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완된 탈 막힘 기법 프로그램이 실어증자의 명명하기 개선에 미치는 효과

        황상심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word naming ability with two aphasic patients. Treatment items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60 concert nouns.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different from the Weigl's deblocking concept in that the modified deblocking used additional cues(deb1ockers) as well as primary deblockers which was phonemic stimulations. The seven additional cues included writing, reading, an open-ended sentence, description, line drawing, gesture, and repetition. A 52 year-old male patient with Broca's aphasa and a 45-year-old female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treatment session lasted for 1 hour and the treatment took place 4 times a week. Each subject was intervened 20 sessions. The treatment took place in their homes which were the most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the picture naming ability. Second,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picture naming ability to untreated words. Third,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general communication ability which was shown in the K-WAB test results.

      •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 연구

        황상심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결혼이주민가족 아동과 동일한 집단 내 통제집단아동과의 언어특성을 언어이해력,표현력 및 어휘이해력 측 면에서 살펴보고,다문화가정 집단 간 아동들의 언어특성 및 언어특성과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급속하게 늘고 있는 농촌 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일본,필리핀,베트남,태국 등의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 동 47명과 그 아동들의 어머니이며,생활연령과 동작성 지능지수 및 거주지역이 유사 한 통제집단아동 21명이었다.연구는 아동이나 어머니가 가장 편안해 하는 장소에서 연구자와 일대일 평가로 진행되었으며,어머니가 한국어 능력의 제한이 있는 경우 다 른 가족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통제집단 아동들보다 언어표현,언어이해 및 어휘이해력 비교에서 언어연령과 백분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다문화환경과 언어발달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에서 일관된 결론은 아니었으나 일 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결과는 이중언어환경이 아동들의 언어습득에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었다.본 연구에서 농촌지역 다문화집단 아동들을 통제집단과 비교에서 표 현,이해,어휘이해력 세 가지 모두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으며,그 중 약 30%는 약간 언어발달지체 또는 언어발달장애 집단에 해당하였다.이 것은 다문화가정이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으나,이러한 결과 에 대한 해석은 아동들의 연령,평가방법,언어발달장애와 언어발달차이 등 다양한 측 면에서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어머니의 출신나라에 따라 일본 다문화가정 집 단과 필리핀 다문화가정 집단으로 나누어서 언어발달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일본 다 문화가정 집단 아동들이 통합언어연령,수용 및 표현언어연령 측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백분율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어휘이해력과 언어이해 및 표 현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연령기준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는 것은 필리 핀 어머니들은 대부분 영어와 따갈로그의 이중언어 사용자이며,평균 결혼기간도 일 본 어머니 집단이 상대적으로 길어서 아동들과 언어적 상호작용과 언어입력에 긍정적 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또한 일본 아동들의 실제 평균 연령이 필리 핀 집단보다 약 6개월 정도 더 많은 것이 아동들의 언어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그러나 백분율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없다는 것은 실제 두 집단 간 언어평가 결과에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중 일본 어머니집단과 필리핀 어머니집단의 한국어 능력 을 비교해 본 결과 일본 어머니들이 어휘이해력,구문의미이해력 및 어휘 명명하기 에서 필리핀 어머니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한 국어와 일본어가 동일한 한자문화이어서 일본인 어머니들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고,결혼기간이 더 길어 한국어에 노출된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는 것에서 그 이유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특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표현언어,수용언어 및 어휘이해력과 높은 상관을 보인 변인은 아동들의 동작성?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어머니의 구문의미 이해력,어휘명명하기 능력 및 어휘이해력,아동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육경험,결 혼 기간 등이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아동과 가장 가까이서 상호작용하는 대 상이 어머니라고 볼 때 어머니들의 언어능력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 고,그와 유사하게 어머니의 결혼기간이 길어 한국어 능력이 나을수록 아동의 언어발 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았을 때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은 통제집단 아 동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나 이를 해석하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농 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 다.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and comparing a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Korean children in terms of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Forty-sev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serv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mothers had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from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Japan, Vietnam, etc. The majority of them came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o evaluate speech and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ur examination tools (Preschool Language Scale, Picture Vocabulary Test, and Naming test),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the "t" test procedure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peech and language performances between the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icture vocabulary compreh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countries mothers came from, the children with mothers from Japan showed statistically higher performances than children whose mothers came from the Philippines in terms of ag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ntiles. Third,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the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 showed a high correlation to children's verbal and non verbal intelligence, their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the exten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f children such as kindergarten, and parent's marriage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 are different, but analysis of the results also require the other various factors to be considered together.

      • 다문화현장에서 통역사 협력에 대한 연구

        황상심 남부대학교 문화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현장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역사 협력에 대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고 실제 통역사 협력에 대한 실제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다문화관련 대상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어치료사들이 응답한 내용을 분석하여 다문화현장에서 통역사 협력과 관련된 경험과 실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를 위해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인 정보, 다문화현장에서 통역사 협력 경험, 통역사 협력 실제에 살펴볼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분석과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문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통계프로그램은 SPSS 21.0을 통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현장에서 일하는 언어치료사의 이중언어 사용능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한국어 이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9.6%이었다. 둘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역사가 필요한 상황에 대하여 응답자의 52.3%는 ‘그렇다’고 답하였으며 부모상담 30.6%, 초기 면담 30.1%, 평가 19.4%, 치료 13.9% 순으로 통역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셋째, 언어치료사들은 60.7%가 다문화아동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언어차이로 인한 소통의 문제 경험하였으며, 부모상담과 초기 면담과정에서 소통의 문제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소통의 문제 해결은 아버지, 통역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장 높았다. 넷째, 언어치료사들의 22.2%가 최근 1년 간 통역사와 협력한 경험이 있었으며 활용한 통역사는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가 29.5%, 통역 어플리케이션 21.4%, 가족 및 친구 19.6%, 전문통역사 14.3%, 통역보조원 8% 등의 순서였다. 다섯째, 통역사 협력 과정에서 통역을 받은 언어에 베트남어 32%, 중국어 23%, 영어 9.8%, 타갈로그어와 일본어 각 7.4%, 캄보디아어 5.7% 등의 순으로 나타나 베트남어와 중국어로 가장 많은 번역 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의료, 치료 등의 여러 분야에서 다문화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서로 간에 소통이 필요하다. 최근 다문화아동 인구 중 중도입국 대상자가 늘어나고 있고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사용 언어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현장에서 통역사 협력에 대하여 진지하게 살펴볼 때가 되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