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대학교 음악학과 성악전공 Recital Program에 대한 고찰 : 일반적인 Recital Program 구성과 본교 Recital Program 구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박주성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은 국민대학교 대학원 과정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가지고 일반적인 연주 홀에서 올리는 귀국독창회 연주 프로그램과 다른 대학교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는 어떤 곡들을 연주했는지 도표로 정리하고 귀국독창회의 연주프로그램과 타 대학에서의 연주프로그램을 비교하여 국민대학교와 다른 연주에서는 어떤 작품을 선호하고 프로그램이 어떻게 더 짜임새 있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고찰을 담음으로 향후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리사이틀을 하는 후배들이 그동안 본교에서는 이런 곡들을 선곡해왔고 앞으로 어떻게 프로그램(Program)을 구성하면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 제언하며, 좋은 자료로 남기 위해 작성된 논문이다. 독창회를 열 때 레퍼토리의 선택은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것은 성악을 전공하는 모두에게 있어서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곡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본인이 좋아하는 곡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본인의 발성적인 역량을 고려하며 선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독창회는 한 명의 독창자가 1시간가량 되는 연주 시간 동안 혼자 이끌어가야 하고 연주자의 장점을 돋보일 수 있는 것이 최우선의 선택이기에 프로그램(Program)을 구성하는 것에 상당히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조건들에 대해 7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로는 현재 성악가 커리어(Career)의 시점에 따라 준비해야 하고, 두 번째로는 연주자의 기술(Technique)을 고려해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하며, 세 번째로는 이전에 연주한 연주 홀에서 어떻게 독창회를 열었고, 그때 어떤 곡을 가지고 연주했으며, 청중들의 반응이 어떠했는지 등을 점검하고 다양성을 위해 프로그램에 어떤 변화를 줄 것인지 등에 대해 고려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네 번째로는 듣는 청중의 음악적 성향과 청중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를 고려해야 하며, 다섯 번째로는 연주 장소(공연장)의 크기를 고려해야 하며, 여섯 번째로는 다양한 스타일의 연주를 구성해야 하는데 음악에서의 스타일은 작곡가마다, 언어마다, 음악사조마다, 기타 여러 면에서 등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마지막으로는 연주자가 음악과 문학 작품에 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권면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레퍼토리 구성하여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만드는 유형은 전통적인 프로그램과 특별 프로그램 2개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다.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음악사조의 흐름 순으로 배열하고 다양한 언어의 곡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음악 사조별 다양성과 언어의 다양성을 갖춘 능력을 보여줄 수 있고 연주자의 다양한 연구 배경을 보여줄 수 있는데 특히 학위를 마치고 갖는 데뷔 리사이틀은 이와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자신의 전문성을 청중들에게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특별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틀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기획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특별 프로그램은 레퍼토리 선택에 있어서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구성과 같이 연주자의 주관이 많이 들어갈 수 있기도 하고 곡의 구성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형이기도 하다. 최근엔 전통적인 프로그램과 다른 방법으로 학구적인 면모를 보여줄 수 있으며, 연구를 통해 해설과 강의를 하고 연주도 병행하는 해설이 있는 독창회(Lecture Recital)와 같은 연주도 행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2011년도부터 2020년도 이후 현재까지의 국민대학교의 모든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분석했다. 10년 치의 자료를 한꺼번에 정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서 2011 ~ 2016년도까지 1기, 2017 ~ 2018년도까지 2기, 2019 ~ 2020년도까지 3기 총 3개의 기간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분석에 대한 순서는 모두 같은 순서로 조사해 표로 제시했으며, 해당 학년도에 연주했던 명수와 총 곡의 개수를 제시했고 이후 시대별 및 작곡가별로 구별해 어느 음악사적 시대의 노래를 많이 선곡했고 어떤 작곡자들을 많이 선곡했는지 표를 통해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장르 및 언어별로 구분해 아리아와 예술가곡의 사용 비중이 어떤지, 또 어느 언어의 노래를 많이 선곡했는지를 정리해 도표로 제시했다. 이와 같은 순서로 세종문화회관과 예술의전당에서 연주한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분석했으며, 학위 리사이틀 특성상 전통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따른다는 조건에 맞춰 특별 프로그램이 제외된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따르는 귀국독창회를 위주로 분석해서 표로 제시했다. 제시된 내용은 시대별-장르별-언어권별 순서로 분류해 제시했으며, 다른 대학원에서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에서도 이와 동일한 순서로 분류해 도표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민대학교와 귀국독창회 그리고 다른 대학원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놓고 비교하고 분석하며 국민대학교의 현주소에 대한 고찰을 담고 본 연구를 작성하는 본인을 비롯해 향후 대학원 학생들의 연주를 위해 무슨 곡을 선호했고 또 어떻게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효과적인 학위 리사이틀이 될지 본 논문에서 나온 결과물을 바탕으로 고민하고 본인의 연구 업적에 수용할 수 있도록 표본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국민대학교는 지금까지 생각보다 다양한 언어와 일반적인 대학원에서 잘 하지 않는 언어 및 작곡가의 노래들을 사용해 독특한 레퍼토리들을 사용해서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노래들에 도전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무난하고 통상적으로 따르는 구성으로 연주를 진행한 다른 대학원 리사이틀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고 이 도전정신이 상당히 고무적임을 평가했다. 그러나 학사 규정에서 벗어나는 곡들이 존재하는 점과 귀국독창회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한쪽 시대에 편중되거나 한쪽 언어에 너무 편중되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국민대학교의 역사와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레퍼토리를 통한 프로그램의 관찰을 통하여 다양한 연구가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왔고 다른 연주프로그램과 비교해도 상당히 좋은 부분들이 많음을 돌아볼 수 있었다. 개인적인 아쉬움은 남지만 그래도 국민대학교의 리사이틀 프로그램이 생각보다 도전적이고 실험적이며 적극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다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성악이 더욱 발전하고 연구를 이어가는 모든 성악인은 클래식의 대중화를 목표로 자신의 레퍼토리를 더욱 짜임새 있게 구성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해 때와 상황에 맞는 연주로 또는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줄 수 있는 연주로 관중들 앞에 자신 있게 설 수 있기를 바라는 제언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 주제어 ] 국민대학교, 리사이틀, 프로그램, 레퍼토리, 성악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recital programs that were held at Kookmi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with the recital programs that were generally played at a public concert hall and also with the programs of other Universities. Summarizing what songs Kookmin University has played so far, compares the recital programs with other universities, and show the popularity of songs that were more often chosen and how the songs make the program more organized. Hoping that this could help the younger generation who will need to perform a recital program at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get help on selecting their repertoire by letting them know the history of the songs that were mainly performed at this school so far and also by making a suggestion on how to make a music program more effective and well organized. Sincerely wishing that this Thesis could be remembered and used someday as a great database. It is a well-known fact for everyone majoring vocal music that the choice of repertoire is very important when holding a solo concert. When you make the choice, you can normally choose your favorite song,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elect a song considering your vocal ability. In particular, a solo concert requires a lot of consideration when organizing a program because one solo artist has to lead for about an hour and it is most important to be able to stand out on stage. But in order to be able to do that, you should be caring and aware of 7 different things. First, the program has to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vocalist's current career, secondly the program must be prepared considering the capability of the performer’s vocal technique. Third, you have to check your latest performance, which repertoire you chose to perform and how was the result and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and e.t.c. Fourth, the audience's musical orientation and the audience'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usic should be considered, fifth, the size of the venue (performance hall) should be considered, and sixth, various styles of music should be chosen and performed, including a large range of different composers, languages, music trend, and other aspects.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performer should have interest in many music and literary work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terpiece you are going to perform. Recital programs can be created by considering such various factors. The types of recital programs could be explained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traditional programs and special programs. Traditional programs refer to programs arranged in order by the flow of music trends and by songs in various languages. Traditional programs can show the performer's ability to perform a large range of various music by it’s trend and language, and also show the performer's diverse research background, especially for people who are preparing a debut recital after finishing a degree is suitable for showing his expertise to the audience. Special programs have the advantage of reflecting more diverse planning intentions beyond the traditional program framework, and are also a type of program that allows a lot of subjectivity from the performer in repertoire selection and allows free access to the composition of the song. Recently, we could see performances named as "Lecture Recital," which provides explanations, lectures and music performing al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erformer’s research background. This sort of way is well recognised for it’s capability to show an academic aspect in a different way from various traditional program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ll recital programs of Kookmin University were analyzed from 2011 to 2020. Due to the difficulty in organizing a 10-year database all at once,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ne from 2011 to 2016, two from 2017 to 2018, and three from 2019 to 2020. The order of analysis was all surveyed and presented in the same order. First, the total number of songs played in each school year is presented, and after that, songs from what era were used and which composer’s songs were more commonly used is written and shown as a graph. Last of all, it was divided by genre and language, and presented in a chart to show how the proportion of aria and artistic songs were used, and which language songs were more popular to be selected. By the same order, the recital programs played at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nd the Seoul Arts Center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a table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programs, excluding special programs in line with the condition that recitals which are held for a spectacular degree follows the traditional program form. The presented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presented in the order of period, genre, and language, and recital programs that were held from other graduate schools were also classified in the same order and presented the same way. Through this, making it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cital programs of Kookmin University, and also with programs of other graduate schools to make it possible to revive and look-back what Kookmin University has been through so far. Hoping that writing this paper could help and present a sample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ing all the students including myself who needs to perform a recital program in the future which songs were mostly performed so far and show how a music program should be made in order to make a well-organized, effective program. This research process began to find out the history of Kookmin University and how to effectively organize recital programs, but through observation of many repertoire program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a decade, and there were many good parts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 programs that were held at a different place. I do have some personal regret, but I am glad to be able to confirm that recital programs that are performed in Kookmin University are being studied and performed with more challenging, experimental, and passionate atmosphere than I thought. Based on this study, I really do hope all vocalists who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perform vocal music further could organize their repertoires more systematically with the aim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and build various programs to confidently stand in front of the audience with performances tailored to the exact time and situation or something new. [ Keyword ] Kookmin University, Recital, Program, Repertoire, Vocal Music

      • 정책홍보 모형 및 정책홍보담당자 역할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국민과 정책홍보담당자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광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홍보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정책홍보담당자가 인식하는 홍보와 정책홍보의 대상이 되는 일반국민들이 생각하는 홍보가 다르기 때문에 전략 커뮤니케이션 목표인 홍보 효과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분석 대상은 그루닉과 헌트의 4가지 홍보모형과 PR에서 중시하고 있는 홍보담당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집단 간의 인식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활용해 양 집단 간의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행해졌던 단순한 객관적 인식을 넘어 상호지향성 개념을 도입해 인식을 입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런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까지 탐구해 보았다. 연구 결과, 모형별로 객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일반국민과 정책홍보담당자들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오해나 잘못된 판단을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이런 인식의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지속적 홍보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기존연구에서 정책홍보가 일방향적인 것에 치중한 것으로 밝혀졌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국민들이 정책홍보의 쌍방향적 특성을 어느 정도 인정한 것을 실증적으로 발견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한편 정책홍보담당자의 역할에 대한 분석에서도 양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최근 정부업무 평가에서 여론수렴, 정책홍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는데 이런 제도적 장치로 인해 정책홍보담당자들은 쌍방향적 특성이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생각하는 반면, 일반국민들은 아직도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일반국민의 경우 자신의 이해관계가 정책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하는 결과를 가지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욱 농후하다. 일반국민들은 정책홍보를 기업체 홍보와 비교하는 경향이 있고, 정책홍보 전 과정을 가지고 평가하나, 정책홍보담당자들은 과거 잘했던 홍보나 부서에 한정된 협의의 정책홍보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어 양 집단 간 인식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정책홍보는 홍보의 대상이 되는 정책뿐만 아니라 홍보방식 및 수준, 절차 등에 대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의 인식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tems from the doubt of whether promotion, a goal of strategy communication, is less effective because the PR perceived by the PR practitioners and that perceived by the general adults are different. The targets being analyzed are PR 4 models established by Grunig & Hunt and the PR practitioner’s role emphasized in the PR. By utilizing a coorientation model, recognition between group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a more profound way. This study surpasses the simple objective recognition used in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it has included a more profound analysis and devised a method to overcome the recognition gap. The study results show a difference in agreement, accuracy between models. This is estimated to result in negative effects due to misunderstanding and misjudgment that may occur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general adults and PR practitioners. Therefore, to decrease this recognition difference, two-way communication must be reinforced and continuous PR effort is needed. Bu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R is done through a one-way communication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has empirically proven that general adults have admitted PR to be a two-way communication. It has also shown in the analysis of PR practitioners’ roles the two groups’ recognition differences. Recently public opinion gathering and PR in the government role evaluation have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such institutional strategy, PR practitioners think there is a two-way communication while general adults think it is not enough. This is because general adults have a tendency to evaluate policies based on how much of their interest is included. General adults tend to compare the whole process of PR with that of corporate promotion while PR practitioners look at previous successful promotions or PR limited to their department, leading to a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two parties. In the future, PR policies should not only include the object of the policy but also include promotion approaches, levels and processes through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o lessen the recognition gap.

      •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 연구

        김에스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and empir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enrolled in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hich was conducted as an untact survey due to Coronavirus(COVID-19). The questionnaire was drawn up, using Naver Form, and it was set up so that the questionnaire could be submitted only if all questions were responded. As for the measuring tool, a scale on two area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was used, and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sisted of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and sub-factor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consisted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Software, and as concrete statistical techniques, frequency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First, as for the general tendency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was the highest, and as for the general tendency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at of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was the highest. Secon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r=.213, p<.01), between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r=.495, p<.01), and between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r=.185, p<.01).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of mastery approach with mastery avoidance (r=-.348, p<.01) and performance avoidance (r=-.242, p<.01).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sub-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633≤r≤.795, p<.01). It turne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r=.795, p<.01) was the highest.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md performance avoid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year, and genre).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while the mean of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e mean of mastery approach was the highest in seniors, the mean of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highest in juniors, and the mean of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was high in sophomores. The mean of other genres was the highest in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while the mean of the genre of ballet was the highest in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Fifth,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year, and genre). The mea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in all 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the mean of academic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and university-environmental adaptation was high in freshmen. In all area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e mean of other genres was the highest.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theoretical value that they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effective for the right university life adaptation by proposing the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focusing on sex, year, and gen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ance major.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preventing university life mal adaptation and dropout.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배경변인들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의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COVID-19(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비대면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모든 문항에 응답하는 경우에만 설문지제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의 두 가지 영역을 알아보는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성취목표지향성 하위요인으로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으로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 피어슨적률상관관계 분석, 다분량 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일반적 경향은 숙달접근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일반적 경향은 대학환경적응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들(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간의 관계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그리고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수행접근과 수행회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접근은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생활을 적응의 하위영역들(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 수행접근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에서는 4학년, 수행접근에서는 3학년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2학년 학생들의 경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에서 기타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에서는 발레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활 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이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에서는 1학년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기타장르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장르에 초점을 맞춰 개인의 성취목표성향과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대학생활 적응에 유효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이론적 가치가 있다. 또한 대학생활 부적응 및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중국 초등교사의 인식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비교연구

        하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중국 초등학교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원활한 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안후이성 소재의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일반교사 252명, 특수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7.0 통계프로그램으로 자료를 기술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 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각각 2명씩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 교육 인식차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통합교육의 장점 및 단점, 전문가적 자질, 철학적 문제, 지원적 문제에서 모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합 교육 인식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교직경력,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초등학교 일반교사는 특수교육 경험유무에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아동 교육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중국 초등학교 특수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하여 통합교육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to lay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support for smooth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and general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incumbent teachers (252 general teachers and 162 specia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Anhui Province, China, and data were descriptively analyzed with the SPSS 27.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two general teachers and two special teache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tegrated educatio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philosophical problems, and supportive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teach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eaching career, and degree of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hinese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s had a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education experience. Fourth, it was found that special teacher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with experience in training related t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integrated education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ho did not.

      • 자동 채색 기법의 일반화를 위한 연구

        이혜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Recently, by developing of deep neural networks, various data-driven image generation tasks have been studied. Specifically, CNN-based automatic colorization techniques which can be colorized without a user's hint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current automatic colorization techniques are limited to one domain and fail to colorize in out-of-distributions. In this paper, we study the generalization of automatic colorization model from two perspectives. First, we propose a novel automatic colorization technique to learn domain-invariant features with multi-source domains for successfully colorizing grayscales in unseen target domain. To solve domain shift issue, we first apply existing domain generalization (DG) techniques, which, however, produce less compelling desaturated images due to the network’s over-emphasize on learning domain-invariant contents (or shapes). Our experiments with publicly available PACS and Office-Home DG benchmarks confirm that our model is indeed able to produce perceptually reasonable colorized image. Further, we conduct a user study. Our model outperforms other models, and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However, when textured-free line art is applied in first proposed method, the model generates an incomplete image because it predicts only colors except grayscale. current automatic colorization methods can't colorize both the grayscale in which the texture exists and the line art in which the texture does not exist, so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colorize both gray image types to mitigate this proble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using LSUN and FFHQ datasets, we confir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ted color image outperforms the existing colorization model. 최근 깊은 신경망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기반의 이미지 생성 과업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 깊은 신경망 기반의 자동 채색 기법(automatic colorization)은 사용자의 힌트 없이도 채색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에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자동 채색 기법은 하나의 도메인에 한정되어 과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외의 도메인에서는 채색에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자동 채색 모델의 일반화를 연구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훈련 중 보지 못한 도메인을 채색하기 위해 다중 소스 도메인으로 도메인에 무관함을 학습하는 새로운 자동 채색 기법을 제안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현존하는 도메인 일반화(domain generalization) 기술들을 적용한다. 그러나 도메인에 불변하는 컨텐츠(또는 구조적 특징)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의 과도한 강조로 인해 채도가 낮은 결과가 야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일반화의 관점을 적용하였지만, 자동 채색을 위한 새로운 도메인 일반화 방법을 제안한다. PACS와 Office-Home 데이터 집합으로 실험하여 제안 모델이 실제로 인식적으로 그럴듯한 채색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또한 유저 스터디를 진행한 결과, 다른 모델들보다 좋은 성능을 내었으며 제안된 방법의 효과성을 입증한다. 그러나 첫 번째 제안 방법에 텍스쳐가 주어지지 않은 라인 아트를 입력으로 할 경우, 출력 채널은 회색조를 제외한 컬러만 예측하기 때문에 완전하지 않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현재까지 텍스쳐가 존재하는 회색조와 텍스쳐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 아트를 동시에 채색하는 모델은 존재하지 않아 개별적인 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색조와 라인 아트의 흑백 이미지를 동시에 채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LSUN과 FFHQ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성능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채색 모델보다 생성된 컬러 이미지의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한다.

      •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 문제와 보호방안 연구

        윤병율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북한·통일법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와 인권보장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 사례를 적시하여 현재 대한민국의 탈북자 관련 법률에 보완할 점은 없는지를 분석하였다. 탈북자들이 법의 흠결을 이유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거나 스스로 원하지 않는 삶을 강요당하는 불행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탈북자를 포용하는 우리 대한민국의 진정한 사회통합과 더 나아가 남북한의 평화통일 달성에 문제가 되는 규범적인 걸림돌을 제거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중국 등 제3국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탈북자 수는 조사에 따라 10만 명에서 40여만 명까지 추산되고 있다. 탈북자 중에서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현재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숫자는 이미 3만 여명을 넘어섰다. 이들의 존재는 흔히 ‘먼저 온 통일’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한반도의 통일이 현재 진행형임을 알려주는 중요한 징표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가 탈북자 중에서도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보호 및 정착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아직도 이들의 사회적응을 위해 법제도적으로 정비해야 할 문제는 많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헌법과 국적법이 탈북자의 국적과 관련하여 아무런 보호규정을 두지 않고 있음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을 비롯한 제3국을 떠돌고 있는 탈북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미비된 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탈북자의 국적문제와 함께 이들이 국내에 입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국적취득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파생적인 법률문제 등은 당장 탈북자의 인권문제로서 그 법적·제도적 해결방안의 검토는 궁극적으로 남북의 통합과 통일문제와도 연관되는 과제이다. 특히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를 논함에 앞서 먼저, 제2장에서 탈북자 보호의 법적 근거와 국적문제를 살펴보았다. 우선, 탈북자의 개념 및 유형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법적지위를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입장에서 분석한 후, 분단국가의 국적문제를 국적제도 일반론에 비추어 논하고, 탈북자의 국적문제를 언급하였다. 결국, 탈북자의 국적문제는 우리나라의 통일이 이루어지면 달라질 수 있는데, 통일 이전과 통일 이후가 매우 달라질 수 있는 분단국가의 특성 때문이다. 또한, 제3장에서 남북한 국적법 분석과 적용을 위하여 먼저, 북한의 국적법을 개관해 보았으며, 남한의 국적법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남북한의 국적법을 비교해보면, 남한과 북한의 국적법은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다. 다만, 북한 국적법이 국적이탈에 관해 허가주의를 이행하고, 국적의 취득 및 상실에 관련하여 일반적인 규정을 두고 있을 뿐, 해당 요건과 절차에 관해서는 상세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아울러, 북한의 국적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재중(在中)탈북자'의 법적보호 사례와 문제점을 '재중(在中)탈북자' ‘나씨’의 사례와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재중(在中)탈북자' ‘나씨’사례가 발전하면 흔히 ‘무국적 탈북자의 사례’로 변질될 수도 있음을 실무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재중(在中)탈북자'가 국적을 인정받는 절차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로 북한이탈주민법상의 보호결정에 의한 국적인정, 둘째로 국적법상 국적판정절차에 의한 국적확인, 셋째로 국적확인소송에 의한 국적인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에서도 대한민국 국적을 쉽게 인정받지 못하면, 외국인으로서 후천적 국적취득 방법인 귀화절차에 의하는 수밖에 없다. 더욱이 귀화절차 역시 법적요건이 까다로워서 '재중(在中)탈북자'가 쉽게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비록 험난한 과정을 거쳐 국내로 입국했으나 무국적 탈북자에 대한 현행 법률 등 제도의 미비로 인해 탈북자로서의 보호와 정착지원을 받지 못하고 외국인 보호수용소에 방치되고 있는 것이 무국적 탈북자들의 현실이다. 따라서 제5장에서는 '재중(在中)탈북자' 보호를 위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우선, '재중(在中)탈북자'의 법적지위의 문제점을 국내법적 지위의 문제점과 국제법적 지위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재중(在中)탈북자'의 국내법적 보호방안과 국제법적 보호방안으로 대별하여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향후 '재중(在中)탈북자'의 법적지위 보호와 지원과제에 관해서도 고찰하였다.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는 선행연구자들이 지적하였듯이 현행 법령상의 미비점에 기인하며, 당사자의 의사와는 달리 대법원은 엄격한 의미의 영토조항의 규범성을 유지하려는 의도에서 관련법령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재중(在中)탈북자'가 법적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현행 헌법상 통일관련 조항의 규범성을 쉽게 부정하지도 못하는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질적으로는 남북관계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의와 함께 북한의 국가성의 인정여부와 관련하여서도 대법원 판례는 일관성이 없다. 실제로 남북관계의 전례를 보면, 북한에 대한 국가승인을 부정하는 사례와 일부 국가성을 인정하는 사례가 중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북한주민의 법적 지위 인정문제는 현행헌법상 영토조항을 적용하여 북한지역을 대한민국의 영토로 보고, 이로부터 북한주민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지위를 인정하는 바탕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리하여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북한주민의 법적지위에 관한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의 불일치현상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헌법개정문제로 공론화하여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통일정책과 관련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개헌을 통하여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의 부조화 현상을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여야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현실적인 보호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정책적 개선방법을 찾는 노력과 함께 현행 국적법이나 북한이탈주민법에 북한주민의 국적에 관하여 명확한 근거규정을 두어 '재중(在中)탈북자'의 국적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 of nationa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and the issue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by analyzing whether there is any point that can complement the current North Korean defectors law. We want to reduce the misfortune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forced to live their lives because they are not recognized as a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or because they are deficient in law.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ultimate purpose of eliminating the normative obstacles that are the problem of the true social integ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achievement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number of overseas defectors who are staying in third countries such as China is estimated to be 100,000 to 400,000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entered the Republic of Korea and currently reside in Korea has already exceeded 30,000. Their existence is often referred to as "early completed unification" and is also an important indicator that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ongoing. Although our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regulated systematically for their social adjustment. In this regard, there is a problem that our Constitution and the Nationality Law do not provide any protection provisions regarding the nationality of defectors. In order to escape from North Korea and protect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wandering around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system that is lacking should be improved. In general, the issue of nationality of defectors and the derivative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ir acquisition of nationality in the process of their entry into the country are the human rights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mmediately, and the review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olutions will ultimately lead to the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In particular, before discussing the issue of nationa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we first examined the legal grounds and nationality of the defectors in Chapter 2 in the study. First, we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 of defectors.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 discussed the issue of nationality of the divided nation in light of the generalization of nationality system and mentioned the issue of nationality of defectors. As a result, the issue of nationality of defectors can be changed if the unification of Korea is achiev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nation that can be very different after the reunification. Also, in Chapter 3,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and applying the law of North Korean nationality, I have reviewed the nationality law of North Korea and examined the nationality law of South Korea. And comparing the nationality law of the two Koreas, the nationality law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not different in big frame. However, the North Korean Nationality law stipulates general rul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ermits, the acquisition and loss of nationality, and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We also analyzed whether North Korea's nationality could be recognized. In Chapter 4, we examined cases and problems of legal prote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focusing on cases and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analyzed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the case of 'Mr. Na' as a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may be transformed into 'case of stateless defectors'. The following are the procedures by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are granted their nationality. The first is recognition of nationality by the decision of protection under the current North Korean defectors support law, the second is the confirmation of the nationality by the nationality determination procedure under the nationality law, and the third is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ity by the nationality verification lawsuit. However, even in this procedure, if the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easily recognized, it is inevitable that the naturalization procedure, which is a method of acquiring a nationality as a foreigner. Moreover, naturalization procedures are also difficult because the legal requirements are so severe that North Korean defectors can not easily acquire their nationality. It is the reality of borderless North Korean defectors that they have been left in the foreigners' protection camps without receiving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s defectors due to the lack of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on stateless defectors. Therefore, in Chapter 5, I looked for problems and remedies for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First of all, we divided the problem of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s into problems of domestic legal status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legal status.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dividing them into domestic legal protection measures and international legal protection measures. Respectively, In addition, I examined the protection of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in the future and the issues of support. The issue of nationality of defectors in Korea is due to the lack of current legislation as pointed out by the previous researchers. Unlike the wills of the parties, the Supreme Court has mechanically applied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s of the strict territorial clauses(Constitution Article 3). There are many cases where legal protection is not properly received. However, there is a realistic limit that can not easily deny the normality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unification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In essence,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re inconsistent with regard to the legal nature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s nationality. Indeed, in the preced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here have been overlapping examples of denying the North's national approval and acknowledging some nationalities. However, the issue of recognizing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residents has been dealt with on the basis of recognizing North Korea as a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by applying territorial clause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recognizing the status of North Koreans as Korean citizens. Thus, the issue of nationa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will aris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constitutional norms and the constitutional reality concerning the legal status of the North Korean peopl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unification policy in order to publicize it as a constitutional amendment issue and draw national consensus. The constitutional norms and the constitutional reality must be solved more fundamentally through the amendment, but this is not an easy problem in real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ationa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a more realistic protection measures are to find ways to improve the policy, as well as to clarify the definite ground rules of the nationality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in the current nationality law. Key words: North Korea, defectors, people, nation, nationality, nationality law of North and South Korea, nationality of defectors, human rights of defectors, socialist state constitution, human rights abuses, defectors protection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력과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순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와 부모애착과 정서지능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4개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4개 대학의 대학생 452명(남학생 193명, 여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진로탐색행동 척도, 진로적응력 척도,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은 진로탐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이 완전매개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애착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확충하고, 진로적응력과 진로탐색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정서지능의 개입방안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parent attachment scal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cale,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452 students(male 193, female 259) from four capital-area universities and four non-capital-area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econdly, career adaptability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which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ich includes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ed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ourse where parent attachment affec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mprehensively verified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 also confirme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expan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an intervention pla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facilitate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a proposal for further studies.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곽아홍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합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정책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문제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문화적응 유형(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에 따른 분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가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총 246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척도(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 VIA), 대인관계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 유형별 차이검증을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유형 척도를 활용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적응 유형의 두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와 한국문화수용의 평균점 수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를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에서 통합유형이 전체의 30.5%로 비율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분리유형(29.3%), 주변화유형(28.0%), 동화유형(12.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으나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통합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력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유형, 분리유형 순이었으며, 주변화유형이 가장 낮았다. 통합유형과 동화유형이 주변화유형, 분리유형과 다른 특징은 한국문화수용 정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 주변화유형 순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낮은 유형은 분리였다. 통합유형의 특징은 분리유형, 주변화유형과 다르게 한국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므로 중국인 유학생의 전반적인 대학생활적응에서 한국문화수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적응의 하위요인인 한국문화수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한국문화수용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중국인 유학생의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수용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를 통해서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문화유지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대인관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한국문화적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확인시켰다. 다시 말해 한국문화로의 적응이 대인관계를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 중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으며, 문화적응의 이차원 모델을 적용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또한 문화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를 추가해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겠다. This study is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life adaptation policies for Chinese students by observ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hinese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types(integration,assimilations,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in Korea? Question 2. Can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nese student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Question 3. Do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 a media role in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6 Chinese students on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cultural adaptation, unary variable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media fun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rough the two main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type-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Korean cultural adaptation's average score, the research object is divided into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four types. In the study, the integration type accounted for 30.5%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separation type (29.3%), the marginalization type (28.0%), and the assimilation type (12.2%).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leading research,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ost of the leading research, the highest proportion of integration type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gration typ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gration type and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and the marginalization type show that Korean cultural adaptation i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tegration type is the type with the high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while the type with the low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is separation type. Integrative type and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difference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hinese students' comprehensi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Korean cultural adap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other sub-factor is the maintenance of Chinese culture, which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influence of Chines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just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Four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s a medi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and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That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can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indirectly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no media role in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ill redu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the largest propor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re of great significance. By using the dual model of cultural adapt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addition, the incre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ll be the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 부동산 전세매매가격비율 변동이 은행여신자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이림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Mortgage)로부터 시작된 2008년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한국에서도 부동산시장의 침체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이와 함께 지난 수년간 외적성장을 이룬 국내 시중은행들은 2008년 3분기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실물경기 침체, 부동산 PF대출 부실화, 부실우려 업종에 대한 기업구조조정 지속화 등의 영향으로 부실채권이 증가함에 따라 자산 건전성이 저하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글로벌 주택경기가 권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주택 경기는 장기 정체국면으로 인한 주택산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었다. 이에 따른 국내 주택경기의 하강주기에서 나타난 특징으로는 <주택가격 약세 전세가격 강세>기조, <주택 매매, 임대 간 시장 분할> 강화, <가계 및 건설 산업 디레버리징(Deleveraging)>진행, <대출을 통한 주택수요 창출 여력> 소진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수한 주택가격 대신 전세매매가격비율을 이용하여 은행여신자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주택매매가격의 하방 경직성으로 인하여 주택 시장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런 수급의 변화는 즉각적인 주택매매가격의 변화보다는 전세시장의 수급에 영향을 미쳐 주택전세가격의 변화를 먼저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택 시장의 수급 변화를 제대로 잡아내기 위하여 주택매매가격뿐만 아니라 전세 시장의 변화도 함께 고려하여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주택자금대출제도의 선진화 방안을 제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전세매매가격비율의 변동이 국내 일반은행 여신자산 건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국 7개의 시중은행과 6개의 지방은행을 표본으로 2000~2013년도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전세매매가격비율이 증가할 때와 하락할 때, 그리고 서브프라임 이전과 이후에 따라 전세매매가격비율이 은행여신자산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또한 전세가격 또는 매매가격의 상대적인 변화 정도 및 변화 방향과 은행 건전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석기간 동안 전세매매가격비율은 일반은행의 부실대출비율과 1%에서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전세매매가격비율이 증가하면 일반은행의 부실대출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추가적인 분석은 전세매매가격비율은 부동산가격 하락기의 은행 자산건전성 악화 폭이 부동산가격 상승기의 은행 자산건전성 개선 폭보다 크며, 서브프라임 이후 그리고 전세매매가격비율의 증가율이 증가할 때 은행의 여신자산 건전성은 더 악화됨을 보여준다. 또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거나, 전세가격 또는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은행의 여신자산 건전성은 완화됨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