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크루즈 산업의 동향과 부두의 개발에 관한 연구

        김홍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343

        우리나라에서 크루즈 선을 위한 전용 항은 2000년대부터 건설되었다. 같은 시기 크루즈 부두가 발달하는 동안, 계획 및 구상단계에서 크루즈 시설의 미래예측 수요는 과다하게 평가되었다. 다시 말하면 과다하게 평가된 크루즈 시설의 예측 수요는 추후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항만시설과 비교하였을 때 과다한 건설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크루즈 시장의 발전과 미래에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크루즈 부두를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잘못된 수요예측의 이유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미래 수요를 예측할 수 있게 새로운 수요예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방향 제시와 함께 한국에서 부산, 인천, 제주 등 3개 주요 항의 미래 크루즈 시설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이들 3개항은 국내의 크루즈 산업의 장기 발전계획을 감안할 때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진 항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로운 크루즈 부두를 계획할 때 미래의 크루즈 선의 변화를 감안하여 고가의 크루즈 선박의 보다 안전한 접안방법도 제안하였다. Exclusive ports for harboring only cruise ships have started to be constructed in Korea since early 2000's. During this early stage of cruise port developments, however, future demand assessments for cruise facilities conducted at the planning and designing steps were over-estimated. In other words, this over-estimation leads to an excessive construction of the port facilities, compared with the regularly used afterw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of the erroneous demand assessm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for the developing global cruise markets and the actually used after construction. Thereby, a new demand assessment metho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predict future demand more realistically. This method was applied to assess the future cruise facility demands in the three major harbors in Korea, i.e. Busan, Incheon, and Jeju harbors. The applications revealed that the three ports have great potentials to grow up as home ports in the long term development plans of domestic cruise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changes of cruise ship shapes as well as safe landing skills for the expensive cruise ship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lanning a new cruise port.

      • 가치공학을 기반으로 한 테트라포드 거푸집 제작의 개선에 관한 연구

        백상화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43

        국 문 요 지 테트라포드(Tetrapod)는 입사파의 에너지를 소멸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 불록으로 해안 구조물에 폭넓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테트라포드 제작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스틸로 만들어진 4개의 거푸집을 등분배하여, 여러 번 걸쳐 설치되고 해체 되어져야 한다. 비록 제안된 기술은 현존하는 기술과 유사한 4개의 파트로 구성된 거푸집을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제작 방법과 다른 3개의 작은 분절이 모여 1개의 큰 상부 거푸집이 되며 바닥이 큰 거푸집이 이용된다. 새롭게 제안된 기술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더 작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 테트라포드를 생산할 수 있다.

      • 잔교식 안벽시설물 노후화에 대한 연구

        유승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에서는 잔교식 안벽 시설물에 대하여 연차별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통하여 발생된 손상의 변화, 노후화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안전등급에 따른 적절한 보수․보강방법 및 시기를 결정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보수․보강을 시행 할 경우에는 구조물에 발생한 또는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손상의 원인이나 손상의 예측 결과 등을 가지고 보수․보강방법을 선정하나 선정된 방법이 적절하지 않으면 기대한 결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오히려 변상을 촉진시키는 경우도 있다. 적절한 보수․보강방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손상 종류별 각종 보수․보강방법의 특징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결과 발생 손상별, 노후화 정도에 따른 보수․보강 시기를 결정하여 적절한 유지관리 시기를 선정 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Port Renewal 사업시기를 결정하여 노후된 항만시설의 기능 및 상태를 개선함과 동시에 장래 집행될 유지보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대형 케이슨의 효율적인 기계화 시공에 대한 연구

        김도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43

        산업의 발달로 인한 물류산업의 대형화로 인해 항만 물동량이 중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수출입 물동량의 90% 이상이 항만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점을 감안할 때 지진해일과 폭풍해일 등과 같은 해양외력에 견딜수 있는 항만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외 항만시설의 대형화, 고급화 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케이슨은 내구성 확보에 의한 품질향상과 경제성 확보를 위한 대형화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케이슨 제작 공법은 3천톤급인 해상기중기의 용량제한으로 인해 소형 케이슨 제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선진국의 항만공사에서는 대형 플로팅 독, 건선거, 임시 건선거 등에 의한 공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공법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슨 제작 및 운반 공법에 대한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이에 케이슨 다단계 제작 공법은 기존 공법에 의존한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품질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 측면까지 고려하였다. 대형 건설공사에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품질 개선 및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에 초점을 둔 보다 경쟁력 있는 공법이다. 다만, 이 공법에 필요로 하는 기계설비가 해외 제품에 의존하는비중이 크기 때문에 국내의 기술적 투자를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공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최근 기상변화에 따른 군 항만시설 개선방안

        김종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43

        우리나라의 근대적인 기상관측이 개시된 이후 약 100여년간 300여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태풍의 영향으로 지난 100여년간 사망 및 실종 6,005명, 재산 피해액 140,232억원이 발생하였다. 이 중 재산 피해액은 199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2100년에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인 연평균 3.1개에서 7개로 증가될 것이며 이로 인한 재산 피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 항만시설의 경우, 2003년 “태풍 매미(MAEMI)”와 2012년 태풍 “산바(SANBA)"의 내습으로 항만시설과 배후부지 건축물이 많은 피해를 입었으며, 태풍 피해 원인 분석결과, 고조시에 태풍이 내습하는 등 폭풍해일에 의한 월파로 인하여 건선거 갑문 이탈, 방파제의 TTP 이탈 및 소실, 주변도로 침식, 배후부지 건축물의 침수 피해 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에 의한 민간 및 군 항만시설의 피해사례를 종합하고, 피해 원인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태풍으로부터 군 항만시설의 피해 예방 및 최소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도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 도시지역의 침수방지를 위한 홍수방어 시스템 구축에관한 사례연구

        문종옥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43

        최근 이상호우로 인해 도심지에서 내배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도심지 내수배제는 주로 하수도 배수체계 및 빗물펌프장에 의존하고 있다. 증가된 홍수량에 대해 하도 및 배수시설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홍수량을 상류유역에서 분담시킨후 적정 홍수방어시설을 설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하류유역에 집중된 홍수관리방안의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소유역별로 분산화된 홍수방어대책 수립을 통해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는 하류 유역 배수시설 및 하수도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내수배제 불량 및 침수로 인한 홍수피해 잠재성을 경감시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상습침수지역으로 2011년 7월 26일 집중호우로 인해 인명피해 등 큰 수해피해를 입은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이에대한 유역현황, 하도현황 및 수해피해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수해원인 분석과 집중호우 당시의 강우특성분석을 통해 침수에 대한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XP-SWMM 모형 등을 이용하여 대상 소유역별 홍수량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정 홍수방어 시설물 검토 및 홍수 시나리오 재현을 통해 홍수피해방지 목표치인 100년빈도의 설계목표를 달성토록 계획하였다. 대상유역의 유역분담방식으로 하류(저지대)유역내 빗물펌프장 및 유수지 증설계획, 소규모 펌프장 신설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상류(고지대)유역에 빗물유도시설 및 고지배수로를 설치하여 상류 유역의 유수가 하류 유역으로 집중되지 않고 직접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방어를 위한 유역관리 방안의 제시 및 홍수재현 시나리오 구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제 재해위험지구에 유역분석후 소유역 구분을 통해 저감시설을 계획한 결과 유역 전체에 대한 치수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하류부에 집중설치하는 유역관리 방안보다 일관되고 체계적인 홍수방어계획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현재 서울시 강남역과 사당역 일대 침수방지대책 계획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방안으로 기존 도심지에 설치된 배수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하며 상류유역의 침수방지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이중원통형 케이슨 방파제의 수리특성

        이승섭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경제성, 안정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이중원통형 케이슨 방파제를 국내 최초로 울산신항 북방파제 1공구 대안설계(2008)에 적용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보고서를 인용하여 이중원통형 케이슨 방파제의 반사율과 전달율 등의 수리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주기, 조위 및 파고에 따라 이중원통형 케이슨의 반사율은 소파블록을 피복한 비교안과 유사하였으며 해수소통을 위한 후면벽 유공율에 따라 큰 차이의 반사율이 계측되었다. 전달율은 후면벽 유공율이 무공시 비교안 대비 가장 양호한 수리특성을 보여주었다. 이중원통형 케이슨 벽체에 미치는 파압의 분포형태는 전면유공율 25%, 후면유공율 0%인 모형으로 실험 분석결과 정수위의 입사파로 인한 전면벽 외측과 입사파랑이 곡면을 따라 합류 후 쇄파되는 후면벽 내측에서 파압이 가장 크게 작용됨을 확인하였다.

      • 임대형민자사업(BTL) 하수관거 정비공사 개선방안

        이효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27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라 오염물질의 발생량 또한 증가하면서 공공수역으로 유출되는 오염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하수도 시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임대형민자사업(BTL) 하수관거 정비공사는 2005년부터 시행되어 2008년 진천군의 준공을 시작으로 지자체별 순차적 준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에서 하수관거정비를 위해 꾸준히 공사를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행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에 당면하며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하수관거정비의 궁극적 목적인 오·우수 분리, 하수처리장 운영효율 증대, 방류수역 수질개선, 쾌적한 생활환경조성 등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한 채, 오히려 과도한 공사비 투입이나 도로침하, 배수불량 등의 부실시공 문제를 나타내는 지역들이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비기준 및 체계적인 시공관리방안에 대한 논의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임대형민자사업(BTL) 하수관거 정비공사 시공 시, 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 및 어려움을 실제 사례를 통해 검토하고, 그 해결방안 및 시공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논문의 범위가 되는 시공현장의 시방서, 설계도서, 공사검측서, 작업일보, 시공보고서 등 실무적 자료를 분석하고, 민원발생 현황자료 및 하수관거 정비공사 시공현장에서 시공을 담당한 현장대리인의 청문조사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현장의 개선 및 하자보수사례, 지방자치단체 협의 자료 등 실무적 자료와 문헌자료 및 해외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시공적 측면, 설계적 측면, 제도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각 문제점별로 적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조력발전에 따른 발전량 및 발전시간 비교

        이태훈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인근지역에 계획된 조력발전소에 대한 복조지식 발전에 대한 발전 단락시간 감소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에 사용된 제원은 현재 시공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 25.4MW급의 수차 발전기 제원을 이용하였으며, 석모도지역의 수심및 조위를 고려하여 낙조식 단류발전 발전방식, 창조식 단류발전과 복조지식 발전방식을 비교였다. 첫 번째로 석모도 인근해역에 대한 수심측량 자료와 조사된 자료와 조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2007년 1년간의 조위자료를 예측하여 0.2시간(12분)간격의 시계열 형태로 변환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간에 대한 발전량을 산정하여 1년간의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산정하여 건설비용과 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복조지식의 경우 건설단가는 다소 증가하나 발전시간에 있어서 단락되는 시간을 80%이상 감소시킬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waiting time for double-basin on a tidal power plant designed at the near of Ganghwado. The water turbine generator with the capacity of 25.4 MW was used to compare double-basin generation type with single-basin generation type (flood tide generation and ebb tide generation) while considering the water depth and tide in the vicinity of Sukmodo. First, we predicted the tidal level at Sukmodo for this year using the measured water depth and tidal data, and then transform that as a form of time series at 12 minute intervals. Next, we analyzed an generation capacity, genera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after calculating a power corresponding to each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it was found that double-basin generation type can reduce the waiting time by 80%, but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cost was increased a little.

      • 우리나라의 연안침식 현황 및 효율적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권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27

        연안침식 방지대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연안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연안침식의 원인과 국내에서의 침식현황을 검토하였다. 이후 연안침식의 대책방안으로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여러 공법들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국내에 적용된 연안침식방지 사업중에서 대표적인 사업인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사업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연안침식방지 근황을 파악한 후, 마직막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한 후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