the students would be able to feel a sense of the real scene due to the classes by industrial designers in the field and interventions on human hair rather than wigs. Second, systematize shampoo education. Shampoo classes can be divided into 3 stages, and after performing a step-by-step test, awards can be given accordingly, promoting motiva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generating higher numbers of qualified future employees required by the industry, and the shortening of the staff process will be achieved. Third, improve students’ skills by educating special teams in the form of clubs.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skills and increase their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talent donation by joining and working on various special teams in the form of clubs organized by full-time professors where they would participate in obtaining certificates, volunteer, and compete in competitions. Fourth, operation of various subject and non-subject programs.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s, customer service, communication, role acting, case-oriented pre-education, special lectures and mentoring programs invited by seniors can be operated. Through these programs, students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and cope with career barriers. Fifth, cooperation with affiliated institutions and guidance professors in the school. It would be good to have a priority introduction to the industry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hourly wage and welfare of student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school employment center and professors. In particular, afte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graduated, continued relationships with their supervisors and active exchanges with successful alumni was proposed. Key words: Beauty major college student, career choi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barriers, factors to overcome career response

      • 웨슬리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비교 연구

        정화평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has its roots in Wesley's Holiness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However, Wesley's Holiness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wa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esley's thought influence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was transmitted to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Althoug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succeeded Wesley, it is not the same as Wesley. For this reason,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a spontaneous denomination. The doctrine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originated from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influenced by Wesley in the 18th century. However, unlike the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which started denomination-type missions in Korea led by foreign missionaries,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stablished by the initiative of natives named Jeong Bin and Kim Sang-jun.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denominations by the founder. For this reason,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clearly a Wesleyan who followed Wesley,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exactly follow Wesley alone. In other words, the theolog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is not the same as Wesley’s theolog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to compare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wit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s Holines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denomination through the study of 'Holiness' of the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and to prepare a difference from other denomination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of Holiness and Holines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amined Wesley's theory of Sanctification, focusing on the Aldersgate incident. Also, Phoebe Palmer's Holiness movement and Wesleyan's Holiness theory in the 19th century influenced by Wesley were examined. Through this,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Wesleyan Holiness theory were compared. Also,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xamine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Holiness Theory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following the 19th-century Wesleyan Holiness Theory. And through the Gospel Mission Hall(Bog-eum Jeondogwan), mother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established by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xamined. This researcher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Wesley's theory of Sanctification and the theory of Holiness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The Holiness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 instantaneous experience after regeneration, purification from original sin, and receiving power. This study intends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Although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clearly influenced by 18C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did not bring Wesley theology as it was.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mo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19C American Wesleyan Holiness Theory called “Interpreted Wesley.” Although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within Wesley's big framework, other elements were also widely accepted if they were consistent with the Bible. It is necessary to broadly understand that the 19C Wesleyan Holiness Movement centered on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church), the Oriental Mission Society(OMS) that resulted from it, and furthermore, the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and Moody Bible Institute influenced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 웨슬리의 성결운동에 뿌리를 둔다. 하지만 18세기 웨슬리의 성결운동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에 바로 전달되지 않았다. 웨슬리의 사상이 19세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19세기 미국 웨슬리안 성결운동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에 전달되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가 웨슬리를 계승했지만, 웨슬리와 똑같은 것은 아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의 차이를 비교 연구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자생적 개척 교단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교리는 18세기 웨슬리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외국인 선교사의 주도로 한국에서 교파형 선교를 시작한 장로교, 감리교와는 다르게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정빈, 김상준이라는 자국인의 주도로 세워졌다.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설립한 주체자가 다른 교단들과는 차별화된다. 이런 이유로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분명히 웨슬리를 따르는 웨슬리안이지만, 동시에 정확하게는 웨슬리만을 따르지는 않는다. 즉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은 웨슬리 신학과 같지 않다. 본 연구자는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비교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방법론으로 진행했다. 이러한 한국성결교회 ‘성결’의 연구를 통해 교단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며 다른 교단들과의 차이를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성결의 개념과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성결을 살펴보았다. 또, 연구자는 웨슬리 성화론에 대해 올더스게이트 사건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성화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피비 파머의 성결운동과 웨슬리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웨슬리안의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웨슬리 성화론과 웨슬리안 성결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19세기 웨슬리안 성결론을 따르는 동양선교회(OMS)의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양선교회에 의해 세워진 복음전도관(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을 통해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의 차이를 비교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은 성령세례이고, 중생 후 순간적 경험이고, 원죄로부터의 정결이고, 능력 받음이다. 본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이 분명히 18세기 웨슬리의 성화론의 영향을 받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초기 한국성결교회가 웨슬리 신학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았다.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은 ‘해석된 웨슬리’라고 불리는 19세기 미국 웨슬리안 성결론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이 웨슬리의 큰 틀 속에 있지만 다른 요소들도 성서와 일치한다면 폭넓게 수용하였다. 만국성결연맹(교회)을 중심으로 하는 19세기 말 웨슬리안 성결운동과 그로 인해 생긴 동양선교회 그리고 더 나아가 기독교연합선교회과 무디성서학원 등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에 영향을 미친 것을 폭넓게 이해해야 한다.

      • 존 웨슬리의 선행은총론과 목회적 적용

        윤기웅 성결대학교 성결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논문은 존 웨슬리의 ‘선행은총론’이 웨슬리안-알미니안 신학적 입장에 서 있는 웨슬리안 교회들 특히,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기반이 되는 핵심 교리임을 확인하고자 했다. 그래서 ‘선행은총론’의 개념과 특성, 성서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또한, 웨슬리의 ‘선행은총론’ 형성에 영향을 준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크게 네 가지로 어거스틴의 영향, 동방교회의 영향, 알미니우스의 영향, 영국 성공회와 로마가톨릭교회의 신비주의적 영향 등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17세기의 네덜란드 신학자인 알미니우스(James Arminius, 1560-1609)가 웨슬리에게 큰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하였다. 웨슬리의 구원론 곧 선행은총의 역사-칭의 이전의 회개-칭의-중생-칭의 후의 회개-점진적 성화-성결(완전성화)-영화로 이어지는 구원의 서정(Ordo salutis)에서 ‘선행은총론’은 구원의 시작점이 됨을 살펴보았다. 선행은총은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기본지식을 갖게 하고, 은혜로 회복되어 하나님의 부르심에 반응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자유를 확보하며, 그 마음에 도덕법에 대한 지식의 일부를 다시 새겨지게 하였고, 양심의 회복을 주었다. 곧 선행은총은 구원을 위한 예비적 단계의 은총이다. 선행은총의 한계는 선행은총 자체가 신앙으로 시작된 은총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구원을 위한 예비적 은총으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충분한 은총이 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작은 중요하다. 선행은총이 초기에는 보잘 것 없는 것 같지만 하나님에 대한 최초의 각성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온전한 구원으로 진입하게 되기에 선행은총은 웨슬리의 구원론에서 중요한 교리가 된다. 이렇게 선행은총의 협의의 의미를 적용하면, 선행은총은 칭의 이전에 구원의 서광을 비추는 곧 구원의 예비적 단계에서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그러나 선행은총의 광의의 개념을 적용하면, 선행은총은 칭의 이전부터 역사할 뿐만 아니라, 칭의 이후 성화의 과정에서도 하나님이 능력을 공급하시는 ‘은총의 선행’(prevenience of grace)으로서의 은혜이다. 그러나 웨슬리의 ‘선행은총론’이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신학적 근거로 오용될 수 있음에 경계해야 한다. 또 하나의 본 연구의 초점은 선행은총론의 ‘목회적 적용’이다. 그 적용 가능성으로서 선행은총론이 인간의 책임과 선교에 대한 열정에 추동력이 되는 신학적 근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목회적 적용의 최종 목표로 ‘선행은총론’을 ‘한국성결교회의 카테키즘’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웨슬리안-알미니안 신학적 입장에 있는 몇몇 교단들의 ‘선행은총론’에 대한 신앙고백서와 카테키즘을 살펴보고, 한국성결교회의 소중한 교리인 ‘선행은총론’을 시대에 적합한 신학적이고 현대적인 카테키즘으로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biblical basis of John Wesley's doctrine of 'Prevenient Grace', an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that influenced its development. This doctrine is a key element of the theology of Wesleyan churches, particularly the Korea Holiness Church, which follows a Wesleyan-Arminian perspective. The study found that four major influenc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Wesley's 'Prevenient Grace': Augustine, the Eastern Church, Jacob Arminius, and the mystical traditions of the Anglican and Roman Catholic churches. It was particularly noted that James Arminius(1560-1609), a 17th-century Dutch theologia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esley's thinking. John Wesley's soteriology, known as Ordo salutis, outlines a series of stages in the process of salvation. These stages include prevenient grace, repentance before justification, justification, regeneration, repentance after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holiness, and ultimately, glory. Prevenient grace is the first step in this journey towards salvation. Prevenient grace gave a basic knowledge of the nature of God, secured some freedom restored by grace and possible to respond to God's call, re-engraved a part of the knowledge of the moral law in the heart, and gave the recovery of conscience. In other words, prevenient grace is a preparatory stage of grace for salv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limitation of prevenient grace is that it alone cannot provide salvation for humanity, as it is not a grace initiated by faith.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initially seeming insignificant, prevenient grace becomes a crucial doctrine in Wesley's soteriology as the initial awareness of God grows and leads to complete salvation. When considered in a narrow sense, prevenient grace is the grace of God given in the preliminary stage of salvation, serving as the dawn of salvation before justification. When considered in a broader sense, prevenient grace is "prevenience of grace" and operates not only before justification but also during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after justification.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of the potential for Wesley's "theory of prevenient grace" to be misused as a theological basis for universalism and pluralism, contrary to its original intent. This thesis also examined the 'pastoral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revenient grace. It was found that prevenient grace can serve as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a passion for human responsibility and Christian missions. As a result, it is proposed that the 'Theory of Prevenient Grace' be applied to the 'Catechism of the Korea Holiness Church' as a final goal of its pastoral application. To achieve this, the confessions of faith and catechisms of various denominations that adhere to Wesleyan-Arminian theology were analyze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valuable doctrine of 'The Theory of Prevenient Grace' be included in a theological and modern catechis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urrent era, specifically for the Korea Holiness Church.

      •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신학사상 비교연구 : 사중복음을 중심으로

        윤형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전도 표제를 넘어서 성결교단의 중심 교의인 사중복음이 어떻게 전래 되어 왔는지 그 과정과 그리고 그것이 성결교단의 중심적 신학사상으로 왜 주장되어야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19세기 성결운동을 통해서 신학적 맥락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존 웨슬리의 부흥운동과 만국성결교회와 마틴 냅(Martin Knapp)으로 시작하여 기독교선교연합회와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심프슨(A. B. Simpson)의 영향이 성결교단의 순복음(사중복음) 사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동양선교회의 태동과 발전, 나카다 쥬지와 킬보른(E. A. Kilbourne)의 신학사상을 통하여 확립된 동양선교회의 신학사상을 살펴봄으로 성결교단의 신학적 형성이 웨슬리신학보다는 사중복음에 있음을 논하였다.

      • 사중복음이 평신도의 영성에 미치는 영향

        전상준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후기산업시대를 맞이한 한국교회는 1990년을 기점으로 영성의 퇴보와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한국교회의 영성약화 요인을 교회의 정체성의 약화, 영성의 결여, 개인주의화, 세속화, 교회의 성령의 능력상실로 본다. 새로운 시대로 진입한 한국교회는 정체성 상실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정체성 확립과 능력회복에 있다고 보며, 사역의 주역인 평신도 영성성숙에 둔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사역의 현장에서 평신도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평신도의 영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으로 사중복음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평신도의 영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현대 영성훈련의 모델이 될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문헌을 연구하였으며, 사중복음 영성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을 6개의 문항과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위한 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자의 설문조사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과 비수도권(충청도, 전라도)에 있는 13개 교회에 350부를 배부하여 290부가 회수되어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인 “사중복음 영성훈련”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1. 성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연령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교육수준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직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5. 신앙생활기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6. 사중복음 영성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신자들보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30명씩 구성하여 사전동질성 검사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12주 훈련 후에는 훈련결과를 검증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SPSS 11.0 for windo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남, 녀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 중 성결에 대한 확신, 신유에 대한 확신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았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수준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평신도의 영성 성숙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유의미 한차이는 아니었지만,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회자를 신뢰하고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위해 좀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 중 성결에 대한 확신과 신유에 대한 확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권찰이나 집사보다는 권사나 장로들이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을 더 많이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도 더 많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신앙생활기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의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앙생활기간이 길수록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았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위한 노력이나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도 더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받으면 평신도의 사중복음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 차이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에 대한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중복음 영성훈련은 의미있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중복음 영성훈련이 신자들에게 영성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과 체험을 인식시켜 주었다. 교육을 하고 집중 기도를 함으로 은혜를 체험하였고, 일상생활속에서 영성성숙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사중복음이 평신도 영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사중복음의 새로운 영역의 가능성을 보았다. 성결교회는 사중복음을 유업으로 받았다. 사중복음의 신학화 작업뿐만 아니라 생활가운데 실천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적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될 때 한국 교회에 부흥과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복음을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실천적인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평신도 영성성숙을 위해 사중복음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된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깊이 있는 영성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다. 성결교회는 유업으로 받은 귀중한 유산인 사중복음을 더욱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중생으로부터 시작된 영성은 재림으로 완성되어지며,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사모하고 현재 주어진 환경속에서 더욱 충성, 봉사, 헌신하는 신자가 되어야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복음주의 교회에서 적용될 것이다. The Korean church in the age of post industrialism has become dull in growth and spirituality since 1990. The cause of weakened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is seemed because of weakened identity of church, lacking spirituality, individualism, secularization, and lacking holy capability of church. The Korean church that entered into new age is facing the risk of losing her identity. To overcome it, Church identity needs to be established and Church sacred capability required to be recovered. And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and the leading part of ministry should be matured. This study developed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for the Fourfold Gospels as a method to maximize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o use them effectively ministry. The goal of this study is on studying the Fourfold Gospels spirituality training that would be the model of modern spiritual training to maximize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studied documents, to verify the effect of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and the researcher performed research with questionnaire that is developed the the researcher. This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6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s and 66 questions for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The researcher distributed 350 copies of questionnaire to 13 churches in metropolitan areas (Seoul, Incheon, and Gyeonggi) and local areas (Chungcheongdo, and Jeollado). With 290 recollected copies the researcher analyzed questions and caus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pirituality training of the Fourfold Gospels", the researcher sets hypothesis as below and verified it. 1.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gender. 2.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age. 3.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4.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job. 5.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the terms of religious life. 6. There should b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in the believers in the tes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rather than the believer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o verify the subjects above, the researcher consisted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30 believers each, and performed preliminary similarity test, and verified training result after 12 weeks training of test group. And for post examination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coded questionnaire and took statistics using SPSS 11.0 for windows.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by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from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econdly, important difference in assurance of Divine Healing and Sanctification among the Fourfold Gospels was found out.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orts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 and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erefore, as getting olde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older makes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 and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irdly, serious difference was found out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group in higher education level puts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maturity of lay believers than the group in lower education level.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out that the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education level, and that they rely on pastor more are tend to show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the desire more recognition from pastor on to them. Fourthly, import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assurance of Sanctification and Divine Healing among the Fourfold Gospel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efforts for the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and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oo.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eaconess or elders have more assurance in the Fourfold Gospels and put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and for the desirable recondition on pastor than deacons. Fifth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all areas of the Fourfold Gospels.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and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ere was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Therefore, as the term of religious life is longe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and th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or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were higher, too. Sixthly, from the result of verifying if there is difference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for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fo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on post examination i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spirituality training of the Fourfold Gospels has valuable effect. Through this study, the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recognized self-confidence and experience on spirituality for believers. It made grace to be experienced through education and concentrated pray, and spirituality to be pursued to mature in daily living. Through this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ourfold Gospels on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new area of the Fourfold Gospels was found out. The Sungkyul Church received the Fourfold Gospels as its work. When the Fourfold Gospels is made to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is more actively done in daily living, the Korean church will grow and revive. More systematic, special and practical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for gospels of human nature,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developed. It is assured that the Fourfold Gospels can be broadly used for the maturity of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he task laid in the future is to develope the practice constant education of intensified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The Sanctification Church should progress more the Fourfold Gospels, precious inheritance. Spirituality started from human nature is completed by Second Coming of Christ. In that sense we should be a faithful, voluntary and devoting believers in the present given environment and should long for the Kingdom of God that will last forev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in the Evangelical Church.

      • (성결교회 종말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정철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research thinks that the academic self-esteem and self-respect lies in their consistent establishment. Talking of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Yesung theology, the meaning of ‘systematic’ at this point should include the meaning of ‘consistent’ necessarily. This study, the critical study on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the very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onsistent’ in other words, the consistency. This study starts with a rather challenging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The various problems that this question contains such as the identity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in relation with the time-limited eschatology which appears as one shape of extreme disepensationalsim and the theological establishment and responses in the problems in which second advent should have existed already are being proposed a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us, this study was proceeded by focusing on the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and approaches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rough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inuousness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 lsim. The focus of this study in dealing with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as follows. First, the disepensationalsim is divid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modified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Then which disepensationalsim is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becomes the object in the ‘continuousness’. In other words, it is specifying the object of continuousness. This task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nd the reason for it is because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corrective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and oddly, that change and development is the process of correcting and deserting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hu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reason of specifying the object for continuousness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should becom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by proposing the ‘two purpose and two people’ doctrine, the doctrine which is the basis of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proof and investigating how this doctrine is being negated and deserted in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disepensationalsim. Of course that this is a result of assuming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lsim. Second, it is the consistency in the continuousness and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asic doctrine,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holiness and disepensationalsim are not being operated organically by each other but that it is disco- nnected mutually. If the holiness church accepts the disepensationalsim based on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can be possible when it accept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However, the holiness church negate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disepensa- tionalsim also does not accept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Their ‘holines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Here is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theological continuousness and consistency is raised. In other word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the theoretical continuou- sness of the disepensationalsim are disconnected. These results, in other words, the theoretical continuousness negated in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raises new problem, of which the reason is because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has accepted the disepensationalsim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is totally different. This study has proposed as the conclusion, the mission work passion and mission work of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experimental evangelism of holiness church as the contact point.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mission work, in terms of the mission work passion for the ambition for the end, the holiness church and the disepensatio- nalsim have worthy contact points. Lastly, not should the disepensational pre one thousand theory negated in the theological continuousness be accepted a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but the establishment of new eschatology is needed. Also, such establishment should be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uniqueness of the holiness church,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evangelism, and if it is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experimental evangelism, it should naturally be a dynamic eschatology which has been made present as ‘here and now’. 연구자는, 학문적 자부심과 자긍심은 그것의 일관된 정립에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예성신학의 체계적인 정립을 말한다면, 그 때의 ‘체계적인’의 의미는 반드시 ‘일관된’의 의미를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바로 이 ‘일관된’의 의미 즉, 일관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다소 도전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질문이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즉, 극단적 세대주의의 한 형태로서 나타난 시한부 종말론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결교회 종말론의 정체성과, 문자주의적 세대구분에 따라 전체를 7세대로 나누고 각 세대를 천년으로 보았을 때 이미 재림이 임했어야 하는 문제들에 있어서의 신학적 정립과 답변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성결교회와 세대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연속성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질문에의 답변에 접근한다.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와의 연속성을 다룸에 있어서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첫째, 세대주의는 흔히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구분되는데 그렇다면 ‘연속성’에 있어서 그 대상이 되는 세대주의는 이 중 어느 세대주의인가? 즉,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있어서 이 작업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변화, 발전한 세대주의는 특이하게도 그 변화와 발전이 세대주의의 기초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정하고 버리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대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교리로써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거를 통하여 제시하고, 이 교리가 세대주의의 변화, 발전과정을 통해 세대주의 내에서 어떻게 부정되고 버려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해야 하는 이유와 그 대상이 고전적 세대주의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는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역사적 연속성을 전제한 결과이다. 두 번째는 ‘연속성’에 있어서의 ‘일관성’인데 이는, 성결교회의 근간이 되는 교리인 ‘성결’과 세대주의의 근본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가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단절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성결’을 근간으로 하는 성결교회가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간으로 하는 세대주의를 수용한다면 그것은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용할 때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성결교회는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부정한다. 반대로 세대주의 역시 성결교회의 ‘성결’을 수용하지 않는다. 그들의 ‘성결’은 성결교회의 성결과 전혀 다르다. 바로 여기에서 신학적 연속성과 일관성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즉,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신학적 연속성은 단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즉, 역사적 연속성 속에서 부정되는 신학적 연속성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것은 신학적 토대가 전혀 다른 세대주의를 성결교회의 종말론이 수용한 이유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결론으로 성결교회의 ‘체험적 복음주의’를 통한 ‘선교열정’과 세대주의의 ‘선교’를 그 접촉점으로 제시하였다. 비록 선교의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는 있으나 종말의 대망을 위한 선교열정에 있어서 성결교회와 세대주의는 훌륭한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연속성이 부정되는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을 성결교회의 종말론으로 그대로 수용할 것이 아닌, 새로운 종말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정립은 성결교회의 독특성에 기초한 즉,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며,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라면 당연히 “‘지금 여기’로 현재화된 역동적인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 비교

        김혁 성결대학교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성결교회는 타 교단과 다르게 교파적 배경이 없이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이름으로 1907년에 성결운동과 복음전도 운동으로 시작하였다. 이렇게 출발한 운동이 교단을 형성하고 발전하였다. 성장을 거듭하던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이라는 큰 아픔을 겪으면서 두 교단(예성, 기성)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두 교단은 2020년 현재, 대한민국의 정통적인 교단으로 그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교단이 분열된 후에 서로의 신학적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를 했다. 특히 교단의 핵심인 사중복음에 관하여서는 지속해서 연구하고 있다. 사중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이는 교단의 핵심 교리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교단의 핵심 교리인 사중복음 중에서 제 3주제인 ‘신유’에 대해서 더 심도있게 연구 하였다. 본 연구자는 신유를 연구함에 두 교단(예성,기성)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명직과 김응조를 비교하며 연구하였다. 연구는 두 인물의 신유에 대한 신학 사상과 해석, 적용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교리적, 체험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는 신유에 대한 두 인물의 1차 자료와 선행 연구된 문헌 자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에 신유론의 유입된 과정을 살폈다. 19세기 성결운동과 신유운동을 연구하며 그 당시 영향을 주었던 대표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성결교회에 영향을 주었던 동양선교회의 설립과정과 중요인물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주요인물들을 연구하면서 신유론이 한국성결교회에 유래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과 4장에서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그의 삶과 그들이 주장하는 신유론의 형성과정, 주석과 설교에 나타난 신유론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신유론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에 대한 상이성과 동일성을 교리적, 신유체험적 영역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 결론으로 전체의 내용을 요약했다. 그리고 이명직과 김응조의 신유론을 평가하였다.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는 두 인물이 동일하게 성경에 근거해서 신유의 개념을 정의해 주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신유를 적용하면서 강조하는 방향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교리, 신앙체험의 영역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 A.B.Simpson의 재림론 연구: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을 중심으로

        윤형석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을 A. B. Simpson의 재림론과 비교 연구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A. B. Simpson의 재림론이 한국성결교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리스도의 재림을 통한 메시지가 무엇인지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제 I 장은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한다. 제 II 장은 재림론의 개념으로서, 재림론에 대한 정의와 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제 III 장은 A. B. Simpson의 재림론 신학에 대한 초기 배경을 연구한다. 제 IV 장은 III장을 토대로 좀 더 깊이 있게 내용을 다룬다. 제 V 장은 A. B. Simpson과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에 대한 신학적 연관성을 연구한다. 제 VI 장은 논문의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재림에 대한 근본 목적과 그에 대한 자세를 제언한다. A. B. Simpson은 재림이야 말로 성경말씀을 완성시킬 하이라이트이며 그리스도인들이 가져야할 신앙과 열망, 그리고 시대적 사명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재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역사적 견해가 더해진다면 한국성결교회가 보다 확실한 재림론에 대한 정체성과 바른 복음을 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의 형성과정 : 예수교대한성결교회를 중심으로

        김준섭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에서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I장 서론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큰 유산인 사중복음(Full Gospel) 중 하나이면서 잘못된 재림론으로 제대로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재림론의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범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재림론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성경을 중심으로 먼저 정의하고, 재림론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다루었다. 구약부터 신약까지 계속해서 일관되게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진리를 모두가 동일하게 믿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신학자들 중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서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III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의 유입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한국성결교회 신학과 깊은 관련이 있는 웨슬리(John Wesley)의 재림론에 대해서 연구하면서 한국성결교회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세대주의(Dispensationalism)적 전천년설(Premillennielism)을 받아들인 한국성결교회와는 달리 웨슬리는 후천년설(Postmillennielism) 전통 위에 있다. IV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가 받아들인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에 있어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V장에서는 이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이 어떻게 한국성결교회까지 유입이 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서 기독교 연합선교회(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만국성결연맹 및 기도동맹(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무디성서학원(Moody Bible Institute)등 한국 성결교회의 설립에 관여가 있는 단체와 인물들의 재림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 졌으나 재림론이 유입되는 과정 가운데 어느 한 근원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기보다는 복합적인 영향을 받았다. VI장에서는 먼저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을 모체가 된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의 재림론을 살펴보고,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을 정착시키고 발전시킨 김상준, 이명직, 김응조등의 인물을 중심으로 재림론의 발전 과정을 연구했다. 이들은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을 정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예성헌장에 나타난 재림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어떻게 유지가 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VII장 결론에서는 한국성결교회 재림론이 동양선교회의 설립의 주역인 카우만(C. E. Cowman), 킬보른(E. A. Kilbourne), 나카타 쥬지(中田重治)를 통해서 만국성결교회, 무디성서학원, 동양선교회, 블랙스톤(William Eugene Blackstone), 왓슨(G.D.Watson) 중 어느 한 근원으로부터 유래했다기 보다는 오히려 이 모두를 포함한 여러 근원으로부터 유래하였다. 그리고 그들을 관통하고 있던 공통적 흐름이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이었다. 그러나 한국성결교회 안에 세대주의와는 다른 부분들이 존재한다. 이것은 한국성결교회와 세대주의는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한국성결교회는 세대주의가 아니다. 다만 재림에 있어서 세대주의 종말론의 주요 요소인 전천년기적 재림, 이중재림, 비밀 휴거, 재림의 임박성, 유대적 천년왕국 등을 공유하고 있다. 재림은 분명 한국성결교회에 있어서는 사중복음의 하나로 아주 중요한 요소임이 틀림이 없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재림론에 대한 역사를 이해하고, 재림론의 정체성과 전통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thesis about historical study of Second Coming of Korea Sungkyul Church. Chapter 1: The introduction is about Second Coming, which is one of the Full Gospel of Korean SungKyul Church, and emphasizes necessities of research in Second Coming which currently is not well studied. Chapter 2: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cond Coming, I have defined what Second Coming is based on the Bible, and have discussed on variety of theories in Second Coming. From the Old testament to New testament, the story is consistent in that it talks about the story of Second Coming of Jesus. However, not everyone believes in the truth of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same way. There are some theologians who have misleading beliefs and views about Second coming. Chapter 3: In order to understand how Second Coming has been accepted by Korean SungKyul Church, I have researched the theories of John Wesely on Second Coming, looking for similarities and connectivity of his theory to the one by Korean SungKyul Church. Unlike Sungkyul Church, which has adopted Disensationalism and Premillennielism, John Wesely has adopted Postmilennielism. Chapter 4: I have discussed the Dispensationalism Premillennielism, which was accepted by Korea Sungkyul Church. Dispensationalism Premillennielism was shown to have numerous similarities with Korean SungKyul Church in related to Second Coming of Jesus. Chapter 5: To take a look at how Korean Sungkyul Church has accepted Dispensationalism Premillennielism, I have researched organizations andpeople with connection in establishment of Korean Sungkyul Church, such as Christian& missionary Alliance,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Moody Bible Institute. The Second Coming of Korea SungKyul Church has been influenced by Dispensationalism Premillennielism, but it was effected by multi sources rather than by a single origin. Chapter 6: Firstly, a theory on Second Coming of Oriental Missionary Society, which has become the founder of Korean SungKyul Church, has been discussed. Also, I have researched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econd Coming focusing on Sang Jun Kim, Myung Jik Lee and Eung Jo Kim, who were the leaders in settling the theory of Second Coming to Korean SungKul Church. They have had tremendous amount of influence on the thesis of Second Coming on Korean SungKyul Church. Lastly, I have taken a look at Second Coming shown at the Charter, and how it is preserved. Chapter 7: In conclusion, Second Coming of Korean SungKyul Church has been adopted from combination of various origins, which include C. E. Cowman, E. A. Kilbourne, Nakada Juji(中田重治),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Sungkyul Church, Moody Bible Institut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William Eugene Blackstone, G. D. Waston. And, the commonfactor of all of the origins that I have listed above was Dispensationalism Premillenielism.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the Dispensationalism of Korean SungKyul Church, which shows that they are in fact not identical. Korean SungKyul Church is not Dispensationalism. They only share the main point, which is Dispensational Eschatology on the Second Coming. Second Coming is definitely one of the Full Gospels and certainly is an important facto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history of theory on Second Coming of Korean SungKyul Church is understood, and broaden the understandings of identity and tradition of Second Co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