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한민국 여권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가 상징물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김태환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의 국가 상징체계는 국민의 역사적 전통과 민족정신, 국가의 이념 등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우리를 알리고 국가 경쟁력을 갖게 하는 힘이 있다. 세계는 문명의 발달로 하루하루 국가·민족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국가와 민족을 대표하는 각종 시각적 상징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특히 여권과 같은 공공디자인 개선은 나라의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경제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비록 디자인 선진국가의 비해 공공디자인 사업이 늦은 감이 있지만, 국가 브랜드의 경쟁력이 중요한 현재의 시점에서 우리 민족의 국가 상징물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현대의 각 분야에서 이를 계승·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때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실적 필요성과 동기를 가지고 대한민국과 G8국가(서방 선진 8개국)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여권의 국가상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 상징물을 활용하여 대·내외적 이미지에 부합하는 여권 디자인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고, 디자인 요소별 제안에 초점을 두었다. 제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동기부여로 여권 디자인개선의 필요성 인식과 연구방법 등에 관한 간략한 서술이다. 제 2장에서는 국가 상징의 기본적인 정의와 종류를 통하여 국가 상징의 이해를 도모 하였으며, 여권의 개념과 디자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대한민국과 G8국가(서방 선진 8개국 - 독일, 러시아, 미국, 영국, 이태리, 일본, 프랑스, 캐나다)의 국가 상징물과 여권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국가별 상징물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미지 스케일과 설문조사를 통한 여권 디자인요소를 비교분석하여 대한민국의 여권 디자인의 발전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대한민국 여권은 G8국가와 비교하여 볼 때 상징성에도 통일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채 다양성만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국가상징 이미지의 부재로 한국이라는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통일성 있는 국가상징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이유일 것이다. 제 4장에서는 새로운 여권 디자인 개발에 대한 국가 상징을 여권의 개발요소별로 모색하였고, 최종적으로 여권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한국 고유의 디자인 작업은 주로 전통적 이미지에만 국한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이미지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한국의 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디자인하는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신중하고 체계적인 여권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함양시키고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국가 브랜드를 키워나가는 발걸음이 될 것이다. In today's world, national symbols give insight into national ideology such as historical traditions and national identity, but also help nations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increasing its competitiveness.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s becoming more active through day-to-day ethnic exchanges throughout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symbols that represent nations and their peopl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materials like passports affects national image while also possessing an economic incentive by boosting that image. In modern times, national brand image is an important aspect of competitiveness. Therefore, although Korea's public design industry is lagging when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it is now time to properly identify, develop and understand Korean national symbols. This thesis will attempt to analyze the national symbols included in the passport design of the G8 nations. Furthermore,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onal symbols, I will propose an initiative for passport design in accordance with foreign and domestic imagery in addition to focusing on design element proposals. Part One is a brief description of passport design research methods and the importance of passport design knowledge. Part Two aims to understand basic national symbols by looking at their basic definition and varieties and also examines the ideas behind passport design and its trends. In Part Three, I investigate the national symbols and passport design of the G8 nations (Group of 8: Germany, Russi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Italy, Japan, France and Canada) and also of Korea. Through this I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nation's national symbols. Furthermore, using an image scale and a questionnaire, I do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lements of passport design and then propose step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passport design. When compared to the passports of the G8 nations, Korea's passport lacks unity and consistency. The absence of national symbols does not properly reflect Korea's unique character. This is caused by a system of national symbols not having been prepared. In Part Four, I describe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elements of design in new passport development. Ultimately, I put forth a suggestion for a new passport design. Until now, Korea's public design works have been limited to traditional images. However, the question of Korea's image is something that must be examined further and modern day research on the elements of Korean culture must continue into the future. This sort of systemized development of passport design is a step towards the cultivation of national identit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brand.

      • 陶製(도제) 裝身具(장신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銀(은) 소재를 중심으로

        김휘중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간은 누구나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장식란 이러한 인간이 본능적으로 추구 하여 온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당시의 기후나 지리적 여건, 종교성향. 정치적, 경제적 수준 등 다양한 인간의 삶의 환경과 형태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이러한 장식의 여러 가지 산물은 그 의미를 부여하며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지고 가꾸어져 왔으며 그 중 인간이 본능적으로 미를 추구하기 위해 신체에 부착하여 장식의 미를 더한 것이 장신구 이다. 이러한 장신구는 과거 동물의 뼈나 이빨 등의 원시적인 재료와 방법에서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류는 다양한 장신구의 조형 활동은 계속하여 왔으며 이러한 장신구들은 그 시대상의 표현이며, 재료나 기법에도 시대적 배경의 영향을 받기 마련이었다. 오늘날 현대 문명산업이 거듭 발전해 오면서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장신구의 종류나 소재가 다양해 졌으며 과거의 신분. 계급질서의 상징이나 부의 상징적 의미에서 벗어나 강한 개성미를 추구하는 현대의 의복사와 함께 발달하여 왔다. 오늘날 다양해진 소재와 제조기술의 발달 그리고 값싼 재료의 개발은 장신구의 표현 방법을 매우 다양하게 해주고 있으며 보편적 아름다움으로 부터 더욱 더 발전하여 무엇인가 자신만의 특별한 개성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적 만족을 제공 하는 소재나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 작가에게 있어서, 재료와 기법의 신기술 개발은 작가의 미적 감각을 새로운 길로 인도 해주며 늘 새로운 것을 갈구하는 작가 정신에 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작품에 응용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자재 장신구라는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적인 전통을 현대 패션 문화 속에 흡수시켜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 개성적인 패션의 테두리 안에서의 의상과 조화 되도록 디자인 하는 것에 주력 하였다. 이에 이론적 배경으로는 장신구의 기원과 종류 재료의 흐름을 파악하고 백화점,장신구 도매시장, 개인공방 등을 통하여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장신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장신구의 특징과 디자인을 분석하여 작품제작에 기초 자료로 삼았다. 작품제작은 일반 공방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복제를 피하여 자연의 이미지와 현대 패션을 조화시켜 요즘 보편적 유행하고 있는 캐쥬얼 의상과 중년 여성의 정장 스타일에도 어울릴 수 있게 디자인 하였다. 모든 제작 과정에는 순은99%의 은점토라는 타재료와 의 결합으로 도자재로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여 흙이 가지는 순수성과 유연성의 특징보다 실용성과 대중성을 고려 한 도재 장신구로써 착용자의 미적 욕구와 도자재의 한계를 보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e human being pursues the beauty instinctively. And the decoration was showed up naturally from various environment and form of life of the human being such as climate, geographical features, religious tendency and political·economical levels at that time In this various product of decoration have been giving the meaning, making in the various form and decorating itself, In order for the human being instinctively to pursue beauty, it was attached in a body and added up the beauty that is the accessory. Actually, this accessory, it had been started with primitive material such as a bone or teeth of animals and till now modeling activities has been going on by human, it was an expression of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material and technique have been influenced by periodic background. Today, Modern civilization have been developing repeatedly, the type and material of accessory is diversified, and escaped from the symbol of hierarchical society or the symbolic meaning of wealth, it has been developing with the modern clothing history which is strongly seek individuality. In these days, the diversified material, the progressed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development of cheaper material bring that the one can be do the express very variously, and it is required the new design and material which is provided the new esthetic satisfaction and demanding for modern people. For the contemporary write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of the material and technique will lead on the new route which is the sense of beauty as anauthor and will increase and the new thing will go and the material which is various will increase in the author spirit which buys used was made to apply to the work. This study is concentrating that our historical tradition-ceramic material- is absorbed into modern fashion culture, considering about the life cycle of modern people and which is designed for harmony with cloth within the individuality of fashion. Hereupon the accessory era and the type material flowing, grasped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department stores and accessory wholesale markets, personal offense and defense etc. led and accessory present conditions which are produced and the accessory feature and a design and with fundamental data currently grasped analyzed in work production made. The work production will avoid the reproduction of the product which produces from general offense and defense and the image and modern fashion of nature will harmonize and will be full dress star of the recent universality casual clothing which is becoming popular and the middle-aged woman there to make be a possibility of matching and, design did. To all production process complemented the function which with combination with the other material which is precious metal clay of sterling silver 99% is insufficient with ceramic material and the importance which complements a wearing voluntary American craving and a catheter reconsideration limit feature of the purity which the soil has and pliability with ceramic material accessory where considers a practicality and a popularity put.

      •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조상욱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마련하고,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특화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는 2006년 11월 공공디자인에 관한 종합계획의 수립시행 및 공공디자인에 관한 법률이 제정발의 되면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 결과 행정부처와 자치단체별 공공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 서울을 비롯한 7개의 광역자치단체에서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공공시설물 설치 및 유지관리에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다. 이는 도시경쟁력 제고 및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적용이 불분명하거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 공공시설물에서는 지나치게 장식적인 디자인과 은유적인 디자인도 있으며, 도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일회성 디자인과 진지한 고려 없이 추진되고 있는 디자인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공공 디자인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례는 현재 공공시설물의 가이드라인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디자인에서 일부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특징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종류를 알아본 후,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외 에너지 정책과의 관계를 종합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한 시민의 의견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특화된 디자인방향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된 5가지 방향 1. 신재생에너지 이용의 보편화의 방향 2. 태양광 및 풍력 발전부의 계획화 방향 3. 에너지 소비 등급 가시화의 방향 4. 기능중심의 조형을 따르는 기능적 방향 5. 디자인적 친밀감을 주는 조형적 방향 두 번째, 기존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5가지 개선방향 1. 계획적 공공디자인에 의한 디자인 방향 2.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영속적 방향 3. 자치단체 정체성 표현의 방향 4. 도시경관의 영속성을 위한 방향 5. 단순성과 결합성의 완성도 높은 디자인 방향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가 적용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방향이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조화롭게 존재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지침 및 관리자료를 마련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ough a survey on users, a solution to improve the designs for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green energy (green public facilities) which get more attention in Korea recently, and provide a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to emphasize the aspect of green energy.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has been getting important since the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was established and the Public Design Law was put forwarded and enacted on November, 2006. As a result, a public design guideline is enac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and country council. And 7 metropolitan councils including Seoul are utilizing the public design guideline as a basic i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public facilities and applying it in actual designing. This is deemed to be desirable since it is the element that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as a city and raises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guideline is not applied clearly or even not at all in green public facilities. Some public facilities have too decorative or metaphorical designs so that the designs look like simply one-off designs without consideration of harmony with city environment or even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n design. Our current level of design for public facilities in Korea is, in reality, inferior to that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cases are supporting the claims that the current design guideline for public facilities has some limit to be applied in green public facilitie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the kinds of green energies and the cases of green facilities in Korea, and finally summarized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mainly based on the citizens' opinions through an user surve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 with the energy polic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irst, five design directions specialized for the users of green public facilities 1. Generalization of utilizing green energy 2. Planification based on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3. Visualization of energy consumption level 4. Functionality of architecture focusing on functions 5. Architectural intimacy in design Second, fiv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existing design guideline 1. Public design with a master plan 2. Lastingness in the maintenance aspect 3. Expression of local government identity 4. Consistency of city landscape 5. High perfection of design with simplicity and harmony Through this, the specialized design direction for green public facilities has its significance in drawing up an instruction and management manual for the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so that they may coexist harmoniously without spoiling the urban landscape.

      • 화훼식물을 적용한 도시공공디자인의 유형조사 및 분석

        김미란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이후, 한국의 지방자치제는 새로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각 지자체별로 지역의 상징을 부각하고, 브랜드화에 힘쓰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은 다양한 미래발전전략을 홍보하며 지역의 디자인정책을 세우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의 지역에서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라 설치된 화훼디자인을 조사하고 특히, 다양한 장소에 다양한 화훼식물을 적용한 관련 공공의 영역에서 개개인의 영역과 공존하는 것을 관찰하여 유익한 디자인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도시경관 및 이미지 개선에 필요한 화훼식물이 적용된 유형을 조사 분석하였다. 화훼적용 도시공공디자인의 유형은 화단, 플라워컨테이너, 입체조형물, 벽면으로 분류 하였으며, 총 55종의 식물이 연출되었다. 도시공공디자인의 화훼식물 적용에 관한 설문의 결과는 화훼디자인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가 78.25%, 모르고 있다는 응답자가 21.75% 이었다. 이어 실시한 화훼식물을 접목시킨 공공디자인의 조형물 인지도 설문조사의 결과는 긍정이 91.85%, 보통 7.2%, 부정 0.95%와 같았다. 또한 화훼식물이 적용된 공공디자인이 도시민에게 주는 느낌정도의 결과는 도심안의 서정적 이미지가52.9%, 시민들의 휴식공간이30.3%, 거주민의 심리적 안정감이16.45%, 이로움을 주지 않는다가 0.3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화훼식물을 적용한 도시공공디자인의 도시민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훼공공디자인이 발전하려면 시민들의 공감대와 사회적 구조의 변화, 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local govern system has been effective in 1991, the system has kept being developed. Each local government tries to symbolizing and brand its value. Moreover, they are more focused on future development related to design policy. Our research focuses on floral design in public space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Especially, we surveyed on patterns of urban public design which improved view and image of public spaces which share with personal spaces. Floral public urban design patterns are classified by flower garden, flower container, three dimensional artwork, and wall design. There are 55 kinds of flowers which were surveyed. One of our survey shows that 78.25% knows about floral design, 21.75% does not. Another survey on favoritism on floral design shows that 91.85% is positive about floral public design, 7.2% is in the middle, and 0.95% is negative. The survey on influence of floral design on urban citizens shows that lyrical image in cities is 52.9%, rest place is 30.3%, psychological stabilization is 16.45%, and no positive influence is 0.35%. In Conclusion, favoritism for floral design in urban public spaces is very positive. In order for floral public urban design to develop, it is required to share of idea of floral design among citizens, change of social structures, bring up experts in floral urban public design.

      •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카페공간의 화훼디자인 현황과 표현 :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카페를 중심으로

        이주영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Development of science has paved the way for 21stcentury with high technology and human beings have begun to broaden their field of interests to higher values. Concept of space also has changed from mere functional entity into one that provides brand new experiences and emotions as well as value added ofhigh quality. Therefore, value standard of consumer behavior has been transferred from rationality to sensibility and commercial space which has been sensitive to reflection of consumer desires are making efforts in different directions to satisfy emotional desires of customers. In this respect,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emotional design in today’s design industry with application of multi-emotional design, system design, environmental design, communication design, and floral design. Despite these effor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loral design in particular was comparatively insufficient in cafes, one of many commercial spaces even though floral design itself can be referred to as emotional design in that it is designed naturally based on emotional aspects. In respon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degree of overall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s through analysis of different kinds of emotional designs in cafe spaces and interior designs. Further, this study focuses on floral design, which hasn’t been applied sufficiently compared to other kinds of emotional designs. Research suggests that floral design hasn’t been popular like other kinds of emotional designs and this consequently implies that the floral design is the field of high potential in which more florists can participate. Finally,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floral design can be efficiently applied with lighting, both of which are elements of interior designs that are capable of expressing emotional designs, to display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in cafespaces. To florists, this is an implication that applying floral design in commercial spaces, where functions and emotions are equally important, should be encouraged. 21세기 정보사회는 과학의 발전으로 최첨단 네트워크시대를 열었고 인류는 인간의 더 높은 가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공간에 있어서도 막연한 기능적 공간을 벗어나 인간에게 새로운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는 질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감성의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소비행동의 가치기준이 이성에서 감성으로 옮겨지는 감성소비의 시대를 맞이하여 소비자의 욕구 반영에 민감한 상업공간은 소비자의 감성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분야의 디자인에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현대사회의 디자인분야에서는 감성디자인의 종류인 다감각디자인과 시스템디자인, 환경 및 자연보호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그리고 화훼디자인을 도입하여 감성디자인을 이끌어 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화훼디자인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에 사용되는 행위를 바탕으로 디자인 되며, 자연스럽게 정서적인 측면에 기반을 두게 되어 존재만으로도 감성디자인이라 할 수 있음에도 현재 상업공간의 한 부분인 카페공간의 화훼디자인이 현저히 미비하는 조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카페공간안에 감성디자인의 종류와 실내디자인 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의 전반적인 도입의 정도를 조사하고, 화훼디자인의 도입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다른 감성디자인의 종류에 비해 화훼디자인의 도입은 거의 되지 못한 상태이며 이는 화훼관련종사자들이 앞으로 더 진출할 수 있는 분야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디자인의 요소 중 감성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종류중 하나인 조명과 화훼디자인의 결합으로 카페공간의 기능적인 측면과 감성디자인의 측면을 동시에 전해줄 수 있는 화훼디자인의 표현을 함으로써 화훼관련종사자들에게 기능과 감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는 상업공간에 화훼디자인의 도입의 방법을 제안하도록 하였다.

      •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정민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에서 감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도 감성적 디자인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웹을 단순한 정보 습득의 목적 뿐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에 맞는 웹사이트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 구축 단계에서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개성과 감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적 측면에 접근하여 해당 브랜드만의 독창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성디자인 요소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여 감성요인과 브랜드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커피음료 중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로 한정하였다. 이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첫째, 브랜드 및 웹 인터페이스와 감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브랜드와 감성, 그리고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감성척도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본 연구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웹사이트만의 감성어휘를 도출하였다. 셋째, 조사의 표본이 될 5개의 브랜드 웹사이트를 선정하고, 1,2차의 설문조사를 거쳐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디자인 요소에 관한 실증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토대로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감성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캔·컵커피 브랜드 웹사이트에서 브랜드 선호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디자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의 구매 욕구 자극과 브랜드 웹사이트의 재방문 여부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 증가의 가장 큰 이유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두 집단 모두 디자인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같은 결과 내에서 일반인에 비해 전문가에서 디자인에 대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선호도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 요소는 색채로 조사되었다. 브랜드 선호도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은 이미 다른 연구결과에서도 검증된 사실이며, 본 논문의 웹사이트 감성디자인에서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감성디자인을 위한 방안으로서, 무엇보다 사용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감성에 접목한 다양한 디자인 계획을 세울 것을 제시한다. 소비자 및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그들의 감성은 브랜드 선호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웹사이트에서도 차별화된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감성적 측면에 접근하여 시대에 맞는 감성디자인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브랜드 웹사이트 디자인은 사이트의 목적과 컨텐츠 및 사용자의 욕구에 따른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As emotion is soared up as an important keyword in the modern society, emotional design begins to take important position even in web interface design. Users are utilizing web for the purpose to simply acquire information, as well as, for tools to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and are requiring those web sites suitable for one's own personality. Accordingly, designers should grasp what users want to satisfy user's personality and emotion from beginning stage to construct web site, and build a creative identity belonged only to the corresponding brand by approaching the emotional aspects of users based on it.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otional design elements in web interface design over brand preference, and cle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lements and brand preferenc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web sites for can, cup coffee brand among coffer beverages. To induce the result suitable for this purpose, first, we looked around brand and emotion, and their relation with design element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n brand, web interface and emotion. Second, we derived emotional vocabularies suitable only for concrete, systemic web site after looking around previous researches on emotional scale. Third, we selected 5 brand web sites to be samples for survey, and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for emotional design elements available to influence brand preference after the first, second questionnaires. We suggested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web interface emotional design to improve brand preference based on this result. We could sum up results of this research underwent these processes as followings. First,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brand preference among many elements in the web site for can, cup coffee brand, and it was proved to have direct effects for stimulating the purchasing desire of brand and revisiting of brand web site. Both ordinary people group and specialist group all concluded design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preference, and design group showed more high concentration on design than ordinary people group based on the same conclusion. Second, the design element to stimulate user's emotion was color for brand preference in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lor in brand preference was already verified in the result of other researches, and the same result was derived from the web site emotional design of this paper. Third, we suggested to establish various design plans grafted with user's emotion after looking around user's desire first as a plan for web interface emotional design to improve brand pre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lifestyle of consumer and user are changing fast, their emotion is directly connected with brand preference,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emotional design suitable for period by approaching the emotional aspects of users to strengthen differentiated brand power even in web site. Brand web site design needs design strategics in accordance with site's purpose, contents and user's desire, and we t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emotional design of web interface to back up it.

      • 호텔 연회에서의 화훼디자인 상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특 1급 C호텔을 중심으로

        김수연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은 이제 더 이상 호텔을 단순히 훌륭한 숙박시설이나 수준 있는 서비스와 음식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만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들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문화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의 개념으로 확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며, 호텔은 고객에게 다른 호텔이 줄 수 없는 감동이나 창의성을 제공해 주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현재 호텔 산업은 호텔의 수입을 객실에만 의존했던 과거와는 달리 식 음료 부분의 경영비율이 늘어나고 있으며, 식 음료 부분 중에서도 연회상품이 전체 매출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 호텔의 매출증대에 큰 효과가 있는 호텔연회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면서 각 호텔은 타 호텔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창의성과 새로운 감동을 제공하면서 호텔의 새로운 이미지 창출 효과까지 낼 수 있는 호텔연회 화훼장식에 대한 관심과 비중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1급 C 호텔의 2006년~2008년까지의 연회행사 사례를 배경으로 특급호텔 연회행사를 기업과 개인으로 나누어 연도별 연회 행사종류에 따른 화훼장식 비율과 화훼장식비용 및 행사 별 화훼디자인 상품간의 상관관계, 사용된 화훼 재료 분포 및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월별 화훼디자인 상품을 사용한 연회비율은 기업과 개인이 특별한 차이 없이 3월, 4월, 5월, 10월, 11월 그리고 12월의 행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연회비용에서 화훼 장식이 차지하는 비용 비율은 기업연회는 1~10%에 2006년 61.3%, 2007년 89.4% 그리고 2008년 90.1%로 나타났고, 개인연회는 1~10%가 2006년 58,4%, 2007년 45.9% 그리고 2008년 49.6%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연회에는 거의 없는 21~30%가 가족연회는 2006년 14.5%, 2007년 12.8% 그리고 2009년 11.8%로 나타났다. 호텔 화훼디자인 상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업행사에서는 테이블 센터피스와 코사지, 좌장사방화와 코사지가 95% 상관관계를 보이고, 포여 장식과 오브제 장식, 포여 장식과 꽃다발이 99%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송년회와 신년회에서는 테이블 센터피스와 코사지, 좌장사방화와 코사지, 좌장사방화와 테이블 센터피스, 좌장사방화와 오브제 장식, 오브제 장식과 포여 장식, 꽃다발과 코사지, 그리고 좌장사방화와 꽃다발이 99%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모든 화훼디자인 상품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회인 결혼식에서는 좌장사방화를 제외한 모든 화훼 디자인 상품이 99%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일파티는 좌장사방화와 코사지가 99%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사별 화훼 디자인 상품 비율을 보면 기업이벤트에서는 테이블 센터피스가 57.4%, 좌장사방화 31.2%, 코사지가 2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송년회와 신년회에서는 테이블 센터피스 40.4%, 좌장사방화 34.6%, 코사지 28.2%로 나타났고, 결혼식에서는 단상 87.1%, 테이블 센터피스 86.3% 꽃길 79.3%로 나타났으며 생일파티에서는 좌장사방화 60.5% , 테이블 센터피스 34.2%, 코사지 24.6%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화훼재료비율은 기업연회의 경우 꽃은 장미 75.3%, 리시안셔스 28.2%, 다알리아 27.8% 그리고 라넌큘러스 27.8%, 소재로는 유칼립투스 45.5%, 천리향 16.5%, 갈락스와 몬스테라는 16.5% 순으로 나타났다. Mass flower와 line flower, form flower와 mass flower는 95%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결혼식에서는 꽃은 장미 93.5%, 수국 88.8%, 리시안셔스 55.1%, 그리고 라넌큘러스 41.4%와 소재로는 스마일락스 87.9%, 몬스테라 55.1% 그리고 유칼립투스 47,7% 순으로 나타났으며 mass와 form flower는 99%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일파티의 경우 꽃은 장미 84.2%, 리시안셔스 51.6%, 다알리아 29.5% 그리고 카네이션 28.4% 소재는 유칼립투스 55.8%, 아이비 37.9% 그리고 몬스테라 24.2% 순으로 나타났으며 filler flower와 line flower는 99%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특급호텔 연회에서의 화훼디자인 상품의 개발 및 매뉴얼 화를 통하여 매출증대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Customers no longer recognize hotels as spaces for lodging, food and services, but hotels are now rather recognized as places, which provide different lifestyles and cultures. As a result, hotels now have to provide creative and memorable services and spac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and obtain advantages. Now, hotel industry is faced with great changes. Revenues of hotels used to be generated mostly from prices of rooms, but now portion of revenues which foods and drinks take up are getting much bigger. Especially, products related to feasts and banquets take up more portions of revenues than ever. Thus, floral design among products related to banquets are especially emphasized in hotel industry. As Hotels have realized that floral design are significant tools to provide customers with innovative and different services, Hotels are now beginning to allocate more interests and efforts in floral design field. This study investigates banquets from private and corporate customers from 2006 to 2008 period in C hotel. In each private and corporation sectors, this research further investigates correlation between proportion of floral decorations and kinds of banquets, price of decoration and kinds of decoration, and distribution of floral material used. According to Analysis, summary of results is listed below. Proportions of banquets that utilized floral ornamentations were similar in private and corporate customers in March, April, May, October, November and number of banquets in December was particularly large. Proportions of price related to floral ornamentation in overall banquet cost that lied in [1-10%] were 61.3% in 2006, 89.4%in 2007, and 90.1% for corporate banquets, and 58.4% in 2006, 45.9% in 2007, and 49.6% in 2008 for private banquets. [21-30%] portion almost did not exist for corporate banquets, but was 14.5% in 2006, 12.8% in 2007, and 11.8% in 2009 for family banquets.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floral decoration products showed 95% correlation between table centerpiece and corsage, head oval centerpiece and corsage, and 99% correlation between foyer decoration and objet decoration, foyer decoration and bouquet. In banquets for New Year and New Year’s Eve, all the floral products showed 99% correlation . between table centerpiece and corsage, head oval centerpiece and corsage, head oval centerpiece and table centerpiece, head oval centerpiece and objet decoration, objet decoration and foyer decoration, bouquet and corsage, head oval centerpiece and bouquet. Weddings, one of personal banquets, all floral products except head oval centerpiece showed 99% correlation and head oval centerpiece and corsage showed 99% correlation for birthday parties. Banquet products proportion showed table centerpiece 57.4%, head oval centerpiece 31.2%, corsage 23.3% for corporate events, table centerpiece 40.4%, head oval centerpiece 34.6%, corsage 28.2% for new year and new year eve’s parties, platform 87.1%, table centerpiece 86.3%, flower pathway 79.3% for weddings, and head oval centerpiece 60.5%, 4.2% table centerpiece, 24.6% corsage for birthday parties. Proportions of raw material used for corporate banquets showed rose spp 75.3%, eustoma grandflorum 28.2%, dahlia spp 27.8%, ranunculus asiaticus 27.8% for flower category, and those of foliage used showed eucalyptus radiate 45.5%, daphne odora 16.5%, galax and monstera deliciosa 16.5%. Mass flower and line flower, form flower and mass flower showed 95% correlation, proportions of flowers in weddings showed rose spp 93.5%, hydrangea macrophylla 88.8%, eustoma grandiflorum 55.1%, ranunculus asiaticus 41.4% and those of foliage used showed asparagus asparagoides 87.9%, monstera deliciosa 55.1% and eucalyptus radiate 47.7%. Mass and form flower showed 99% correlation. In birthday’s parties, results of proportions among flowers showed rose spp 84.2%, eustoma grandiforum 51.6%, dahlia spp 29.5%, dianthus caryohyllus 28.4%, and those among foliage showed eucalyptus radiate 55.8%, hedera helix 37.9%, monstera deliciosa 24.2%. Filler flower and line flower showed 99% correlation. Applying results above would help development of floral design products and manualization for various hotel banquets, consequently contributing to increase in revenue.

      • 실내 공공공간의 화훼디자인 연출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내 시청, 구청,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오은주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경제 발전과 함께 우리 삶의 질이 많이 개선되었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수준도 많이 상향하게 되었다. 이에 식물을 이용한 건강유지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도와 관심이 개인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을 비롯한 사회에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건축물 내 서비스 공간에 연출된 화훼디자인의 유형과 그 식물소재 및 첨경물을 조사하고 공간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추후 공공기관의 구조와 특성에 맞는 기능성 실내 화훼디자인의 연출에 필요한 자료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기관별로 실내에 연출된 화훼디자인의 유형을 살펴보면 실내 공공공간에 연출된 화훼디자인의 종류에서는 분화연출이 시청, 구청, 문화시설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정원이 꽃꽂이보다 많이 연출 되어 있었다. 실내정원의 유형은 세 공간에서 모두 용기형이 많이 연출되어 있었다. 화훼디자인 연출에 사용된 식물 및 첨경물 조사에서는 총 170종의 식물이 연출되어 있었으며 관화식물이 47종 20.1%, 다육식물 5종 1.1%, 수생·습생식물 4종 0.9%, 관과식물 9종으로 5.9%, 관엽식물 105종 72.0%이었다. 화훼디자인의 유형별로 사용된 식물로 꽃꽂이에 사용된 식물은 총 34종으로 소국 10.9%, 장미와 몬스테라 9.1%, 루모라 5.5%, 거베라 3.6% 순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며, 실내정원은 총 131종으로 관음죽 3.8%, 남천 3.0%, 아라우카리아와 아이비 2.5%, 산호수와 테이블야자 2.3%, 스파티필룸, 안수리움, 백량금, 스킨답서스, 행복나무가 2.0%이었다. 분화연출에 사용 된 식물은 실내정원에 사용된 식물과 매우 유사하였다. 화훼디자인 연출에 사용된 첨경물은 세 공간에서 모두 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경요소, 고목, 전등 등 다양한 첨경물이 사용되고 있었다. 화훼디자인의 연출에 대한 설문에서 화훼디자인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46.4%, 모르고 있다는 응답자는 53.6%이었으며 화훼디자인의 종류에 대해 실내정원, 꽃꽂이, 화훼조형물, 분화연출, 화단연출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훼디자인의 연출 수준에 대해서는 시청과 구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시설은 보통이라고 나타났다. 연출수준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 식물이 부족하다는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별히 관화식물의 부족이 연출 수준이 저하 된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화훼디자인의 개선사항에 대해서 시청과 구청, 문화시설에서는 각각 관화식물의 식재, 첨경물의 조화, 공간과의 조화가 높게 나타났다. 화훼디자인이 공간 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해서 시청, 구청, 문화시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각각의 공간 모두 심리적 안정감, 시각적 아름다움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공공공간에 연출된 화훼디자인은 디자인의 형태, 이용되는 식물의 종류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고, 연출 수준 및 개선사항에 차이를 보였다. 특별히 문화시설의 연출 수준은 다른 곳보다 낮아서 더욱더 화훼디자인을 적극 활용한 쾌적하고 만족감을 높여주는 공간연출이 요구 되었으며 또한 화훼디자인의 공간 연출로 이용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시각적 아름다움을 높일 수 있고, 공간의 이미지 개선에 효과가 있으므로 보다 많은 공공공간에서 적극적인 화훼디자인의 연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Our life quality alongside economic development over decades has been improved a lot and our lifestyle has resulted in dimensional change. As a result a widespread care and requirement for human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ccompanying with plant species comes into play both on individuals and on the horizon of society. This paper explores the types and materials of Floral and Plant Design demonstration within the service space of a public institution's building. And this is sought by making questionnaire available to all users to provide the public institution with significant data for functional design of indoor Floral and Plant Design demonstration afterwards as adequately as possible for their structure and nature. Firstly, the most types of Floral and Plant Design demonstration discovered in the City Hall, District Office and Cultural Facilities are pot plant demonstration type, while indoor garden is moderate in number with flower arrangement small. The types of indoor garden by different buildings are split as flower bed, container and raised bed types, in which the container type prevails in the City Hall, District Office and Cultural Facilities. Secondly, the findings of survey on ornamental plants and ingredient used in demonstration indicate total 170 kinds, viz. 47 flowering plants at 20.1%, 5 succulent plants at 1.1%, 4 hydrophyte·hydrophte at 0.9%, 9 fruit plants at 5.9% and finally 105 foliage plants at 72.0%. The ornamental plants used for flower arrangement number total 34 kinds, viz. Chrysanthemum at 10.9%, Rose and Swiss-cheess plant at 9.1%, Leather fern at 5.5% and Gerbera at 3.6%. Indoor garden gives the total figure of 131 kinds, the breakdown of which is Bamnoo palm at 3.8%, Anadin at 3.0%, Norfolk Island pine and English ivy at 2.5%, Ardisia Pusilla and Parlor palm at 2.3% and Peace lily and Flamingo lily, Coralberry and Pothos at 2.0%. The ornamental plants used for pot plant demonstration have many similarity as in the indoor garden. The ingredient predominantly used in the three indoor public spaces are stone, followed by waterscape, old tree and lamp. Thirdly, those who respond with affirmative answer to Floral and Plant Design are 53.6%, cognizant of the type as indoor garden, flower arrangement, solid sculpture, pot plant demonstration and flower bed demonstration in an orderly manner next to each other. On the level degree the Floral and Plant Design demonstration undertakes is rated high but relatively low at the Cultural Facilities, when compared to the City Hall and District Office. The reason for that is mainly due to inadequate number of flowering plants there. Recommendation is given commonly to the three locations. Some harmony brimming with a particular quality among flowering plants, ingredients and stability is called for throughout the locations. Contributions coming from Floral and Plant Design to enhancement of space image are highly considered in the three situations, exercising beneficial effects on individual in terms of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visual beauties. In conclusion, there are no particular differences in types and kinds of ornamental plants in use but somewhat lag in the performance level and improvement factors. Of particular is the Cultural Facilities where rather comfortable and complementary space demonstration would be met with Floral and Plant Design. Also it would encourage psychological stability, visual beauties and enhancement of space image. Therefore, it would be need that demonstration of Floral and Plant Design positively in indoor public space more various.

      • 실내조경 디자인을 통한 선비사상의 표현

        김선중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경설계작품에 전통요소의 도입빈도수는 증가하고 있고 현대조경에 전통요소를 적용한다는 것이 창조적인 설계요소로서 풍부한 의미와 상징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김 1990). 우리의 오랜 역사 속에서 가장 오랜 기간 끊임없이 사회의 규범이자 인간상을 만들어 온 정신사상 중에 하나가 선비정신 혹은 선비사상이다. 물론 선비정신의 덕목들이 과거당시와는 시대적 상황이 다른 많이 다른 현대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지는 안는다. 이의 적지 않은 부분이 우리의 중요한 정신가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전세영, 2006). 본 연구는 실내조경 디자인에 있어 오랜 사회적 규범과 올바른 정신 가치의 기준이 되어온 선비사상을 디자인 소재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현대적 선비사상의 해석과 의미를 이해하고 선비사상을 상징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그 매개체로 문방제구를 디자인 소재로 삶았다. 계획 단계에서 선비들의 책상인 서안을 모티브로 식물 컨테이너를 개념화하고 벼루와 연적을 수공간으로 상징화하였으며 이어 붓통도 재식의 개념에 끌어들이려한다. 실내조경의 대상지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소재한 아동보육시설인 ‘광명보육원’내로 정하였다. 시설아동의 대부분은 여러 형태의 가족 해체에 의해 시설에 입소하게 된다. 실내조경 계획에 있어 사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 이용자가 될 아동들의 요구들을 수렴하고 이를 계획안에 적극 반영하였으며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조사·분석에서부터 시공과 평가에 이르기 까지 단계적인 수행 과정을 따랐다. 또한 설치에 아동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후 유지관리의 원예활동을 수행토록 하였다. 원예활동의 이점은 활동 중에 새로운 기술과 어휘를 습득하며, 자신이 속한 집단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집단 외의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이룩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하여 성취감과 자신감, 자기 존중감을 가지게 되며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서정근 외, 2004). 따라서 선비사상을 모티브로한 실내정원 디자인의 완성과 함께 식물과 원예활동의 긍정적인 이점을 시설아동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이다. 관람자를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작품 표현과 관련된 질문들 중 ‘선비사상의 표현’과 ‘전통 형태의 표현’등에서 관한 설문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참관자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가 용이했고 전시회 관람을 통해 선비사상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다고 대답한 결과(70%)로 볼 때 식물공간에 대한 디자인 전시지만 참관자들의 전통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힌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주 이용대상자들인 시설아동들에게도 이와 같은 이해의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Fig. 47). 본 연구 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많이 둔 부분은 주 이용자들인 시설아동들의 참여와 활동이었다. 계획 단계에서부터 설문을 통하여 그들의 요구와 선호 형태를 파악하고 이를 적극 디자인에 방영한 것도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도 밝혀 왔으나 선비사상의 전통성을 단지 디자인의 소재로 삶기 위한 시도가 아니라 그들에게 선비사상을 일깨워주고자 하는 기반으로써의 디자인을 의도한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는 만족스런 작품연구 였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계기로 전통문화의 이해를 단순한 고증이나 순서적 배열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가 살아있는 디자인의 시도와 개발이 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Recently, it has been increasing that traditional facts are introduced, as increasing the concern about Korea tradition. And it has plentiful meaning and symbolizing as the fact of design, that traditional facts apply to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Kim,1990). Through our own history, Korean Scholar spiritis one of the oldest which have been making the social can on and the human model constantly for a whale. For indoor landscape, this research conduct to deal with Korean scholar spirit, which is standard of social can on and of spirit values, as design material. Mun-bang-je-gu were dealt as design material so that symbolized Morden Korean scholar spirit. In stage of plan, plant container was made with motive through 'Seo-ahn' and water-space symbolized an inkstone and an ink water container. Structured that indoor landscape architecture at 'Gwang Myung Child care facility', Jangheung-Myun, Yanju-si, Kyungki-do. Most of children in that facilities were entranced disbanding their family. In analyzing stage, collected children's demands for indoor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user's research. And also their participation on garden work were encouraged. Therefore, there are two different purpose of this study. One is that design and create the indoor garden motivating with Korean scholar spirits. And the other is giving to children the benefits of plant it self and garden activities. Like this study,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s could not be satisfied with simple historical research or classification. Developing contents have to be preceded and design is tried constantly.

      • 화훼식물과 나무 소재를 이용한 Recycling 디자인의 표현

        임성옥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는 고도의 경제성장 및 사회발전으로 인한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도시집중화현상은 산업 활동 및 일상생활에서의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와 함께 성장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초래 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 문제는 대기 및 수질오염과 우리의 생활 한경을 위협하고 있다. 폐기물 문제가 산업 활동의 위축과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이르게 되었다. 본 작품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버려진 나무를 이용하여 디자인 하였고 기존 사물의 기능에 대해 재해석하여 새로운 기능의 부여로 다시 재사용하였다. 거칠고 가공되지 않은 송판을 네 개의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폐기물인 신문, 골판지, 부대종이를 이용하여 목재판 두께 사이를 메워 조화롭게 이용하였다. 시대적 변천으로 친환경 소재인 식물을 조형디자인 작품에 응용하였고, 재활용은 다시 재생 즉, 재탄생이므로 인간이 태어나서 어른이 되기까지의 성장과정을 뿌리, 줄기, 꽃, 열매로 나타내어 재해석하였다. 폐기물에서 재생에너지 자원 순환형 사회를 모티브로 현대화된 화훼디자인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4개의 작품을 연결하여 하나의 주제로 디자인 한 작품을 전시하고 작품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하였으며 본 작품이 만족도 조사는 대상자 120명 중 원예, 플라워디자인, 조경 등 전공 관련 분에서는 전공자 56%, 비전공자 44%로 나타났으며 화훼디자인으로서의 적합성은 매우 그렇다 41%, 그렇다가 47%, 보통이다 12%로 나타났고 뿌리, 줄기, 꽃, 열매의 정도에서는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53%, 보통이다 10%, 그렇지 않다 1%의결과로 나타났고 .식물소재와 표현의 적절도는 매우 그렇다 33%, 그렇다 61%, 보통이다 4%, 그렇지 않다 2%로 그렇다는 응답이 많았고 친환경 소재의 재활용으로 정서적 안정감, 심리적 위안, 휴식공간을 제공 하는가 질문에 대한 응답은 매우 그렇다 54%, 그렇다 39%, 보통이다 7%의 응답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Recycling 디자인을 통해 화훼재료와 Recycling 재료의 조형적인 요소에 맞추어 조화롭게 사용되었을 때 다양한 가능성이 창출되고 새로운 시도와 가치로 표현 하였다. 새로운 시도의 Recycling 디자인이 완성되었다. 기존의 Recycling에 대한 의미를 작품으로 표현하여 화훼조형의 새로운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