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풍력발전기 나셀의 화재위험성 및 소화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정수빈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풍력발전기 나셀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해 화재위험성을 분석 하고 풍력발전기 나셀 화재방호대책 마련을 위해 적합한 소화성능을 평가하 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 운동과 정부 기조로 인해 풍력발전기 산업이 성장하 고 있으나 화재에 대한 위험도 커지고 있다. 풍력발전기에서 발생하는 화재 는 설치 위치의 특성상 사람이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 진압이 어려우며 사례를 파악한 결과 국내에서 발생한 풍력발전기 화재는 모두 전소하였다. 이에 풍력발전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과 FDS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위험성을 분석하였다. 풍력발전기는 국내법상 소방대상물이 아니어서 화재방호대책에 대한 기준 이 전무하다. 이에 나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조기에 소화하기 위한 설비를 제안하고 나셀 내부에 존재하는 발화원을 소화하는 실험을 통해 검 증하였다. 이후 소화설비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실제 나셀을 이용한 Testbed에서 나셀 화재를 모사하여 소화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소화설비 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력발전기 화재에 대해 국내외 법령과 기준을 분석하여 미비점 및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국내는 현재 풍력발전기의 화재방호에 대 한 성능기준이 미비한 실정으로 법령 및 기준 개정이 필요하다. 국외는 풍 력발전기에 화재방호대책을 권고 또는 규정하고 있어 이를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풍력발전기 화재안전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풍력발전기의 화재 분석을 위해 사례와 통계 등을 분석하여 풍력발 전기 화재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제안하였다. 국내외 통계 및 사례 분석 결 과 및 풍력발전기 화재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다양한 화원에 대한 적응성을 평가한 결과 FK-5-1-12 소화약제가 풍력발전기 화재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풍력발전기 나셀 화재의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해 풍력발전기 화재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국외 기준에 나타난 표준가연물을 선정해 화재 시뮬레 이션을 진행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해야 할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풍력발전기 나셀 화재의 조기 진압을 위해 단점을 개선한 화재방호대책으로 국소방출방식의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소 화장치를 제안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 전역방출방식 소화설비보다 우 수한 성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제안한 소화설비의 실증실험을 위해 풍력발전기 나셀 Testbed를 구축하여 실제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풍력발전기 나셀 화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소화설비를 풍력발전기 나셀 내부에서 화원을 감지하는 기술과 접 목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풍력발전기 나셀의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하며 피해 최소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보육교사의 안전역량이 안전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희정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55

        A daycare center is a space where infants and toddlers are cared for, and a comfortable and safe environment is essential. To this end, childcare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the daycare environment and quickly responding to emergencies that may arise unexpectedly, and thes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expertise in safety. Considering that teachers are the ones who prepare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in daycare centers, the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normal development and growth of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only crucial i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abilit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perform safe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level of individual childcare teacher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infants and toddlers in daycare centers affect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such a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afety guidance.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teacher sensitivity had a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urveyed 317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and AMOS 28.0 as follows. First,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targeted for the study and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questions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When equal variance of groups was not assum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verified using the Welch test with degrees of freedom adjusted. Nex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Las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entral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ensitivity.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studied, the proportion of teachers with safety accident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teachers without safety accident experience. In childcare settings, the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does not sufficiently lead to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safety accidents will continue to occur.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ldcare teachers' research and efforts are needed to lead to safety practice behavior a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differences in safety competency appear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In teacher sensitivity, infant class teachers had higher teacher sensitivity than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safety practice behavior, infant class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 than preschool teac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fety guidance practi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variables. The result emphasizes the need to create a safety culture in daycare centers by encouraging cooperation among teachers, sharing safety-related experiences, and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individual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sensitivity. Fourth,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by creating a safe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providing training and resources that can be used as more practical and practical tools to deliver effective safety guidance, we encourage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safety management and practice safety competency and sensitivity in the field. We need support to make it work. Fifth, the safety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safety practice behavior bu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eacher sensitivity, and teacher sensitivity is linked to safety competenc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afety. It was verified that guida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ractice and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significantly impact safety practice behavior.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safety competency and teacher sensitivity. To this end,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provide essential data on the need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programs to increase teacher sensitivity and establish policies for infant safety. * Keywords: safety competency, teacher sensitivity, safety practice behavior, childcare teacher 어린이집은 영유아를 보육하는 공간으로,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은 필수이 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환경을 준비하고 유지하며,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 급한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은 보육교사이며, 이러한 보육 교사에게는 안전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된다.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영유아 안전교육을 준비하는 주체가 바로 교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영유아의 정상적인 발달과 성장에 책임 이 있는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은 안전실천행동에 중요할 뿐만 아 니라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유아 교사들의 안전관리 능 력을 향상시키며 안전한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보육교사 개인의 안전역량 과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모 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보 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이 안전실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환경관리와 안전지도 등의 안전실천행동 관계에 있어 교사민감성이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 보육교사 317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처리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항의 내적 신뢰도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안전역량,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 수준 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의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은 경우, 자유도를 보정한 Welch 검정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을 살펴보기 위 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모형의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 인분석(CFA)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 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유 의성은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르면 안전사고 경험이 있 는 교사 비율이 안전사고 경험이 없는 교사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보 육현장에서는 안전사고의 경험이 안전실천행동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않 고,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여전히 발생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안 전실천행동이 적극적으로 이어지도록 보육교사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분석 결과 안전역 량에서는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민감성에서는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에 비해 교사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실천행동에서는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에 비해 환경관리 실천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지도 실천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 교사민감성, 안전실천행동 변인들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사들 간의 협력을 장려하고, 안전에 관한 경험을 공유하는 등 어린이집의 안전문화 조성의 필요와, 개별 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을 향상 시키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은 안전실천행동이 잘 이루어 지도록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안전 한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지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및 자원 제공하여 안전관리에 대한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안전역량과 민감성을 현장에서 실제로 발휘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안전역량은 안전실천행동에 직접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민감성의 매개를 통해서도 안전실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민감성은 안전역량과 환경관 리와 안전지도 등의 안전실천행동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사민감성이 안전실천행동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안전역량과 교 사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 육교사를 위한 안전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고, 교사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보급의 필요성과 영유아 안전을 위한 정책 마련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대형공사현장의 위험공정 분산을 위한 화재위험도평가 TOOL개발과 실증에 관한 연구

        서용구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55

        재해의 예방은 건축물이 사용되기 이전인 초기 계획에서부터 고려되어 피해를 줄이기 위한 Passive(건축)적인 측면과 Active(소방설비)적인 측면에서 상호 보완하며 설계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완공 이후 관계자에 의해 사용되면 기설치된 설비의 관리를 통해 그 성능을 유지하여 신뢰도를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재해의 발생은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건축물이 완공되기 이전인 공사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종류는 다양하고 특히 다른 재해에 비하여 인명피해의 발생비율이 높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경우 Psssive(건축)적인 요소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Active(소방설비)적인요소의 지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피해의 규모가 일반화재에 비하여 크다. 건설현장에서 재해발생을 줄이기 위한 대책은 안전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데 화재도 그중에 일부로 발생방지를 위한 규정이나 작업자들의 교육을 통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건축물이 완공되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공사가 진행되는 공사기간의 산정이 필요하며 국내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에따라 PERT/CPM 이론을 기본으로 하여 공사기간을 산정한다. 공사기간의 산정은 건설비용에도 많은 영향을 주게되어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 단축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일반화재에서 발생하는 인적·물적인 피해뿐 아니라 공사기간의 연장과 시공사의 기업이미지까지 실추하여 일반적인 화재피해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건설현장에 적용되는 화재예방을 위한 대책들은 공사일정을 고려하지 못하고 화기작업을 중점으로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전체 건축공정에서 화재발생 위험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화재위험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도구(TOOL)의 개발이 필요하다. 화재위험도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화재예방에 대한 규정을 국내 및 해외사례를 살펴보았고, 위험성 평가의 종류와 건설현장에서 화재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이상도 위험분석법(FMEA)을 활용하여 제안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위한 화재위험요소는 연소의 3요소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제어가 어려운 산소를 제외한 가연물과 점화원으로 구분하였고, 여기에 화재성장속도를 적용하여 화재발생 시 주변으로의 화재확산을 고려하였다. 또한 피난 안전성을 위험도평가요소에 포함하였으며 평가요소의 구분은 공간적 특성과 피난가능시간으로 나누어 평가값을 보다 더 정량화하도록 제시하였다.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의 구분은 KOSHA에서 제시한 건설업 공종별 위험성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작성된 9개의 공종과 각 각의 공종에서 진행하는 82개의 단위작업으로 구분하였고, 위험요소의 세부적인 적용을 위해 건설공사 세부공종을 A부터 Z까지 25가지로 나누고, 다시 세부공종의 단위작업을 87개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TOOL)를 이용하여 본인이 업무를 수행하였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증하였다. 전체공정을 기간별로 4단계 구간으로 선정하였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평가도구의 결과를 통하여 화재위험도를 공정전체에 거쳐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된 작업에서의 평가와 공정 중에 작업간 중첩되었을 때의 화재위험도를 평가하여 정량적인 값을 제시 위험도를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진행되는 다수의 공종과 작업의 화재위험도 평가를 개발한 도구(TOOL)를 통해 평가가 가능해 졌으며, 공정 수립 시 계획단계에서 화재로부터 안전한 공정수립 가능하도록 자료 및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 메디컬 트윈 프레임워크 기반 post-TAVR 합병증 예측 모델 연구

        현세민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TAVR) 후 발생하는 합병 증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사용 데이터(RWD) 기반의 메디컬 트윈 프 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합병증 예측하고 분 석한 결과를 TAVR 웹 네비게이터를 통해 예측 결과와 분석 내용, 피드백을 제공하여 post-TAVR 합병증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 치 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디컬 트윈 프레임워크는 4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병원에서 입 력한 환자의 eCRF를 포함한 데이터들을 RWD 레이어의 데이터베 이스에 저장하고, 메디컬 트윈 모델 레이어에 API를 통해 전달한 후 post-TAVR Navigator System에서 환자 DB와 예측 모델 결과 DB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메디컬 트윈 시뮬레이션 레이어에서 post-TAVR 합병증 예측 모델에 대한 개발을 수행한다. 이 때 API를 통해 연구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머신러닝 모 델을 통해 합병증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메디컬 트윈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의 post-TAVR Web Navigator에 제공한 다. post-TAVR Web Navigator는 환자의 기본 정보와 eCRF 정보 를 포함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 레이어에서 수행한 예측 모델에 대 한 분석 결과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결과에 대한 의사의 피드백을 통 해 예측 모델을 재학습하는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TAVR는 중증 대동맥판막 질환 환자를 위한 수술적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대안으로 도입되어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TAVR 후 발생하는 합병증은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post-TAVR 합병 중 인공심박조율기 이식(PPI)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은 인천 길병원에서 TAVR 시술을 받은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데이터 불균형을 처리하기 위 해 교차 검증과 SMOTE를 사용해 데이터의 수가 적고, 불균형한 레이블을 가진 데이터에서 어떤 방법이 더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지 비교하고, PPI 예측을 위해 머신러닝 모델 4가지(Logistic Reression,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를 사용하여 모델 학습을 진행했다. 그 결과 머신러닝 4가지 모델에 대한 정확도 와 성능지표, ROC, 변수 중요도 결과를 제시하였고 개인화된 예측 과 모델의 예측 결과를 해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LIME 알고리즘을 사용해 예측 모델이 예측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들과 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가상의 환자 한 명에 대 한 예측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RWD부터 합병증 예측과 웹 네비게이터 대시보드를 통한 결과 및 설명 제공, 피드백까지의 전 과정을 메디컬 트윈 프레임워크를 통해 제안하고 합병증 예측 모델에 대한 개발과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사가 TAVR 시술 전 진단 및 평가 과정에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결과를 예측하고, 환자의 개인 맞춤형 치료 설계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명품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BATBAATAR SOYOLMAA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명품 패션 브랜드는 오랜 역사와 전통과 함께 최고의 기술을 가진 장인이 만든 고품질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이 상품들로 고객 에게 지속적인 신뢰와 만족을 줄 수 있다(이카이준, 2019).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욕구 및 가치의 변화로 명품에 대한 소비가 확 대됨에 따라 최근 소비자들은 제품의 유형적인 가치보다는 브랜드의 상 징적인 가치를 선택하고 경험함으로써 자신을 표현하며 소비를 자신의 삶 속에서 중요한 의미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명품 소비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명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 다. 특히, 여러 기업들은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데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Aaker, 2004). 실제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고객충성도 형성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으며(Harris & Goode, 2004; He et al., 2012; Sääksjärvi & Samiee, 2011; Woodside & Walser, 2007), 이는 지속적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브랜드 아이 덴티티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마케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는 소비자의 충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일관성 있게 관리할 필 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조지선, 2012). 이 때, 기업(브랜드)의 특성 중에서 소비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아이덴티티 요소를 찾아내서 표현하는 것이 매우 종요하다 (Aaker et al., 2004). 또한, 소비자는 브랜드를 통해 자아표현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정 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이는 향후 브랜드에 대하여 강력한 충성도 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안광호 등, 2009). 이와 같은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는 1990년대 이후 마케팅 분야에 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소비자-브랜드간의 관계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애착(brand attachment)이나 사랑(brand love)은 브랜드 충성도를 지속적으로 유지 하고 발전시키는 핵심요인으로 밝혀졌다(Carroll & Ahuvia, 2006). 브랜드 애착이 형성된 소비자는 반복구매는 물론,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해 부정적인 정보가 형성될 경우 경쟁브랜드에 저항하는 등 적극적인 옹호행위를 보인다(심하진, 2020). 또한,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 해 기꺼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를 가지게 되며, 선호하는 브랜 드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구매를 유보하는 등 브랜드에 대한 적극 적인 충성행동을 취하게 된다(Park et al., 2008). 이처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소비자의 애착 및 충성도를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품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애착 및 브 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마케팅 수단으로써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소비자가 브랜 드에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22년 2월 15일부터 3월 30일까지 최근 1년 동안 명품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한 실 적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60명으로 부터 설문을 받아, 문항에 대하여 응답한 내용이 성실하지 않거나 기재 하지 않은 문항이 있거나 그 낸용이 부실하다고 판단되는 5부의 설문을 제외한 455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제품성, 희소성, 독창성이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제품성, 전통성, 독창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면에,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혁신성, 독특성은 브랜드 애착이나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모든 하위요인(제품성, 희 소성, 전통성, 혁신성, 독특성, 독창성)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부분적으 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하여 명품 브랜드 마케팅을 기획할 때 제품성, 희소성, 전통성, 혁신성, 독특성, 독창성 등 자신만의 아이덴티티 를 구축함으로써 타 브랜드와 차별화를 가질 수 있는 전력을 기획할 필요 성이 있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소비자들의 브랜드 애착과 충성도를 증가시 킴으로써 해당 명품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영란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39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영란 가천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박경빈) 본 연구는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를 만 4~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의 원리 는 어떠한가? 1-4.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5.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적용이 유아의 창 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적용이 유아의 창 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적용이 유아의 환 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에서는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효과 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기 초연구 분석인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고찰,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를 대상 으로 현장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한 프로그램 시안은 유아교육전문가 8인, 업사이클링 전문가 1인, 현장전문가 3인의 타당성의 검토를 2차례 거친 후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예비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의 원리,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포함한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융합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역량을 기르고,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문제상황 속에서 융합적 지식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창의적 인성 과정에서 소통, 협력, 배려를 한다.’, ‘창의적인 산출물을 완성하는 업사이클링 활동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한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내용은 환경문제 관심 갖기, 재활용품 탐색하기, 업사이클링 이해하기, 메이커 활동 즐기기의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교수·학습의 원리는 융합적 원리, 체험중심의 원리, 놀이중심의 원리, 공유의 원리, 협력의 원리로 구성하였다. 넷째,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과정, 교수 전략으로 구성되며, 교수·학습 과정은 PTMSI(문제인식, 팅커링, 만들기, 공유하기, 개선하기) 모형으로 재구성하였다. 다섯째, 평가는 유아평가(표준화 검사, 유아 관찰일지), 교사평가(교사저널)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인성,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H시에 위치한 B어린이집 만 4-5세와 L어린이집 만4~5세 2개의 학급의 유아 37명을 각 각 실험집단(18명), 통제집단(19명)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선영(2006)이 Treffinger(1989)의 창의적 문제해결 변인을 바탕으로 제작한 것을 공자영(2015), 백승선(2018)이 수정·보완하여 측정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창의적 인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Rimm(1993)의 PRID를 참고하고 이영, 김수연, 신혜원(2002)이 제작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검사(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s: RSCCP)평정척도를 조현정(2010)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경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수정하여 사용한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23년 7월 3일부터 2023년 9월 27일까지 1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미술활동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이 확보되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s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실험집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전체와 하위 변인인 아이디어 생성, 행위를 위한 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인성에서 실험집단이 창의적 인성의 전체와 하위 변인인 독특성-호기심, 개방성-유머, 민감성-다양한 흥미, 상상력-놀이성, 독립성-몰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친화적 태도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환경친화적 태도의 전체와 환경보존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작성한 유아 관찰일지와 교사의 저널과 통해 분석한 결과 유아, 교사 모두에게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의 원리,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었으며,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인성, 환경친화적 태도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관찰일지와 교사의 저널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아, 교사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인성,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을 도모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교육적 가치를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이커교육 기반 유아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이 창의·융합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유아의 역량증진과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의 함양을 위한 교육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효율적인 산업제어시스템 이상 탐지를 위한 시계열 클러스터링 기반 데이터 전처리 방법

        이민규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산업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더 정교화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학습시킨 이상 탐지 모델을 기반으로 공격을 탐지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제어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셋은 규모가 매우 커 일반적인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학습할 경우 효율적인 학습이 어렵고 다양한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축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나, 산업제어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클러스터링을 이용해 산업제어시스템 데이터셋을 전처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이상 탐지 모델링을 가능케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데이터 전처리, 시계열 클러스터링, 모델 훈련 및 평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실험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성능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WADI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시계열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학습 데이터셋을 모델링하고 성능을 평가하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시계열 클러스터링으로 인한 성능 하락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정밀도, 재현율, F1-score 성능에서 기존 연구에 비해 높은 성능이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 드라이브 IC 연동 해석을 통한 단상 BLDC 모터에 관한 연구

        이예서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기존 MWO 쿨링 팬 모터는 Shaded-Pole Induction Motor(SPIM)를 사용했다. SPIM은 가격이 저렴하여 저출력 어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속도 가변 제어가 불가능하여 하나의 운전 영역에서만 운전할 수 있어 속도에 따라 요구되는 토크가 다른 경우 각각 다른 모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팬 모터의 관리, 운영비용을 증가시킨다. 이에 대해 팬 모터에 높은 토크 밀도와 효율을 가지고 속도 가변 제어가 가능한 영구자석 전동기를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체적에서 낮은 출력과 낮은 원가 특성을 요구하는 MWO 쿨링 팬 모터에 단상 BLDC 모터를 적용하였다. 제한된 체적 내에서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R-Type, C-Type, 내전형, 외전형의 4가지 타입을 비교하였고, C-Type과 외전형 타입의 성능 특성 및 원가를 비교하여 외전형 단상 BLDC 모터를 제안하였다. 단상 BLDC 모터 설계 시 기동토크를 확보하기 위해 공극 비대칭 구조를 적용하였고, Full-Bridge Inverter(드라이브 IC)의 dead time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드라이브 IC를 연동한 설계를 진행하여 해석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프로토타입 모터를 제작하여 테스트하였고, 이를 통해 드라이브 IC 연동 해석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데이터 불균형 해소를 위한 메타학습 기반 위 병변 객체탐지 알고리즘 연구

        이은서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위장 질환, 특히 위암의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생존율과 치료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증상이 미미하거나 무증상일 때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그러나 내시경 전문의도 질환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인공지능을 내시경 영상과 통합함으로써 AI는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놓치는 경우를 줄이며 조기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연구들은 주로 질환 분류와 평균 정밀도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불균형하고 제한적인 의료 데이터를 데이터 증강과 같은 방법을 통해 평균 정밀도를 올린 방법에서의 신뢰성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델에 중립적인 메타러닝(MAML)을 도입하여 불균형하고 제한적인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기존 YOLO 모델의 AP가 41.7%로 낮으며, 이는 데이터 불균형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데이터 증강 방법은 65.2%의 적지만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제안된 YOLO-MR 모델은 96%라는 높은 mAP를 달성했다. 이는 기존 YOLO 모델과 비교하여 54.3% 높이며, 다른 질병 클래스 간의 평균 정밀도 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결했다. 이 연구는 MAML과 잔여 블록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이 의료 이미지 인식에서 데이터 불균형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의료분야의 보안으로 제한적이고 불균형한 의료 데이터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잠재력을 보여준다. The early detection and accurate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ncluding gastric cancer,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patient survival rates and treatment effectiveness. However, the diagnosis can be challenging in cases where symptoms are subtle or asymptomatic. Endoscopy is a commonly used diagnostic tool, but it requires a high level of expertise from specialists to accurately identify diseases. By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endoscopic images, AI can assist in the diagnosis process, reduce missed cases, enable early treatment, and ultimately improve patient survival rates.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disease classification and mAP(Mean Average Precision) improvement, but limited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ddressing the reliability of medical data, which often suffer from imbalances and limited availability. In this study, we propose a novel solution to tackle the challenge of imbalanced and sparse medical image data by introducing model-agnostic meta-learning (MAML) into the You Only Look Once (YOLO) model with meta-recognition (YOLO-MR).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nventional YOLO model achieves a low mAP of 41.7%,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ata imbalance. Although traditional data augmentation methods provide a modest improvement of 65.2%, our proposed YOLO-MR model achieves a remarkable mAP of 96%. This represents a 54.3% increase in mAP compared to the existing YOLO model, effectively reducing the mAP gap between different disease classes and addressing data imbalances. Our study showcases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techniques such as MAML and residual blocks in resolving data imbalances in medical image recognition. The findings hold considerable potential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limited and imbalanced medical data in the healthcare field. Furthe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these techniqu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mAP of disease diagnosis, ultimately benefiting patient outcomes. Keyword : Endoscopy, you only look once (YOLO), meta-learning, model-agnostic meta-learning (MAML), residual bl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