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alanced Propofol Sedation vs. Propofol Monosedation in Therapeutic ERCP and EUS: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치료적 ERCP/EUS에서 단계적 프로포폴 수면과 프로포폴 단독 수면의 전향적 이중맹검 비교연구

        이태훈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Background/Aims: Prolonged or complex endoscopic procedures are frequently performed under deep sed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compared balanced propofol sedation (BPS) and propofol alone titrated to moderate levels of sedation in therapeutic ERCP or EUS. We designed this study to compare the sedation efficacy and safety of BPS and propofol monosedation in therapeutic ERCP and interventional EUS. Design and Setting: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in a tertiary-care referral center. Patients and Intervention: A total of 218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therapeutic ERCP or EUS were enroll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1. BPS (midazolam, fentanyl, and propofol) or propofol monosedation titrated to a moderate level of sedation by trained registered nurses was performed under endoscopist supervision. Main Outcome Measurement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compare sedation efficacy. Secondary outcomes included sedation safety, procedure outcomes,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dation efficacy, safety, procedure outcomes and complications, with the exception of recovery time. Mean recovery time (standard deviation) was 18.37 (7.86) minutes in BPS group and 13.4 (6.24) minutes in propofol monosedation group, respectively (P < .001). In a safety analysis, cardiopulmonary complication rates related to BPS and propofol monosedation were 7.8% (8/102) and 9.6% (10/104), respectively (P = .652). No patient required assisted ventilation or permanent termination of a procedure in either group. Technical success rates of endoscopic procedure were 96.3% and 97.2%, respectively (P = .701). Endoscopic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and outcome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sedation protocol. Conclusions: Propofol monosedation by trained, registered sedation nurses under supervision was an efficient and safe sedative method in therapeutic ERCP and EUS. It provided a rapid recovery time without differences in sedation efficacy, quality, and safety.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안전성 평가

        이태훈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존의 교량안전진단 방식은 변형률게이지와 가속도계 등의 센서를 부착하 고, 교량에 대한 정 동적 재하시험을 하여 그 결과 값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계측센서의 노이즈, 현장작업시의 문제점, 그리고 재하시험 시의 교통통제로 인한 교통체증유발 등의 문제로 인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대두 되는 교량안전진단 방법은 광섬유센서를 이용하여 교량의 거동계측을 수행하 는 것이다. 즉, 광섬유센서는 광섬유 자체의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센서에 가해진 물리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한가지 형태의 물리량만을 측정하는 기존의 전기저항식 센서에 비하여 적용 및 응용기법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량의 측정 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자체가 전송선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응용방법에 따라서 하나의 단일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부위에서의 측정이 가능하며, 전자기 간섭이나 온도와 같은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계측수단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의 거동이력자료 를 제공하여 현행 교량 안전진단의 주관적인 판단의존성을 보완하여 교량 건 전도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부터 구조물의 내구성향상과 수 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계측기법이 확립 된다면 상시계측시스템의 표준화 확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점검 대상 구조물 중 강합성 교량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광 섬유 센서를 이용하였다. 강합성 교량에 광섬유 변형률, 변위 센서를 부착하여 정적, 동적 재하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 이터를 구조해석 결과 값과 비교한 후 응답비를 산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Existing safety diagnosis method for a bridge is to carry out static and dynamic tests for a bridge with a FBG-STRAIN gauge and a FBG-ACC sensor attached and analyze measured data. However, many problems with this method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noises of measurement sensor, difficulties of field work, and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traffic control for the load test. Bridge behavior measurement using optic fiber is emerging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existing safety diagnosis method for a bridge. Unlike an electrical resistance sensor, exist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measuring a single physical quantity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various physical quantities, depending on application method, by using an optic fiber sensor, which measures physical quantity applied to the sensor, on the basis of physical changes of optic fiber. In addition, as optic fiber itself functions as a transmission cable, it is possible to measure in many sections with a single optic fiber,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 with no impacts from outside environment such a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temperature. Provision of bridge behavior history record based on optic fiber as a stable and precise measurement tool maximizes reliability of bridge soundness, by supporting dependence on subjective judgment of current bridge safety diagnosis method, and thereby enhances durability of a structure and extension of its lifespan. The establishment of optic fiber sensor-based bridge measurement method is expected to realize standardization of regular measur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used an optic fiber sensor to test for safety of a steel-composite bridge among the structures of initial inspection. Static and dynamic load tests for a steel-composite bridge with an FBG-STRAIN and a differential transformer were carried out, before structural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with response ratio being calculated to test for safety of a structure.

      •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이태훈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태권도학 전공 이태훈 본 연구는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SNS마케팅과 브랜드태도, 행동의도 사 이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룰 바탕으로 SNS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서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자가 태권도수련 의 향을 향상 시키고, 운동 욕구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며,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서 태권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대상은 태권도를 수련 하고있 는 고등학생과 태권도를 전공 하고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422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 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이중 응답과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는 본 연구에 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80부를 제외한 34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25와 PROCESS Macro v4.1(Hayes, 2017)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인게이지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인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은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브랜드태도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은 영 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은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게이지먼트가 브랜드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인게이지먼트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여섯째, 브랜드태도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일곱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 향 관계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인게이지먼트가 SNS마 케팅과 브랜드태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매개효과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태권도 미디어 콘텐츠의 SNS마케팅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인게이지먼트가 SNS마케팅 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매개효과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인 검증들이 나타났기 때문에 SNS의 미디어 콘텐 츠를 통해서 태권도 발전에 충분히 이바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태권도 발차기 기술의 발전, 태권도의 단순한 홍보에서 그치지 않고 변해가는 시 대에 걸맞게 충분히 태권도의 발전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SNS이기 때문에 충분히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불연속면 특성을 고려한 암반사면 변위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

        이태훈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토의 70%가 산악지대인 우리나라는 산업성장과 교통망확장 주거지 및 도심지 개발을 위해서 사면을 절취해 용지를 확보하고 새로운 영구사면을 형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생성되는 사면은 토사사면, 암반사면, 복합사면으로 나타나고 사면에 따라서 특성에 맞는 설계로 사면이 설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토사 및 암반의 분류에 따라 설계되는 방식보다는 획일화된 설계 방식으로 비탈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므로,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비탈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사 및 암석의 종류에 따른 물성치를 적용하여 해석하고 시공 및 유지관리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사한 방향성을 갖는 불연속면의 대규모 개발공사 현장에서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할 때 불연속면의 조사내용이 수치해석 적용에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고자 한다. 따라서, 정밀한 불연속면 조사를 통하여 수치해석 방법을 실시하고, 일반적으로 검토에 사용되는 모델에서의 수치해석 결과를 분석하여 각각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정밀지표지질조사와 평사투영해석을 수행한 후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암석의 공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해 유한요소법과 개별요소법으로 해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된 파괴 모형을 분석하여, 실제사면과 가장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신뢰성이 높은 해석방안을 찾고자 하며, 연구지역과 유사한 암반사면에 적용방안으로 제시하려 한다. Our nation, where the highlands cover seventy percent of the territory, shows increasing cases of which slopes are cut to secure sites and create new slopes, in order to develop urban and residential areas, to expand traffic network, and to achieve industrial growth. The created slop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oil slope, rock slope and complex slope. And the slopes need t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each characteristic. However, the slopes are being created with standardized design methodology, without consideration of soil or rock categor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more practical and stable slopes, it requires to apply material properties with consideration of soil or rock categorization, and further analyze, construct and maintain them. This study is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of researched data about discontinuities to application of numerical analysis when reviewing the slope's stability at large construction sites of discontinuity. Therefore, it has reviewed differences in numerically analyzed results that are obtained from precise inspections on discontinuities and general models for reviewing purposes. For this, it performed precise geological ground survey and stereographic projection analysis, and further performed indoor tests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finite element methods(FEM) and discrete element methods(DEM), whilst quantitatively calculating engineering properties of rock mass. In this study, it is to analyze the calculated fracture models, to find more trustful analysing methodology that shows the most similar shape to the real slope, and to suggest applicable methodologies to rock slopes that are similar to that of researched areas.

      • Struvite의 이화학적특성 변화를 이용한 돈분뇨 내 질소·인 회수기술 고도화 연구

        이태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국민들의 식생활이 변화하였고 그 결과 가축사육두수가 증가하였으며 처리해야할 가축분뇨의 발생량 또한 증가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가축분뇨는 퇴·액비화 과정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미흡한 처리를 통해 생산된 퇴·액비를 농경지에 살포하여 발생하는 민원문제와 우리나라 농경지 면적이 감소함에 따른 질소와 인의 양분집적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적절한 가축분뇨 처리 및 관리 방법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자원화 과정을 통해 생산된 퇴액비는 살포시기를 맞춰 처리되며 남은 양은 퇴비사 또는 액비 저장조에 저장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과정 중 저장공간의 수용능력 이상으로 액비를 생산하게 되며 계절에 따라 영양물질의 부하가 매우 가변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 처리시설 뿐 아니라 개별양돈농가 수준에서의 자원화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운영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었으며 처리공정 후단에 고도처리 공정을 설비하여 가축분뇨를 정화·방류 처리하려는 양돈농가가 증가하게 되었다. 가축분뇨의 정화·방류를 위해서는 처리공정으로 유입되는 유입수 내 유기물 및 총 질소(T-N)와 총 인(T-P)의 농도를 방류수수질기준에 만족할 수 있는 수준까지 낮춰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엄격해지고 있는 질소 방류수질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고도처리 공정의 설비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농가에서는 공간부족과 운영비 증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총 질소 중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는 주로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되고 있는데 높은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줄이기 위해 투입되는 공기 공급량과 처리 시간 및 외부탄소원 사용 등은 공정의 효율과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복잡한 공정 구성과 여러 가지 운전인자에 대한 공정 운영자의 높은 이해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공정운영에 있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돈분뇨 내 고농도로 존재하는 질소와 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단한 공정을 개발해 선처리한 후 생물학적 처리공정으로 유입한다면 생물학적 처리공정 규모를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비용의 고도처리공정의 증설로 인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공정 개발에 있어서 질소와 인의 동시 회수가 가능한 방법으로 알려진 Struvite 결정화 기술을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공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Struvite 결정화를 통한 폐수 및 하수 내 질소와 인의 회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상태이며 국내에서는 가축분뇨 내 고농도의 질소와 인과 같은 유용자원을 회수하기 위한 최적화 연구도 수행되었다. 나아가 Struvite 내 질소를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해 제거 후 회수된 물질을 폐수 및 가축분뇨에 재투입하여 질소 및 인 회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가축분뇨 내 O-P를 기준으로 하여 운전되는 struvite 회수공정의 특성상 NH4-N 제거의 최대효율을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가축분뇨로부터의 인 회수와 정화처리 측면에서 질소제거 효율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truivte로부터 질소를 해리시킨 후 마그네슘과 인산염의 공급원으로 재사용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로부터 회수된 struvite로부터 질소만을 선택적으로 해리시키는 인자들과 적정 운전 방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질소가 해리된 회수물질을 재이용할 시 질소제거효율 증진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Struvite의 생산을 위해 선행 연구된 Strvuite 최적회수조건을 적용한 회수공정을 이용하였다. 실험변수로 (1)pH(6, 8, 10), (2)가열온도(65, 75, 85, 100°C), (3)Struvite 투입비율(5, 10, 15, 20%)을 설정하였으며, 시간(0~120분)에 따른 서로 다른 변수를 적용하여 질소 해리 후 제거효율이 최대로 일어나는 조건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1) struvite를 증류수에 투입 후 60분 가열 시 pH 6, 8, 10 조건에서 질소제거율은 각각 45.7%, 58.8%, 99.3%로 pH 10에서 질소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pH 조건별 질소제거 후 생성물질의 XRD분석 결과 pH 6일 때 Newberyite(MgHPO4•3H2O), pH 8일 때 MgHPO4, pH10일 때 MgNaPO4로 나타났다. (2) 용액의 pH를 10으로 유지하고 120분 가열시 온도 65, 75, 85, 100°C일 때 질소제거율은 각각 26.5%, 68.5%, 98.7%, 98.3%로 나타나 85°C와 100°C에서의 질소제거율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용액 내 pH를 10으로 조절한 뒤 120분 동안 85°C를 유지한 상태에서 struvite투입비율 5, 10, 15, 20%로 변화를 준 결과 5, 10, 15%에서의 질소제거율은 90%로 높았으나 투입비율 20%의 경우에는 다른 조건보다 NH4-N가 해리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앞서 제시된 struvite 내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조건에서의 추가적인 aeration 영향을 비교한 결과 aeration에 의한 효율 증진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5) 질소를 제거한 회수물질을 돈분뇨에 투입한 결과 NH4-N 회수효율은 투입된 회수물질 내 인의 몰비율 대비 73.7% 로 나타났다. 또한, 회수물질 투입으로 인해 증가한 인을 회수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Mg을 투입한 결과 O-P기준 90% 정도가 재결정화를 통해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돈분뇨 내 암모니아성 질소제거율은 82.9%이었다. 돈분뇨에서 재회수된 물질의 XRD분석 결과 MgNH4PO4(MAP)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판단 할 때, 가축분뇨 정화처리시설에 struvite의 결정화 및 질소해리공정 적용 시, 가축분뇨 내 고농도의 질소가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유입되기 전에 처리되어 생물학적 처리공정으로의 질소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유용자원인 인의 회수 및 이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생물학적 처리공정 규모 축소, 질소 방류수질 충족(질소제거효율 증진), 인순환경제 체계 기반구축 등과 같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ntinuous release of ozone depleting compounds CFC-11 and CCl4 : Considerations based on atmospheric observations in East Asia : 동아시아 대기 관측에 기반한 오존파괴물질 CFC-11과 CCl4의 지속적인 배출에 대한 고찰

        이태훈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염화 플루오린화 탄소 (CFC-11; CFCl3)와 사염화 탄소 (CCl4)는 수 십 년의 체류시간을 가진 오래 잔류하는 오존파괴물질 (long-lived ozone-depleting substances) 이다. 이 두 물질은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전지구적으로 생산과 소비가 금지된 물질이며, 2010년 이래로 생산과 소비가 완전히 폐지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 (Montzka et al, 2018)에서 2012년 이래로 연간 13 ± 5 기가그램의 예측되지 않은 CFC-11 배출량을 밝혔다. 이러한 관측은 유엔 환경 계획 (UNEP)이 2010년 이후 CFC-11의 배출량을 0으로 보고한 것 과는 상반되며, 대기 관측에 기반하여 추정된 유럽과 미국의 CFC-11 배출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하와이 Mauna Loa station 에서 가을기간 대기 중 HCFC-22와 CFC-11 농도가 높을 때의 공기괴 자취를 보았을 때 아시아로부터 공기괴가 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동아시아에서의 CFC-11 배출량 증가를 제안하였다. 마찬가지로 CCl¬4도 2010년 이후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완전히 금지되었지만 최근의 연구 (Park et al, 2018)는 관측에 기반하여 산출된CCl4 ¬배출량이 2010년 이후 중국에서 보고된 통계자료에 기반한 CCl4 배출 추정량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Medusa GC-MSD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국 제주도 고산 관측소 (위도 33.293도, 경도 126.162도)에서 측정한 대기 중 CFC-11, CCl4 및 HCFC-22 (CHClF2;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농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제주도 고산에서 관측된 CFC-11 및 CCl4 의 대기 중 농도 분포는 관측 기간동안 지역 배경대기 농도보다 높은 오염 농도가 지속적으로 관측되었음을 보이고, 특히, 2013년 이후 오염 농도의 크기와 빈도가 오히려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CFC-11과 CCl4 의 오염 농도 배출 기원지 추정을 위한 분석 (potential source strength)에 따르면, 두 성분의 잠재적 공급원이 주로 중국 동부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국 동부를 중심으로 하는 두 성분의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중국 동부의 CFC-11 및 CCl4 의 추정된 배출량은 CFC-11 또는 CCl4 와 HCFC-22의 관측된 농도 증가분 (오염 이벤트에서 배경대기농도를 차감해준 값)의 경험적인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계산되었다. 2008년부터 2017년 사이 중국 동부에서의 HCFC-22 연간 배출량은 NAME-InTEM inverse model(배출량 추정을 위해 Bayesian inversion과 Lagrangian particle model인 NAME이 결합된 기술)에 의해 결정되었다. 중국 동부의 CFC-11 및 CCl4 배출량에 대한 우리의 추정치는 2013년 이전보다 2013년 오히려 증가하였음을 보이며, 이는 최근 제안된 두 성분의 전 세계 배출량 증가에 중국이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richlorofluoromethane (CFC-11; CFCl3) and carbon tetrachloride (CCl4) are long-lived ozone-depleting substances with residence time about several decades. These two substances were globally banned by the Montreal Protocol, a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completely abolished since 2010. However, a recent study (Montzka et al, 2018) revealed unpredicted CFC-11 emissions of 13 ± 5 gigagram per year since 2012. This observation is contrary to what UNEP reported as zero emissions of CFC-11 since 2010, and it suggested increased CFC-11 emissions from eastern Asia. Similarly, although CCl4 has also been completely banned by the Montreal Protocol in 2010, a recent study (Park et al, 2018) showed that top-down CCl4 emissions estimates were different from the emissions suggested based on reported statistic in China since 2010.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tmospheric CFC-11, CCl4, and HCFC-22 observation data taken at Gosan station on Jeju Island, Korea (33.293°N , 126.162° E) using Medusa GC-MSD system. The observations confirmed that the high pollution signals of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CFC-11 and CCl4 at Gosan station persisted and the magnitudes of the pollution have even increased since 2013. The CFC-11 and CCl4 emissions from eastern China were estimated based on empirical correlations between observed enhancements of CFC-11 or CCl4 versus HCFC-22. The annual emissions of HCFC-22 in eastern China from 2008 - 2017 were independently determined by NAME-InTEM (Technique combining Bayesian inversion with Lagrangian particle model NAME for emission). Our estimates of CFC-11 and CCl4 ¬emissions in eastern Chin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post-2013 compared to those in pre-201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