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ECUMENICAL EDUCATION FOR CHRISTIAN UNITY IN MYANMAR : 미얀마 크리스천 연합을 위한 기독교 교육 연구

        Tual Lian Tuang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63

        As a major motivation of this research, this writer will attempt to propose foundations for a more effective ecumenical education for Christian unity in Myanmar. This research proposes to study the concept of church unity by looking at the restoration of Christian faith and practice through the ministry of ecumenical education in the local churche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ecumen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 unity historically, biblically and educationally. To be a Christian today is of necessity somewhat different from being a Christian a hundred years ago. Christianity without the ecumenical dimension is no longer relevant Christianity. For facing the challenge in the changing world today, ecumenical education in the local church should not be passive. In order to have a more effective ecumenical education, the church needs to clarify the biblical role of ecumenical education in the church. The Church faces the lack of a full understanding of the ecumenical education as God’s transformative agent to transform the body of Chris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used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role of the ecumenical education: (1) how has the importance of the movement of unity “Ecumenical movement” developed historically in WCC? (2) what is the biblical view of ecumenical education for Christian un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Restoration Movement? This dissertation focuses primarily on these two questions. To have a more effective ecumenical education, the contemporary church needs to clarify the biblical teaching concerning Christian unity. Today, the role of ecumenical education in the Church is recognized passively.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s ecumenical education? And what is the ecumenical dimension of education in the local church for Christian unity? The writer believes that the initiation of true Christian unity is not from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or any organization or denomination, but from a transformation of a people to become Christ-likeness through local church’s education which has the ecumenical dimension. The local churches will be transformed through the ecumenical education and then the national church and the international Church of Christ will be transformed.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ecumenical understanding relating to the historical event that happened in Myanmar churches,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then Restoration movement. Particularly, the study looks into these areas; (1)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yanmar and Christianity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2)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World Council of Churches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analyzing and evaluating on the ecumenical educational policy; and (3) The educational research is on Christian unity relating to the nature and role of ecumenic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storation Movement that is relevant to the Myanmar local churches. Chapter one is an introductory chapter and Chapter two is an analyz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Myanmar Christian unity and ecumenical education. Chapter three is dealing with the crystallizat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criticizing and evaluating on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ecumenical educational policy in the Council. Chapter four describes how the importance of Christian Unity has developed biblically in the Restoration Movement and discussed the biblical principles of unity through restoration, “restoration of Christian culture”. Chapter five is writer’s suggestions of objectives, curriculums and ecumen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Ecumen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 unity in Myanmar. 이 보고서의 주된 동기로, 필자는 미얀마 기독교의 단일성을 위한 더 효과적인 기독교 교육의 토대를 제시하려 합니다. 이 연구는 크리스천들의 믿음과 지역 교회에서 사역하고 있는 기독교육 목회자들을 통한 믿음과 신뢰의 회복을 학수고대하며, 기독교의 단일성의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제시했습니다. 이 조사의 목적은 교육적,성경적, 역사적으로 기독교의 단일성에 관한 기독 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오늘날의 기독교인은 100년 전의 기독교인들과 많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세계 교회 주의를 갖고 있지 않다면, 더 이상 기독교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오늘날 세계가 변화 안에서의 도전을 직면 하는 동안, 세계 교회주의에 교육 속에서 지역 교회는 더 이상 수동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더 효과적인 세계 교회주의적인 기독교육을 가지기 위해, 앞으로 교회 안에서 우리는 세계적인 기독교육에 관한 성경적인 역할이 반드시 필요한 때입니다. 교회는 the body of Christ를 변형시키는 사람들로서 세계 교회 주의적 교육의 이해의 결핍을 주는 세력에 대해 바로 직면해야 합니다. 다음에 질문을 통한 연구에 따르면 세계교회 주의적 교육의 사명과 본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얼마나 WCC에서 역사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세계교회주의 운동 " 이라는 단일성의 흐름이 중요한가? (2) 현재 회복운동의 원칙에 따라서 기독대학을 위한 세계 기독교육의 성서적 관점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 초점은 이 두 가지 질문에 집중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더 효과적인 세계 교회주의적인 기독교육을 가지기 위해, 현대의 교회는 기독대학에 관한 성경적 교육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오늘날, 교회 안에 있는 세계적 기독교육의 사명이 수동적으로 인식됩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세계적 기독교육은 무엇인가 에 관한 질문의 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독교 대학을 위한 세계적 차원에서의 교육이 과연 무엇인가? 필자는 세계의회의 교회들, 어떠한 조직, 종파 가 아닌 진실성 있는 기독대학이 되는 시작임을 믿습니다. 또한, 세계주의적 차원의 교회의 교육을 통해 하나님과 같은 사람으로 변화되기를 바랍니다. 지역 교회는 세계 교회주의에 교육을 통해 변화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국가적 교회로 또 나아가서는 하나님의 국제적인 교회로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이 논문은 미얀마 교회에서 일어난 일들이나, 세계교회협의회 그리고 혁명에 흐름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 등을 관련지어 세계 교회 주의적 교육을 이해하는 대에서 있습니다. 특히, 이 지역으로 부터에 연구는 나타냅니다; (1) 처음에서부터 현재 지금의 모습까지의 기독교와 미얀마의 역사적 배경. (2) 세계교회협회의 역사적 배경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교회 주의적 정책에 관하여 분석하고 평가되어집니다. (3) 교육적인 연구는 미얀마 지역교회에 관련할 뿐만 아니라, 혁명적 흐름의 원리에 기초하여 세계주의적 교육의 규칙과 본성에 관해 말해 주고 있습니다. 첫 장에서는 차례를 소개하고 두 번째 장에서는 세계주의적 교육과 미얀마에 있는 기독대학의 상황적 흐름 과 역사를 분석했습니다. 세 번째 장에서는 세계 교회 협의회의 구체적인 방안들, 또한 현재 의회 안에서 정책되어지는 세계적 교육의 변형된 시각에 대해 비평과 평가를 이루고 있습니다. 네 번째 장에서는 "기독교 문화의 회복이라는 " 회복의 내용을 통해 대학의 성서적 원리에 대해 논쟁하였습니다. 또한 회복운동 안에서 일어나는 기독대학의 성서적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루었습니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필자의 객관적인 제안들과, 미얀마의 기독 대학교를 위한 세계적 기독교육의 교과과정이 있습니다.

      • 치매 환자 어머니를 부양하는 기독 여성의 심리적 갈등연구

        정미순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는 의학과 과학기술 발달 및 질병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와 생활환경의 변화로 수명연장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와 함께 치매유병률도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부양자들은 부양 부담과 심리적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 어머니를 부양하는 기독 여성이 겪는 갈등과 어려움은 어떠한가, 치매 환자 어머니를 부양하면서 기독 여성이 겪는 갈등과 어려움의 극복 요인은 무엇인가, 두 가지 연구질문을 중심으로 기독 여성이 치매를 겪고 있 는 어머니를 부양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욱이 치매 환자를 부양하면서 신앙의 모습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와의 감정의 갈등이 무엇인지와 하나님 안에서 어떻게 견디었는지 딸의 갈등 극복 과정을 살펴보고 기독 상담적 활용 방안을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치매 환자인 어머니를 부양하면서 딸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과 그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요인에 대해 구성주의 근거이론으로 연구하였고 근거이론방법론은 차마즈의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기독 여성으로 치매 환자인 어머니 를 부양하는 딸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연구 참여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약속과 함께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한 후30-40분 정도 대면 면접을 하였다. 코로나 상황에서 대면 면접의 어려움으로 2차,3차는 전화 면접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차마즈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 기독(목회) 상담적 입장에서 거킨의 이야기 해석학적 견해를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룰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76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기독교인 딸이 치매 환자인 어머니를 부양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물질의 어려움’, ‘내 생활이 없음’, ‘몸이 힘듦’, ‘형제들의 비난’이었고, 치매 어머니를 돌보면서 느끼는 감정으로는 ‘서운한 마음’, ‘양가감정’,‘억울함’, ‘죄책감’으로, 신앙때문에 겪는 어려움은 ‘내 신앙 지키지 어려움’, ‘가족들에게 본이 되어야 한다는 마음’과 ‘보여줘야 한다는 생각’, ‘하나님 앞에서 가식적인모습’ 등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런 어려움의 극복 요인으로는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견디며 이겨내고, 신앙의 힘으로 이겨내기도 하며, 지인들과 함께하면서 극복해 나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위와 같이 기독 여성 부양자들은 치매 환자인 어머니를 부양하면서 겪은 어려움들을 신앙의 힘으로 이겨나가고 있었다. 시간에 쫓기며 힘든 가운데 틈틈이 교회에서 기도하고 말씀과 찬양으로 예배드리면서 하나님의 함께하심과 채워주심을 경험하면서 하나님 안에서 극복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독 여성 부양자들은 치매 어머니를 부양하는 경험 속에서 어머니를 향한 죄책감과 억울함, 그리고 서운한 감정들에 강하게 사로잡혔으나, 이 모든 어려움을 통과하면서 하나님 앞에 올곧이 서게 됨으로서 자신의 존재이유와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게 되고, 기독교인으로써 삶의 우선순위를 다시 정립하며, 하나님께 더 힘있게 나아가게 되는 은혜이자 성숙의 기회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교회 공동체는 치매 환자를 부양하는 가족들에게 말씀 가운데 서로위로하고 격려하며, 하나님을 더욱 의지하며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물질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가족구성원에게 돌봄을 제공하고 있는 부양자 역시 그들도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자라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신앙공동체 안에서 따뜻한 위로와 기쁨과 격려를 누릴 수 있는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독(목회) 상담자는 동일한 어려움을 가진 이들에게 치매가족을 돌보며 생기는 어려움을 토로하고 지지받고 이해받을 수 있는 지지적 집단상담과 치매 환자를 부양하면서 경험한 죄책감이나 양가감정으로부터 벗어나는 치료적 집단상담을 제공하고, 다양한 돌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치매 가족의 성장을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독 상담자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부양자와 그 가족들이 교회 공동체를 통한 회복을 경험하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양자 자기의 정체성에 대한 기독 상담적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교회 안의 치매 가족을 위한 목회적 개입의 중요성을 피력하고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 기독 상담적 입장에서부양자의 어려움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상담학적 방법과 방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단어: 기독여성, 치매 환자, 갈등, 죄책감, 심리적 어려움, 근거이론, 기독상담

      • 기독 대학생의 진로 결정 과정에서 경험되는 심리적 갈등 연구

        기지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63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conflict experienced by Christian students in univercity during the period of deciding their career path and preparing for their jobs and preparing alternatives to how to counse them who are experiencing such conflicts. The Christian students' worries about their careers, which the researcher met at the counseling site,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have faith. They were in conflict between the important topics in Christian education such as vision, calling, and vow, and between God's work and what they wanted to do. Such conflicts caus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appeared as symptoms such as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 who counseled these clients, also had a conflict about Christian counselor identity in the situation where I had to consult them within Christian values. And in the end, such conflicts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start of this study.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career conflict among Christian students in university. Based on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the in-depth interview paper was written on the premise that the problem of career decision-making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distorted image of God stemming from parental attachment. Based on thi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was appli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Gerkin's hermeneutic view was also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stable attachment system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storted God image.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ttachment system with wealth had more influence on the image of God. Second, the experience of unstable attachment led to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e suppression of emotion, and made the individual feel low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ird, in faith, it was gradually made to have a legal belief value that emphasizes the rules and actions of faith. Fourth, the distorted image of God leads to the idea that you them who are experiencing such conflicts. The Christian students' worries about their careers, which the researcher met at the counseling site,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have faith. They were in conflict between the important topics in Christian education such as vision, calling, and vow, and between God's work and what they wanted to do. Such conflicts caus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appeared as symptoms such as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 who counseled these clients, also had a conflict about Christian counselor identity in the situation where I had to consult them within Christian values. And in the end, such conflicts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start of this study.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career conflict among Christian students in university. Based on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the in-depth interview paper was written on the premise that the problem of career decision-making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distorted image of God stemming from parental attachment. Based on thi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was appli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Gerkin's hermeneutic view was also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stable attachment system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storted God image.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ttachment system with wealth had more influence on the image of God. Second, the experience of unstable attachment led to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e suppression of emotion, and made the individual feel low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ird, in faith, it was gradually made to have a legal belief value that emphasizes the rules and actions of faith. Fourth, the distorted image of God leads to the idea that you should obey the call. Fifth, the distorted idea of calling has led to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conflic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career or job, in conjunction with what he wants to do, calling, vision, vow, prayer response, and non-Christian corporate culture. Sixth, psychological problems stemming from career conflict experience were gradually solved by modifying distorted images of God through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oneself and their own stories. Seventh, the new self-concept and God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ure career decision making. Eighth, in Gerkin's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view, restructuring his story among mutual respect was significant in restructing the image of God.This is the same context as oral,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attachment based psychotherap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 of God image through the change of attachment behavior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data on how to counsel Christian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career conflicts in the situation that there is almost no study on God image and career decision making.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counseling materials on how to look at their conflicts from the Christian counseling standpoint.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을 준비하는 기간 중에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갈등의 요인을 분석하고 그와 같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이들을 어떻게 상담해 줄 것인지에 대한 기독 상담학적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가 상담현장에서 만난 기독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고민 은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대학생들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 다. 이들은 비전, 소명, 서원 등과 같이 기독교 교육 안에서 중요시하는 주제들과 자신이 하고 싶은 일들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갈등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심한 경우 신체화나 우울, 불안과도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담자들을 상담하는 상담자 역시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이들을 상담해야 하는 상황에 서 기독 상담자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있었고 이는 결국 본 연구를 시작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들의 진로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써 기 존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진로의사결정에서의 문제를 부모 애착에 서 비롯된 왜곡된 하나님의 이미지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 지고 심층 면접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경험 을 통해 인식된 하나님의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경험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 독 상담학적 입장에서 상호주관성을 중요시 여기는 Gerkin의 이야기 해석학적 견해가 애착에서 비롯된 하나님 이미지를 수정하는데에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 하에 이를 논문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불안정애착체계는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이때 특히 부(父)와의 애착체 계가 하나님 이미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불안정애착 경험은 인정 욕구로 이어지기도 하고 감정 억압 으로 이어지기도 하면서 개인의 삶에 있어서 자신에 대해 낮은 만족감 을 갖도록 하였다. 셋째, 신앙에 있어서는 점차 신앙의 규칙과 행위를 중시하는 율법 주의적 신앙 가치관을 갖도록 하였다. 넷째, 왜곡된 하나님의 이미지는 부르심에 순종해야 한다는 생각으 로 이어지게 되었다. 다섯째, 부르심에 관한 왜곡된 생각은 진로나 직업을 선택하는 과 정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소명, 비전, 서원, 기도 응답, 기독교적이 지 않은 기업 문화 등과 맞물려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하였다. 여섯째, 진로 갈등 경험에서 비롯된 심리적 문제들은 ‘구술’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이야기, 하나님의 이미지에 대한 재구조화 과정을 거치 면서 점차 해소되었다. 일곱째, 새로운 자기 개념과 하나님 이미지는 진로의사결정에 있어 서 성숙한 모습을 보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Gerkin의 기독 상담학적 견해에서 볼 때, 상호적 존중 가운 데서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조화 해나가는 것은 하나님 이미지를 재구조 화하는 것에 도움이 되며 이는 애착기반 심리치료로써 중요 요소인 구 술과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어 애착행동체계의 변화를 통한 하나님 이 미지의 변화로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하나님 이미지와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가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현재 진로 갈등을 겪고 있는 기독 대학생들을 어떻게 상담해줄 것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연구의 의의 가 있다. 나아가서 기독 상담학적 입장에서 이들의 갈등을 어떻게 바라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상담학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한국과 중국 대학의 사회복지교육 비교연구

        이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the sustainable and rapid development of china economy ,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elfare has been paid close attention, and it need more and more talented professionals of social welfare in china, the social welfare will be one of the system for setting the harmonious society. Through introducing advanc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echnology from American and Europe, The educ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has been developed to a more perfect of curriculum, method and actual situation system.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in china, having a very short history, and also there are many kinds of diversity as like as regional structure, economic characters and large population, it makes more and more specialized social worker provide the service for the social. From china’s standpoint, It need to improve the academic education of social workers. There are differences on commitment, content, aim and position of the social welfare between korea and china. However, both of them work for the welfare for the society and work in order to improve the living standard of people. So, writer in this thesis have compared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curriculum and legal ru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to propoun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needs. Firstly, the writer have compared the social welfare definition and relevant regulation for social welfa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n analyzed the present problems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which the education of chinese social welfare has faced. Secondly, the writer has compared the differences on syste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As result, there are four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on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s follow: basic value; initial and promotion of school system; professional and teacher standards; degree conferred by university. In the en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writer has addressed four constructive advices.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고 국가별 사회복지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사회복지 대학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하였다. 국가별 사회 정책과 사회복지관련 법률의 내용과 취지는 차이가 있겠으나, 사회복지의 본질은 모든 국민사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동북아에서 이웃나라 한국의 발전 된 사회복지교육과 학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사회복지교육 확립에 필요한 제도와 학제 운영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국과 중국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해 비교 연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대학 중 사회복지학과를 최초로 설립 한 대학 순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와 연구자 본인이 유학하고 있는 서울기독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중국에서 사회복지관련 학과를 개설 한 대학 중 대표적인 5개 대학인 북경대학교, 중국인민대학교, 복단대학교, 남개대학교, 북경사법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대학의 사회복지학제 및 교과과정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의 사회복지의 정의와 사회복지관련법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 사회복지 개념 및 한국과 중국의 사회복지학제에 대해 비교 연구한 결과, 한국과 중국 대학교 교육의 특징적인 차이점은 사회복지교육 제도, 사회복지복지학과의 학위과정, 가치 이념, 학제의 출범 및 발전방향, 자격교원, 수여학위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은 미국과 유럽 복지국가의 선진적인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 실천 기술을 도입하여 현재에는 미시적 접근, 거시적 접근의 양 측면을 골고루 교육하는 방향, 다양한 사회복지 분야, 사회적 이슈가 되는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교과과정이 구성되어 한국 사회복지발전과 사회복지교육의 성과를 이루었다. 중국에서의 사회복지교육은 사회복지 교육 및 전문직의 역사가 짧으므로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및 사회복지사와 정부 부처의 관원 사이에서 혼동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중국은 16억 인구가 다양하게 흩어져 살고 있는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다양성과 특수성에 따라 국가 내 상이한 사회복지욕구와 자원에 대한 욕구가 분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직 체계화 되지 못한 상황에서 중국 본토화적인 사회복지교육이 필요하며, 경험 있는 전문 교육자와 연구자가 필요하며, 사회복지 전문직의 학력수준을 제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사회복지교육의 연구결과와 제언에서, 중국 사회의 현실에 근거하여 본토에 적합한 중국 사회복지교육 발전의 방향에 대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교육의 학력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며 둘째, 전문분야에 부응하는 사회복지교육과 교원을 확충하고, 셋째, 다양한 교과과정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며, 넷째, 사회복지의 학문적 위상 정립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 마틴 루터와 칼 바르트의 교회론 비교연구 : 성서와 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덕영 서울기독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목적은 역사적-조직신학적 비교연구 방법에 입각해 성서와 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틴 루터와 칼 바르트의 교회론을 비교연구하고, 그 결과가 한국 교회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따져보는 데에 있다. 루터와 바르트는 각각 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룩했는데, 이는 전자가 전통에서 복음으로 회귀함으로써 그리고 후자가 이성에서 복음으로 회귀함으로써 가능했다. 전형적인 중세적 가톨릭교도이던 루터는 성서를 매개로 중세성에서 근대성으로 이행할 수 있었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도 다름 아닌 성서원리이었다. 원래 자유주의 신학의 전통에서 성장하고 자유주의 신학과 종교 사회주의의 원리에 입각해 목회활동을 하던 바르트는 성서의 연구를 통해 하나님 나라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자유주의 신학을 극복할 수 있었다. 루터의 교회론은 복음과 칭의론적 교회론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루터는 복음에서 교회의 근원과 본질을 찾는다. 칭의론은 성서의 해석을 통해서 형성되었는데, 바로 이 칭의론을 통해서 종교개혁적 돌(혁)파가 가능했다. 또한 칭의론은 루터 신학의 토대를 이룬다. 교회는 바로 이러한 칭의론적 과정으로 파악된다. 루터는 복음적 교회론에 입각해 교회를 영적 교회와 육적 교회로 또는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로 구분하며, 교회를 외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표지를 제시한다. 그리고 루터는 참교회와 거짓교회를 구분하는데, 이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복음, 즉 하나님의 말씀이다. 바르트의 교회론은 복음과 변증법적 교회론 및 기독론적 교회론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변증법적 교회론은 그가 목회활동을 청산하고 신학교수로 초빙된 1921년부터 교의학 시대가 열리는 1932년까지의 교회론을, 그리고 기독론적 교회론은 교의학 시대에 구축된 교회론을 가리킨다. 바르트의 변증법적 교회론은 하나님과 인간의 변증법적 관계, 즉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무한한 질적인 차이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신-인간의 관계는 교회의 곤궁과 죄과를 초래한다. 바르트의『교회 교의학』에서는 점차로 변증법이 유비론으로 그리고 변증법적 교회론이 기독론적 교회론으로 바뀐다. 바르트는『교회 교의학』에서 교회의 삼중적 차원을 제시하는바, 교회의 형식적 차원, 인격적 차원, 의도적 차원이 바로 그것이다. 루터와 바르트의 교회론은 사도적-종말론적 교회에서 일치한다. 사도적 교회란 신약의 사도들과 구약의 예언자들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 위에 세워진 교회를 가리킨다. 그리고 종말론적 교회란 그리스도의 승천과 재림 사이에 이 세상에 존재하면서 역사의 종말과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기다리는 교회이다. 루터의 종말론과 바르트의 종말론은 모두 기독론과 성서원리에 의해 정초된다. 사도적-종말론적 교회의 근본구조는 초대교회에서 찾을 수 있다. 모든 교회는 초대교회처럼 이 세상에서 단일하고 거룩하며 보편적인 교회를 실현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을 실천하고 교회의 내적-외적 시련과 투쟁해야 한다. 그러면서 역사의 종국과 더불어 도래하는 하나님의 나라, 그리스도의 통치 그리고 부활과 구원을 기대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은 성서원리를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교회는 루터가 전통에서 복음으로 회귀하고 바르트가 이성에서 복음으로 회귀한 것과 같이 자본주의에서 복음으로 회귀해야 한다. 탈자본주의화와 복음화만이 한국 교회가 오늘날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마틴 루터와 칼 바르트의 교회론이 오늘날 한국의 교회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에서 복음으로 ― 이성에서 복음으로 ― 자본주의에서 복음으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용어: 마틴 루터, 칼 바르트, 교회, 교회론, 패러다임 전환, 성서(원리), 복음, 종교개혁, 로마 가톨릭 교회, 칭의론, 자유주의 신학, 종교적 개인주의, 종교적 사회주의, 하나님 말씀(의 신학), 변증법, 유비론, 기독론, 예언성, 사도성, 종말론, 사도적-종말론적 교회, 초대교회, 한국 교회, 교회의 위기, 자본주의.

      • 초기 기독교회 문헌을 통한 성례전 교육에 관한 연구 : 디다케와 사도전승을 중심으로

        이철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자가 본 논문에서 전개한 연구내용은 전체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으로 첫째, 연구의 동기 및 목적을 기술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사는 최근 외국 학자들이ㅡ 연구동향과 한국 기독교교육학계에서 이루어진 연구 대략 10년 동안 국회도서관에 등록된 자료들, 곧 1970년부터 2011년까지 대학원과 학회 등에서 발표한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성례전에 대한 성서적 이해에서는 1. 성례전의 개념과 정의, 2. 구약성서에 나타난 성례전, 3. 신약성서에 나타난 성례전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성서에 기원하고 있는 성례전의 의미와 개념을 신학적으로 살펴보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하게 될 의미를 개념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성서에 나타난 성례전의 기원을 살펴보았다. 먼저 구약성서에 나타난 절기축제(특히, 유월절)의 제물들에서 성례전의 기원과 원형으로서 그 형태를 살펴보았다. 셋째, 그리고 신약성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제정되고, 사도들에 의하여 수행된 성례전의 기원과 그 형태를 살펴보았다. 초기 기독교회 문헌에서의 성례전 이해이다. 여기서는 초기 기독교회에서 시행하였던 세례와 성만찬의 형태를 살펴 볼 수 있는 1. 2세기 초반 『디다케』에 나타난 성례전, 곧 2세기의 역사적 상황에서 전개된 기독교회 예전 안에서 성례전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2. 3세기 초반『사도전승』에 나타난 성례전의 형태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3세기 초반 이단의 오류와 로마제국 치하의 모진 박해와 순교의 상황에서 전개된 예전과 성례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연구자는 예전의 구조 안에서 성례전의 위치를 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3. 초기 기독교회에 나타난 성례전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를 서술하였다. 새로운 성례전 교육의 모형 개발에서는 앞에서 연구한 논의들을 토대로 새로운 성례전 교육모형을 제안하였다. 특히, 초기 기독교회의 신앙문서인『디다케』와 『사도전승』에 나타난 성례전의 구조와 내용에 함축된 교육적 의미들에 기초하여 한국교회 교육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성례전 교육의 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례전 교육의 목적, 교육의 기간과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평가 등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성례전교육을 통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차원, 곧 기독교적 앎을 삶의 차원에서 구체화하는 통전적 영성생활을 형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결론에서는 이제까지 연구자가 논의했던 내용들을 요약하면서,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교회 교육현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함으로 본 연구를 마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1세기 한국교회의 성례전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실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성례전 교육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말씀과 성만찬의 균형이 있는 주일예배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예배에서 말씀과 성만찬이 균형을 가져야 한다는 목회자들의 인식 전환과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성례전 교육을 위해서는 예배(레이투르기아)와 교육(디다케)의 각각 분리된 형식이 아니라, 초기 기독교회에서와 같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식의 교육목회의 접근과 실천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예배와 교육이 서로 연결되며, 기독교적 앎과 삶이 일치를 이루는 통전적 영성생활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성찬례를 통한 예전교육은 세례와 성만찬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와 함께 예전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육과정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도 앞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21세기 한국교회가 경험하고 있는 위기는 교회 외적으로는 세속화, 과학기술의 발달, 포스트모더니즘, 경제성장, 인구감소, 이단 사이비 종교의 급격한 신장에 따른 영적 혼란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회 내적으로 교회 지도자들의 지도력 상실, 그리스도인들의 거룩한 열망과 헌신의 감소, 인본주의, 세속주의의 침투 등 다양한 요소들이 크리스찬 미래세대와 교회성장을 크게 저해하는 요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거듭난 크리스찬, 신앙의 정체성이 분명한 크리스찬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그들은 변화를 경험한 자신을 통하여 세상과 교회를 새롭게 하고, 진정한 부흥이 일어나도록 도울 수 있다. 한국교회의 진정한 부흥과 성장은 외적인 요인보다는 내적인 요인, 곧 본질의 회복으로서 예배의 회복과 영적 회복에서 그 미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Pre-Christian Worldview of the Lhaovo People in Myanmar and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Christianity

        Voyao Khaung Dhaung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독교가 도입되기 전 Lhaovo 부족은 사회문화적 삶과 종교적 신념 및 관행을 따라 저 나름의 소견대로 살아왔다. 때문에 본 논문은 Lhaovo 부족의 배경과 역사적 친화성에 근간을 두어 역사 사회 및 분석적 접근법을 시도했다. Lhaovo 사회는 독교가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급격한 변혁을 체감해왔다. 기독교는 이 같은 변혁에 거의 처음부터 발을 들여놓았다. 즉, 기독교가 Lhaovo 공동체의 변화에 주도적인 역 할을 해왔다는 이야기다. 기독교가 Lhaovo 부족의 사회문화적 변화에 중차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에도 이를 심층적으로 연구한 사람은 여태 없었다. 비기독교인(불교) 또한 기독교가 사회문화적 변혁에 개입한 사실에 대하여는 외면해온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은 기독교의 도래가 악령과 미신의 두려움을 미얀마 Lhaovo 부족에게서 근절시킨 경위를 고찰함으로써, 기독교 출현이후 Lhaovo 부족의 사회문화적 변혁에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은 네 단계로 구분했다. 첫째, 필자는 부족과 사회문화적 삶, 경제, 행정조직, 종교적 신념 및 관행 등의 맥락에서 Lhaovo 부족의 역사적 친화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기독교가 도입되기 전의 공동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로 미루어볼 때 부족은 문화유산이 매우 풍부했던 것이 분명하다. 그들은 독자적인 숭배사상과 관행을 따라 지내왔다. 둘째, 필자는 Kachin, 부족에 전파된 배경을 소개했다. 이를 테면 Kachin 부족에게 들려준 복음을 비롯하여 새로운 표기체계를 확립학고 Kachin침례선교와 Lhaovo침례교회의 성장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하나님은 당신의 때에 맞춰 메시지를 전파하사 Lhaovo부족을 암흑의 쇠퇴기에서 빛으로 인도하셨다. 복음은 부족의 문화를 송두리째 사그러지게 했고, 새로운 삶과 현대화에 대한 희망을 가져다 주었다. 위대한 복음의 진리가 끊임없는 의심과 애니미즘이라는 미신을 타파한 것이다. 셋째, 단계에서는 기독교 이전의 세계관, 즉 사회문화적 삶과 종교적 신념 및 관행이 Lhaovo공동체가 복음을 수용하는데 보탬이 된 경위를 논했다.따라서 전 기독교 세계관은 작금의 Lhaovo기독교 부족이라는 맥락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는 기독교가 Lhaovo의 전통적인 종교의 근간위에 세워졌다는 점과 기독교가 부족의 종교적 신념을 메시지의 근거로 활용한 경위를 대변한다. 끝으로 필자는 기독교가 Lhaovo가 공동체에 도입된 날부터 문화가 달라진 과정을 짚어가며 기독교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바로 그 점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일 것이다. 이 같은 변혁을 두고는 영국의 합병을 비롯하여 통신과 도로망 건설 및 법제도 확립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했으나 현대 문명이 싹트게 된 것은 단연 기독교의 공이 가장 컸다. 기독교가 부족의 사회문화적 삶을 변화시키고 악령과 미신의 두려움에서 Lhaovo 부족을 건져낸 점은 사실이지만 복음이 부족의 가슴에 와 닿고 현실적인 맥락에서 우리도 토속문화와 전통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복음에 비추어 이를 기독교적 문화로 전환시켜야 할 것이다. 결말에서는 본 논문을 요약하고 논지를 보강했다.

      • 대안학교 교육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위탁형 대안학교 중심으로

        이선영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Due to uniform and compulsory education with the main goal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in school began collapse in the 1990s and students who didn’t adapt themselves to the existing school increased and therefore it led to the social problems. Thus students and parents found the alternative school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ducation in school. Even if the history of alternative schools was not long, the number of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in which scholarship was recognized increased since 2000.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of subjects in curriculum and specialized programs in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examine the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of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and find ways to vitalize the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do that, we need to specify the concepts about alternative education, alternative school and educational welfare being used confusingly and examine the concept about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 We visited 19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and collected data about curriculum and specialized programs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of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provided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students who mostly were not adapted to school life. Second,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 gave some time first for adaptation to students who were not adapted to the existing school life and spent difficult time. Third, consignment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implemented the educational welfare through education building students’ characte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in curriculum and specialized programs. Therefore, ways to vitalize educational welfare at alternative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budget should be acquired to meet the divers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Seco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stepped up through the specialization of teaching, student guidance and administrative work. Third, more diverse and realistic courses and specialized programs for students should be organized. Fourth, reports about operating alternative schools for one semester or a year should be presented publicly. Through such measures, alternative schools should implement the educational welfare to ensure the right to receive the education for students under any conditions. 대학입시를 주요 목표로 하는 교육, 획일적·강제적인 교육 등으로 인해 1990년대 학교붕괴를 시작으로 기존 학교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학생과 학부모는 기존 학교교육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대안학교를 찾게 되었다. 대안학교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2000년대 이후 학력이 인정되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서울시 위탁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교과목 편성과 특화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여 위탁형 대안학교의 교육복지는 어떠한 모습으로 실천되고 있으며, 교육복지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혼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대안교육, 대안학교와 교육복지에 대한 개념과 위탁형 대안학교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다. 그리고 질적연구방법 중 비구조화된 면접을 통하여 서울에 위치해 있는 19개의 위탁형 대안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교육과정과 특화프로그램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위탁형 대안학교는 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기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어려운 시간을 보냈던 학생들에게 위탁형 대안학교에서는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먼저 갖는다. 셋째, 서울시 위탁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과 특화프로그램에서는 인성교육, 특기적성교육, 진로교육을 통해 교육복지를 실천한다. 따라서 대안학교 교육복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충분한 예산이 확보 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과 학생생활지도, 행정업무의 분업화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필요하고 전문적인 교과목과 특화프로그램을 편성해야 한다. 넷째, 한 학기 또는 한 해 동안의 대안학교 운영에 대한 보고를 공개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안들을 통해 대안학교는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학생들이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학생들이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므로 교육목표를 달성하고, 지역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교육복지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영적정체성을 중심으로

        박영수 서울기독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 정체성의 변화와 구성과정의 연구이다. 연구자는 목회자 자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목회자 자녀들의 특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특성과 성경에 나타난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의 이론적 틀로서 Erikson과 Marcia의 정체성의 심리학적인 이론과 기독교 정체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을 채택했고, Cahalan과 Miller-McLemore 소명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을 했다. 연구 대상자로는 기독교 대학에 재학 중인 10명의 목회자 자녀들이 참여했다. 현상학적 텍스트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는 Giorgi가 제안한 분석 절차를 따랐다. 첫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구술 중 의미가 있거나, 의미의 전환이 일어나는 부분, 연구 참여자들이 중요시하는 부분을 맥락을 고려하여 분절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의미 있는 진술을 분절하고 여기에 이름을 붙여 335개의 주제를 명명했다. 세 번째 단계는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의 구조를 기술했다. 중심의미 기술에서는 연구 참여자별로 나타난 335개의 주제를 구성했다. 네 번째 일반구조 기술에서는 335개의 개별적 주제들을 76개의 주제로 재결집 했고, 이를 다시 15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15개의 본질적 주제는 “1. 영적저항 2. 지식으로 만난 하나님 3. 아버지의 십자가 지기 4.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염원 5. 세상 바라봄 6. 성스러운 가족 구현 7. 성장의 발판 교회공동체 8. 하나님 법안에서의 절제와 편안함 9. 하나님 방패로 담대해지기 10. 실낙원의 복원 11. 하나님의 사람을 롤 모델 12. 아버지와의 화해 13. 거듭난 자의 새로운 삶 14.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 15. 하나님의 형상 드러내기”였다. 이 15개의 본질적 주제는 주제1군 원인(1.2.3.4), 주제2군 현상(5), 주제3군 조건(6.7), 주제4군 맥락(8.9), 주제5군 공분산(12), 주제6군 정황(10.11), 주제7군 결과(13.14.15)로서 7개의 군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7개의 주제 군에서 나타난 15개의 본질적 주제들 간의 관계와 그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사회과학 6C를 이용하여 도식으로 나타냈고, 이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의 드러남과 은폐의 구조는 원인과 조건, 현상, 맥락, 정황, 공분산, 결과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의 여행은 누가복음 15장 11절에서 32절에 나타난 탕자의 비유(Parable of the prodigal son)와도 상통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 혼란과 세상을 향한 욕망은 아버지의 집을 떠나 세상의 욕망과 쾌락을 탐닉했던 탕자의 존재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탕자의 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답답한 교회를 벗어나고자하는 ‘상상적 탕자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육신의 아버지와 화해를 하고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로 돌아왔다. 아버지는 기꺼이 아들과 입 맞추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아버지는 아들을 찾으러 떠나지 않았다. 아버지는 법과 질서를 지켜야만 했기에 떠날 수 없었다. 우리는 여기서 목회자 자녀의 고민과 함께 목회자 아버지의 고독함과 무거운 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목회자이기에 자기의 자녀에게는 마음속으로 사랑을 할뿐 겉으로는 엄격해야만 했다. 후일 연구 참여자들은 아버지의 이와 같은 고독한 번민을 이해했고 그 아버지와 화해를 했다. 그리고 목사 아버지와의 화해는 하나님과의 화해로 이어졌다. 결국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은 세상을 탈출했다가 다시 귀환하는 구조이며 귀환의 결과는 소명(calling)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와 결론에 근거하여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의 논의를 전개했다. 논의는 먼저, 본질적 주제로 드러난 15개의 주제들을 중심으로 그 의의와 이론적 함의를 기술했고, 기독(목회)상담의 방향을 제시했다. Cahalan과 Miller-McLemore의 소명이론을 중심으로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 정체성과 소명과의 관계를 논의했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연구의 의의와 기대 효과를 기술하였다.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 4가지로 제언을 했고, 후속연구의 제언은 6가지 정도로 제시를 했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목회자 자녀들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했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자아정체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와 있는 반면,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가 없음을 발견하고, 이를 본 논문의 주제로 채택을 했다. 연구자가 연구함에 있어서 신학과 심리학의 담론을 통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물을 도출하고자 했으나, 학제간의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연구와 기독(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거의 없었기에 보다 학제간의 논의가 더 이루어진 후에 통합적인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독(목회)상담의 방향을 제시했고, 사회적정체성과 영적정체성의 통합을 통한 기독교 정체성의 발현과 발달 그리고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의 구조만을 제시했다. 연구자는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연구 결과물을 기대하고 강도표집과 눈덩이 표집으로 연구 참여자들을 모집하였으나, 1명을 제외한 9명이 농어촌이나 미자립 교회의 목회자 자녀들이었다. 그 연구결과, ‘기독교 정체성의 변화과정의 결과모형이 단조로운 탕자모형의 구조’로 이루어졌기에 보다 다양한 내용을 도출해 내지 못한 아쉬움을 남기며, 본 논문의 한계점을 밝힌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목회)상담학 분야는 물론 학제간의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들이 제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ristian identity and development of pastor’s kids (children/PK). To help understand PKs, the researcher first explores psychosocial and biblical aspects of PKs’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employs the practical framework set by Erikson and Marcia’s work on identity theory, Fowler’s development of faith theory, and Cahalan and Miller-McLemore’s calling theory. As for the methodology used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Giorgi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10 PKs attending Christian universities. The phenomenological text used for the study was organiz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following the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Giorgi.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splited the text up sections that they considered to be orally meaningful, saw a shift in meaning, or considered important. Second, the researcher divided the study participants’ meaningful statements into 355 themes. Third,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 the describing of the central meaning, 335 themes were composed by each participant. Fourth, the 355 individual themes were grouped into 76 themes, then finalized into 15 central themes. The 15 theme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piritual resistance 2. God who have met through knowledge 3. Carrying the cross of my father 4. Aspirations of ordinary people 5. Greed for the world 6. The realization of a holy family 7. The Church community as a stage for growth 8. Restraint and peace under God’s authority 9. Becoming brave with God as a shield 10. Restoration of a lost paradise 11. A Godly person as a role model 12. Reconciliation with one's father 13. A new life of the reborn 14. Spiritual encounter with God 15. Revealing God’s nature. The 15 central themes can be organized into 7 categories: cause (1, 2, 3, 4), phenomenon (5), condition (6, 7), context (8, 9), covariance (12), circumstance (10, 11), and result (13, 14, 15). The 6C of social science was used as a schematic diagram to categorize the 15 central themes into 7 categories and the study provides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manifestation and concealment of the participants’ Christian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cause and condition, phenomenon, context, circumstance, covariance, and results. The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identities is similar to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as ween in Luke chapter 15, verses 11 through 32.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usion of their Christian identities and worldly desires is similar to the actions of the prodigal son. Most of the participants kept their place, similar to the prodigal son’s older brother. Internally, however, they wanted to escape from the frustrating aspects of the church and therefore internalized characteristics of the prodigal son.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nciled with the father and returned as a child of God. The father gladly welcomed the son with a kiss. Nonetheless, the fathers of the participants couldn't leave to search for the son because they had to obey the law and the rule. Here is where we must understand the struggle of PKs and the heavy, solitary burden of the pastor/father. Due to his role as a pastor, the father can only love his child through his heart and externally had to be strict. Later,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tood their father’s lonely burden and experienced reconciliation. Moreover, reconciliation with their pastor/father led to reconciliation with God.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Christian identity is one that escapes the world and returns to the world; the result of their return is their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discussion section based on Christian counseling. The discussion first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15 central themes previously listed,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counseling. It furth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identity of PKs and their calling utilizing the framework of Cahalan and Miller-McLemore’s calling theory. The conclusion includes a summary of result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study. There are 4 sugges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and 6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wanted to study the self-identity of PKs but upon reviewing the literature, found many existing studies on self-identity. However, finding that there was a lack of phenomenological studies on Christian identity and thus, it was adop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d to derive the research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discourse of theology and psychology but found few studies of Christian identity among academic institutions and Christian consultan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nd suggested only the structure of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expression, Develop and change of Christian ident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social identity and spiritual identity. With anticipation of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findings the researcher did her best to recruit study participants, but 9 of the 10 participants were PKs from rural farming or fishing villages. Limitations of this paper include a failure to produce more diverse content. In the future, the researcher hopes that diverse research in Christian counseling and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 would be produc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 A Critical Analysis o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Contrast to Nagas Understanding on Personality Disorder : Using Dialectical Behavioural Therapy

        Dzuvichu Thejakhrienuo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나가 사회에서 심각한 성격장애 치료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 논문은 나가 사람들에게 경계선 성격장애를 겪는 사람들의 치료을 위한 새로운 자각을 제시하며 교회가 이 인식을 알리는 기반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려주며 또한 더 나은 성장을 위해 기독상담과 심리학이 협력할 수 있음을 재교육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게리 콜린즈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견해를 통합하면서 심리학과 기독교의 관계에 기초한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두 사례를 통해 그 증상을 겪는 사람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변증법적 행동요법(DBT)은 경계선 성격장애 치료에 확실한 결과를 가진 가장 많이 활용되는 요법중 하나이다. 이 치료법은 경계선 성격장래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고안되어졌었다. 변증법적 행동 요법은 경계선 성격 장애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는데 임상학자들은 내담자가 가진 사고와 감정을 확인하는 동시에 행동의 변화를 위한 동기를 갖게 하려고 시도한다. 변증법적 행동요법은 특히 자해나 죽음에 이르기 할 수도 있는 충동과 감정의 조절과 관련된 부적응 행동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