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교수실재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주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instructors and learners conduct classes in real time, not in the form of playing recorded videos as a means of e-learning education. The characteristic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s that an online lecture room is formed through media, so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classes are conducted. Non-face-to-face education has emerged as a countermeasure to face-to-face learning as it became impossibl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ince non- 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had to urgently cope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face-to-face education was impossible, there was a lack of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r satisfaction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ether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an be used even when face-to- face education is possible after the resolution of COVID-19. The factors to be dealt with mainly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need to be verified, and based on this, it is crucial to explore the aspects that affect learners' continuous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and empirically verifies whether teaching presence show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task values, stuent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task value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does the task value affect student engagement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Third,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does student engagement affect the intention to learning persistence? Fourth,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does student engagemen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ifth,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does teaching presence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o verify this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had experienced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and 350 sampl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5.0 and AMOS 25.0. The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deriv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c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engagemen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c effec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teaching presence had a strengthening and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organize so that learners feel valuable. Second, in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learning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i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a plan that can promote learning immers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Third, learners'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s strengthened when they feel a sense of teaching presence, so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nstructor's active teaching,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the necessity of expanding research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in a non-face-to-face real-time environment was suggested. 비대면 실시간 교육은 이러닝 교육의 한 방편으로써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는 형식이 아닌 실시간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형태의 교육환경이다.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특성은 매채를 통해 온라인 강의장이 구성되어 수업이 진행될 때 대면 교육의 장점을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비대면 교육은 COVID-19의 확산으로 대면 학습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처 방편으로 대두되었다. 비대면 실시간 교육은 대면 교육이 불가능한 환경에 급히 대처해야 했으므로 교육의 효과성이나 만족도에 대한 검증이 부족했다. 더욱이, COVID-19의 종식 이후, 대면교육이 가능한 시점에서도 비대면 실시간 교육이 활용될 수 있는지 학습자들의 사용의도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중심으로 다뤄져야 할 요인에 대한 검증과,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해당 환경에서 학습하는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교수실재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과제가치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몰입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매개하는가? 다섯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3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SPSS 25.0과 AMOS 25.0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 도출, 단순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가치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강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을 가치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할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서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학습지속의향의 촉진을 위해 비대면 실시간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몰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들은 교수실재감을 느낄 때 학습지속의향이 강화되므로, 교수자의 적극적인 교수학습전략과 학습환경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환경에서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인 검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와 방법론적 한계점을 바탕으로 비대면 실시간 환경의 학습지속의향 관련 연구의 확장 필요성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 변혁적 리더십이 일 몰입과 혁신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주성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예측 불가능한 팬데믹 상황과 제4차 산업혁명에 의한 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경영(Going concern)을 위해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개인과 조직의 혁신이 우선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블룸버그에서 발표한 Global 혁신 지수 2021에서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한 것은 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이 잘 수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조직생존을 위한 경쟁력은 혁신에 있으며(Jung & Avolio, 2000; Smith & Tushman, 2005), 조직의 혁신은 구성원들이 개인의 직무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활용하는 혁신과업행동이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혁신과업행동은 업무수행 및 과정을 변화시켜 업무성과의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에(Farr & Ford, 1990),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을 수행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어떻게 혁신과업행동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견해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국내에 위치한 중소제조업, 서비스업, 금융업, 정보통신업, 공공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일 몰입과 혁신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과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해당 가설은 채택되어 Afsar et al.(2014)의 연구와 동일하게 지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가설 2) ‘변혁적 리더십은 일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가설이 지지되어 Zhu et al,(2009)과 Ariadna Monje Amor et al.(2020)이 변혁적 리더십과 일 몰입 간의 영향관계와 동일하게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 3) ‘일 몰입은 혁신과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Isen & Daubman(1984)이 구성원들의 몰두에 대한 태도가 혁신과업행동을 촉진한다는 결과와 동일 하며, Dale Cornegi(2017)와 Hazelton(2014)이 일 몰입은 구성원의 일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으로 혁신과업행동을 강화한다는 주장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넷째, (가설 4)인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과업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 몰입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역할이 확인되었으며 Ariyani & Hidayati(2018)의 연구결과와 동일하게지지 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 5)인 변혁적 리더십과 일 몰입, 혁신과업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인 리더십을 경험하는 구성원들의 일 몰입의 향상은 혁신과업행동의 강화로 이어질 때 조직지원인식이 낮은 경우, 혁신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크고, 조직지원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변화의 정도가 작게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이 일 몰입과 혁신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져 조절된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일시점에 변인을 모든 것을 측정하는 횡단연구로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범위가 업종별, 국가별로 한정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확장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설문응답자의 40% 정도가 팀장급 이상인 점과 근무연수 10년 이상인 점 등은 응답 결과의 왜곡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조직효과성의 개선은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므로 해당 요인들과 본 연구에 대입하여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실질적으로 일 몰입이 높은 구성원은 개인의 성과를 추구하기 때문에 더 많은 프로세스 개선이나 창의적인 행동을 한다. 즉, 구성원이 조직이 개인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적게 인식할수록 구성원으로서의 일 몰입을 하고 혁신과업행동을 하는 것이다. 반면 조직지원인식이 높은 구성원은 조직, 동료로부터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하여 기존과 동일한 행동을 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태도를 지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원이 조직지원인식을 어떻게, 어떤 식으로 인지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조직의 관리자로서의 연구가 절실하다.

      • 익산 미륵사 가람배치의 고려시대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주성 京畿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rchitectural culture is maintained its life being changed cause of inner and outer factor as all the type of culture. Occasionally it respond to the change inertially or develop through the radical change from the wholehearted accept. By these processes the historical layers are accumulated. A micro-analysis to the understanding one layer can be possible in the prerequisite which the status qu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imes and region. And the analyses of many layers is for the macroscopic view from chasing progress of the change. So the examining an object from the viewpoint of continual change phase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ulti-layers and it makes up for the limitation of dichotomous dividision into ancient and middle age or that of discontinuous division in change and development. It is possible in the temple architecture to find the changed aspect of the time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The palace architecture is maintained reflecting the best culture and system for the class of the power as long as the country is running. But there are few the survived remains and the palace is built for the new idea in a new country's appearance. So it is difficult the palace architecture to be analyzed from the continuous view. The temple architecture is the place to be expressed the Buddhist culture. It is rare to move to another place from the original place so that it can accept the new change of the times. In addition to the Buddhist culture has so catholic for the change that the temple i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not only in architecture but also society and culture. Except the Joseon dynasty in changing the character of Buddhism radical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continuously the temple architectural culture in middle-age, Goryeo dynasty from the ancient. Seeing the excavated temple-sites in Goryeo, managed period is different in case by case. But generally the temples had been founded in United-Shilla or the late, and they were prospered in Goryeo period. There are a few temples founded in Goryeo or the late, and remained to Joseon period. The study on the arrangement of the temples in Goryeo has attended the characteristics in the change of the continuous running from the foundation. There are not many temples maintained to Goryeo period from foundation in ancient. The foundation of ancient temples had been leaded by nation, so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huge scale economically in the middle age that they could not help accepting the demands of change. For the needs of times the temples founded in ancient can be evolved to the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temples founded in middle age. These differences can be regarded as the historical multi-layers piled up from ancient to middle age. Mireuksa temple had been built in the late 7th century as the national temple, and it was maintained in Goryeo period. The king Moo(600~641) had made the temple, the records of erection remain in the Samgukyusa and Samguksagi. Mireuksa temple is the biggest among the temples in Baekje and it is very important temple for the study of ancient architecture such as Moreuksajiseoktap, the stone architecture, the structure of main hall and lecture hall.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for 17 years remains and relics had ben found, they showed the continuius running and diverse change in architecture and arrangement.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survey means that the late building-sites mainly had been made in Goryeo and Joseon period. The building-sites in Goryeo period is situated in the south, east and north-west area and concentratedly in the north area of the west part of the Mireuksa temple. The building-sites in Joseon period is situated the separate area on the north side. They were arranged in forming the courtyard and seemed to be the different composition from the earlier arrangement. But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Mireuksa temple tends to be fixed to the time of foundation. This is the cause of thought that Mireuksa temple had been maintained without change from the foundation. Also this is cause of not seeing the continuous change aspect before the moving to the north side in Joseon period. This study is for the understanding from the foundation to the extinction of Mireuksa temple. Especially the study is on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change by both inertia continued from Baekje and by accepting the needs of the times seeing the architectureal aspects in Goryeo, the longest period the Mireuksa temple had been running.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of Mireuksa temple in Baekje period can be estimated two.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west part in Mireuksa temple and the change of arrangement in entire area, the characteristics can be divided to early and late in Goryeo period. The west part, having been the area in Baekje, appeared the center area in Goreyo period. Mireuksa temple composed of three parts in Baekje period could not been maintained the foundation scale goning through the fall of country, artificial and natural disease. In spite of these changes the west part was maintained and took the role of the center of the temple area.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of the Mireuksa tepmple in and around the west part are as follows. First, the west part of Mireuksa temple was maintained continuously. The main hall and stone pagoda at the west part was maintained to Goryeo period. And it is expressed Maitreya thoughts as the center area during Goryeo period. Especially By the move of middle gate in Baekje period and corridors, it had the typicality of times and thoughts. Second, the axis of Mireuksa temple was changed in the center of the west part. Originally Mireuksa temple had been composed of three parts but in Goryeo period the east part was fallen into disuse and the middle part was reduced to lose the position as the center area. As a result the original three axes of the temple emphasizing on the middle part changed to on axis of the west part. Naturally the center of Mireuksa temple came to move to the west part. Third, the stone pagoda in the west part has the symbolic meaning as the center of the arrangement and change in Mireuksa temple. The pagoda is the important composition and is one of the goal foundation of temples and the centric el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in ancient temples. All the buildings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pagoda. Bu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the diversity of Buddhist doctrines let the layout of the temples designed in the center of the many halls accepting the diverse doctrines, not the pagoda emphasizing the hierarchy. In case of Mireuksa temple the stone pagoda in west part remained today has been the center in arrangement of buildings and design plan from ancient thtough middle age, Goryeo period, to Joseon period when the temple area was moved and reduced. The characteristics of Mireuksa temple reflecting the times can be resulted dividing into two periods, early and late Goryeo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euksa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is the formation of the Buddhist nunnery connected the sanctuary(Beopdang, 法堂) which accepted the inflow of new thoughts. As mentioned, the west part was maintained, that it is to say, the main hall and the stone pagoda was conserved and the lecture hall of Mireuksa temple in Baekje was maintained. By these things Mireuksa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was conserved the arrangement in ancient temple. This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the temples founded in early Goryeo period. Mireuksa temple accepted regional and periodical change. The area took possession of the west-north side of west part and west side of the lecture hall. Iksan province where Mireuksa temple is located was the central area of Buddhist thought in Later Baekje. In Later Baekje Zen Buddhism was flowed in the countries and this influnced to the powerful family in many provinces. Especially many religious orders of Zen Buddhism was so spreaded extensively in Jeolla-do province that Mireuksa temple in this period was influenced by them. It can be assumed the change of Mireuksa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through the record of 「Epitaph of Hygeo national teacher」(Hyegeoguksabimun, 惠居國師碑文). But this influence was be applied restrictedly to Mireuksa temple. Mireuksa temple seemed to be maintained still the center of Maitreya thoughts. Second, the change of Mireuksa temple in the late Goryeo period is the formation of new area by the change of the lecture hall conserved by early Goryeo. As a result Mireuksa temple came to be composed of divided sanctuary areas. The change of the plan type of the lecture hall and being into the sanctuary can be regarded 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ncient temple. Lecture and enshrining statue of the Budda were the main functions of the lecture hall originally. But in the late of Goryeo period, by the function of enshrinement lecture hall came to be the sanctuary. By this change lecture hall had the position of vice sanctuary responded to the main hall, the first sanctuary. Also it can be regarded as the trial to accept the various Buddhist doctrines. As mentioned, the west part of Mireuksa temple had been maintained expressing the Maitreya thoughts. The central areas were divided into the existing west part as the area of Maitreya thoughts and the sanctuary area accepting new denomination. This binary composition of areas is the characteristics of Mireuksa temple in late Goryeo period. It can be characteristics in the temples worshipping Maitreya similarly. But in Mireuksa temple the composition was made by the use of two axes in one area not the completely separated two areas. The temples without other Buddhist denomination such as Mireukdaewonji(彌勒大院址) at Jungwon and Gwanchoksa(灌燭寺) at Nonsan, represent the regular type of emphasizing the vertical axis. This is similar to Mireuksa temple. Mireuksa temple had admitted the inflow of the other religious denomination, but it seemed to stick to Maitreya thoughts by the late of Goryeo period. 모든 유형의 문화가 그렇듯이 건축문화 역시 그것의 생성과 소멸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내적․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면서 생명력을 유지한다. 때로는 관성적으로 대응하거나 때로는 적극적 수용에 따른 급진적 변화를 통하여 성장하면서 수많은 층위를 쌓아간다. 이러한 층위의 한 켜를 이해하고자 하는 미시적인 분석은 결과론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당시의 시대적․지역적 특성을 담고 있다는 전제를 통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역사적 층위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그 변화 양상의 추이를 따라가는 관점으로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대상을 중심으로 그 변화 양상을 연속선 상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노력은 여러 층으로 쌓인 역사적 층위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며 고대와 중세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거나 문화의 변화․발전 양상을 단절적으로 구분하는 관점의 한계를 보완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양상을 고대부터 근세까지 연속성 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유형은 사찰건축이라 할 수 있다. 궁궐건축의 경우도 당시 국가권력층의 문화와 최고의 제도(制度)를 반영하고 국가가 유지되는 한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유지되었을 것이지만 그 사례의 희소성과 새로운 국가가 형성되면서 조영되는 도성과 궁궐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연속선 상에서 해석하기 곤란하다. 사찰건축은 고대에서부터 근세까지 존재한 불교문화를 표현하는 장(場)이었으며 창건된 사찰은 완전히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 장소성을 유지하면서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특히 불교문화의 속성 자체가 변화에 대한 포용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비단 건축뿐이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문화에 대한 반영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성격이 급격히 변모되는 조선시대를 논외로 한다면 중세, 즉 고려시대의 사찰에 대한 이해는 고대부터 연속되는 사찰건축문화의 속성을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현재까지 발굴조사된 고려시대 사지의 경우를 보면 사찰의 경영 시기는 각기 다르지만 대개 통일신라시대나 통일신라시대 말에 초창되어 고려시대에 크게 번성한 경우가 가장 많고, 고려시대나 고려시대말에 창건된 후 조선시대의 유지가 남아있는 경우도 많다. 그간 고려시대 사찰의 배치에 관한 조사 연구는 사찰이 창건되어 지속적으로 경영되면서 변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들에 대하여 주목하여 왔다. 그러나 고대에 창건된 사찰이 고려시대까지 경영된 사례는 많지 않다. 국가 주도적으로 탄생한 고대 사찰이 지속적으로 거대한 사찰 규모를 유지한다는 것은 중세의 변화된 사회 속에서 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웠을 것이고 따라서 지역과 시대의 변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였을 것이고 이것이 고대 창건된 사찰이 고려시대까지 유지되면서 쌓이는 역사적 층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익산의 미륵사는 7세기 후반 백제의 국가 사찰로 조영되었으며 고려시대에도 사세를 유지한 대표적 사례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백제 무왕대(600~641)에 창건되었으며 『三國遺事』, 『三國史記』 등의 문헌에 창건연기와 조영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미륵사는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로서 3원 병렬형이라는 독특한 가람 배치, 현존하는 7세기 석조건축물인 미륵사지석탑, 금당과 강당 등 개별 건축지의 구조 등 고대건축 연구의 가장 중요한 대상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7년간이나 이루어진 발굴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구와 유물은 백제시대 창건 이후 미륵사가 지속적으로 경영되었으며 배치나 건축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발굴조사 결과 미륵사지의 후대 건물지는 대부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조영된 것이다. 고려시대의 건물지는 미륵사의 남편과 동편, 서북편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부분은 서원의 북편에 해당한다. 조선시대의 건물지는 백제시대 사역에서 이격된 북편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건물지는 중정형을 이루고 있으면서 이전 시대의 사역 배치와는 별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륵사를 이해하는 시각은 여전히 창건 당시의 시점으로 고정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백제 이후의 미륵사가 창건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였을 것이라는 전제로서 조선시대 사역 북편으로 이동되기 전까지의 변화 양상을 읽어내지 못하였던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륵사의 창건부터 폐사까지의 과정을 이해하고 특히 가장 오랜기간 존속되었던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백제시대부터 유지되는 관성(慣性)과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수용하기 위해 변화된 과정을 추정하여 봄으로써 미륵사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시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륵사의 고려시대의 배치 특성을 크게 두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백제시대의 영역이었던 서원영역의 유지에 따라 사역의 전체 배치 변화와 이를 중심으로 한 고려전·후기 배치의 특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백제시대 영역이었던 서원은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사찰의 중심영역으로 등장하게 된다. 백제시대 3원의 배치를 형성하였던 미륵사는 백제의 멸망과 역사적 사건을 통한 인위적, 그리고 자연적 재해를 통하여 기존의 사세(寺勢)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서원이 유지되고 이후 미륵사의 변화의 중심으로서 서원(西院)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서원을 중심으로한 미륵사의 변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륵사의 서원(西院)영역의 지속적 경영이다. 서원은 서원의 금당과 석탑이 고려시대까지 유지되고 미륵사상의 영역으로서 전 고려시대 기간 동안 중심공간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백제시대 중원 중문의 이동 및 회랑의 이동을 통하여 서원영역이 가지고 있는 시대적, 사상적 대표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려시대에는 서원을 중심으로한 새로운 배치 축의 변화이다. 미륵사는 기존의 3원 가람의 형식에서 고려시대가 되면 동원이 폐기가 되고 중원의 위계가 축소되어 이후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서원은 이후 변화에서 중심으로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백제시대 미륵사의 3원 가람 속에 중원을 중심으로 한 병렬형의 3개의 축은 서원을 중심으로한 하나의 축으로 변화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사역의 중심은 서원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셋째, 미륵사 배치 및 변화의 중심으로서 서원석탑은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탑은 고대 가람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사찰의 건립 목적이며 건축적 계획의 중심이다. 따라서 모든 배치는 탑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불교교리의 다양화는 이러한 탑의 중심으로서의 위계보단 다양화된 교리의 수용적 측면에서 불전을 중심으로 한 사찰 구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미륵사의 경우는 현재까지 남아 있는 서원의 석탑은 고대뿐만 아니라 이후의 고려시대 그리고 사역의 중심이 이동되고 축소되었던 조선시대까지도 건물의 배치나 구성에서 계획적인 측면에서 그 중심성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고려시대라는 시대성을 반영한 미륵사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고려시대의 전·후기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륵사의 고려전기 변화의 특징은 ‘탑-금당-강당’으로 이어지는 정형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사상의 유입을 수용한 법당과 연계된 승방영역의 형성이다. 앞서 언급하였 듯이 서원이 보존되면서 기존의 탑과 금당이 유지가 되고 기존의 미륵사의 강당이 존속하게 됨으로서 고대 사찰의 배치구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고려초기에 건립되는 사찰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다. 또한 미륵사는 지역 및 시대적 변화을 수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영역은 기존의 서원의 영역을 유지한채 서원의 서북쪽에, 강당의 서측에 형성되고 있다. 미륵사가 위치한 익산지역은 후백제의 사상적 중심 사찰로서 경영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선종이 유입되어 지방의 호족들과 결합되었고 특히 전라도 지역은 많은 선종산문의 형성되는 지역이었므로 이러한 사상적 영향은 미륵사에서 미쳤을 것으로 보이고, 미륵사의 고려시대 초기의 변화를 짐작케 하는 기록인 「惠居國師碑文」을 통해서도 이러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향은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보이고 미륵사는 여전히 미륵사상의 중심으로서 그 명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륵사의 고려 후기 변화의 중심은 고려전기까지 유지되었던 기존 강당의 변화를 통한 새로운 영역의 형성으로 이원화된 불전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강당의 평면유형 변화 및 불전으로의 변화는 고대 사찰의 시대적 변화 과정으로써 講說과 奉佛이라는 강당의 기능 중에서 고려 후기에는 봉불이라는 기능이 남아 불전화되는 경을 보여주고 있다. 고대 사찰에서 금당이라는 주불전에 대응하여 부불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 다양해진 불교교리의 수용을 위한 변화로 볼 수 있다. 미륵사는 서원이라는 영역이 지속되면서 미륵사상이 이 서원을 중심으로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존의 서원을 중심으로 한 미륵사상의 영역과 새로운 종파체계를 수용한 불전영역으로 이원화된 구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원화된 배치의 특징은 다른 미륵계 사찰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미륵사처럼 독립된 영역으로의 구성이 아닌 동일영역 내의 축의 변화를 통하여 사상적 분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종파와의 유입 없이 미륵사상만을 유지하고 있는 중원의 미륵대원지나 논산 관촉사의 경우는 종축선을 강조한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어 미륵사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미륵사의 경우에도 비록 다른 종파의 유입을 허용하였으나 미륵사상에 고수는 고려후기까지도 이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2014)과 나고르노-카라바흐 2차 전쟁(2020) 연구 : 영토분쟁 지역에서 전쟁의 원인과 징후를 중심으로

        한주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2건의 전쟁이 발생했다. 2014년 크림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대립하였고, 결국 크림반도는 러시아의 실효적 지배하에 들어갔다.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두고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44일간의 전면전을 치렀다. 국제사회가 침략행위를 비난하고 중재에 나섰지만, 군사력이 강한 나라가 분쟁 중인 영토를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1세기에 다른 나라의 영토를 차지할 목적으로 전면전이 가능한 일인가? 하는 의문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영토분쟁 지역에서 전쟁의 발생 원인을 상세하게 연구하기 위해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과 나고르노-카라바흐 2차 전쟁에 관해 영토분쟁이 시작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쟁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신현실주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틀’을 만들고 여기에 두 가지 사례를 대입하여 전쟁의 원인들을 도출해 내었다. 전쟁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신현실주의 주창자인 케네스 월츠 교수가 제시한 세 가지 이미지인 인간의 행동, 국가의 국내정치구조, 국제정치의 무정부적 속성에 ‘세력균형’을 추가하여 4개의 분석 단위를 가지고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두 가지 사례에서 도출한 전쟁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행동’ 측면에서 전쟁의 원인은 국가지도자의 의지, 분쟁지역 주민들의 정부와의 불화, 독립에 대한 열망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국가의 국내정치구조’ 측면에서는 국내 정치적 상황, 경제적 어려움 등 돌파구가 필요한 불안한 국내 분위기가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세 번째 ‘국제체제의 무정부적 속성’에는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강대국의 무분별한 국경 획정 등이 있으며, 네 번째 ‘세력균형’에서는 분쟁 당사국간의 군사력 불균형과 국력 차이에 의한 한 국가의 과도한 군비증강 등이 전쟁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양극체제가 무너지고 다극체제로 변화하면서 안보불안을 느끼고 군사력을 증강하였으며, 결국 전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쟁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전쟁을 준비하는 국가들의 특징적인 행태를 전쟁 징후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유사한 영토분쟁지역에서 전쟁을 예측하고 미연에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를 통해 초국가적 중앙권력이 존재하지 않는 무정부적 속성의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영토를 지키고 국가 의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결국 강한 군사력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wo wars have recently broken out in territorial disputes. Ukraine and Russia were at odds to occupy Crimea in 2014, and Crimea eventually fell under effective Russian control. Armenia and Azerbaijan played a 44-day all-out war over the Nagorno-Karabakh region in 2020.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demned the invasion and intervened, but a country with strong military power occupied the disputed territory. Is it possible to wage an all-out war in the 21st century for the purpose of occupying other countries' territory? The study began with this question. In order to study the causes of the war in the territorial dispute area in detail,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and the Nagorno-Karabakh Second War was examined. In addit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es of the war,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created by combining the neo-realist theory, and two cases were applied to derive the causes of the war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war, an analysis frame was created with three images presented by Professor Kenneth Waltz, the advocate of neo-realism. The three frameworks are human behavior, the domestic political structure of the country, and the anarchic attributes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causes of the war derived through the two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human behavior', the causes of the war were the will of the state leader, the discord with the government of the residents in the conflict area, and the desire for independence. Second, in terms of the "domestic political structure of the country," the unstable domestic atmosphere that needed a breakthrough, such as th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contributed to the war. The third "anarchy of the international system" includes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indiscriminate border planning of powerful countries, and the fourth, in terms of "power balance", the imbalance of military power and excessive military buildup was the causes of the war. In both cases, as the balance of bipolarity was broken and changed to a multi-polar system, the unstable situation led to an increase in military power, causing the war. Analyzing the cause of the war,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preliminary signs of the war. The characteristic behaviors of countries preparing for war are summarized as signs of war, which will help predict and prevent war in similar territorial disputes.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ultimately a strong military force to protect its territory and realize the will of the state in an anarchic international community where supranational central power does not exist.

      •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행각 구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韓周成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궁궐 건축이라 함은 대부분이 정전이나 편전, 그리고 침전 등의 주요 전각을 지칭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궁궐에는 이런 주요 전각뿐만 아니라 주 전각들을 감싸고 있거나, 부수적인 기능 등을 수행하는 영역에 많은 건축물들이 있었다. 그 동안은 이런 건물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고, 따라서 많은 연구가 주 전각들에 치우쳐져, 어쩌면, 주 건물들 보다 궁궐의 전체 구성에서 더 중요할 수 있는 이런 부속실로써의 행각이나 월랑 들의 모습이나 의미는 연구된 바가 미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행각들의 의미나 주요 중심전각과의 관계를 밝혀 보려 한다. 따라서 궁궐속에서 그 의미가 혼동되었던 월랑이나 행각에 대해서 2장에서는 기존의 책들과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를 통해서 정리하고, 다음의 3장과 4장에서는 ‘동궐도형’을 기본으로 하여 ‘동궐도’와 비교를 통해서 이런 월랑이나 행각 등이 주 전각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궁궐의 배치 구성에서는 어떠한 의미로써 존재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런 분석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월랑·행각·행랑에 관해서 정리해 보면, 월랑은 실록과 ‘동궐도형도’를 통해 그 용도는 의례나 행사 등의 공식적인 행사에 쓰이는 실로써 이런 행사가 치러지는 곳으로 정전이나 편전에서 볼 수가 있다. 행각은 실록에서 많은 기사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 만큼 많은 언급이 없었다. 다만, 다른 용도로 쓰인 사실이 적고 다른 것에 비해 화재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미루어 불을 다루는 곳 즉, 주거와 연관 있는 건물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리고 이것들을 ‘동궐도형’과 비교하여 창덕궁·창경궁의 전각과 행각과 관계를 살펴보면, 첫째 월랑은 정전이나 편전 등 공식적인 행사나 정사를 보는 공간에 있는 건물이다. 이는 ‘동궐도형’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실록에서도 이런 용도로 사용한 횟수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월랑은 예의 공간, 의식의 공간으로 정전이나 편전에서 정문의 좌우와 정전에서는 좌우의 행각의 앞쪽에 형성된다. 둘째 행각, 월랑은 그 실들이 앉은 좌향에 따라 역할이 달라진다. 행각은 각 실이 바라보고 있는 향, 곧 좌향에 따라 부속공간 또는 단지 영역구분을 하는 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셋째 정전과 편전의 공간에서 행각과 침전영역에서의 행각은 다른 성격이다. 정전이나 편전의 경우 그 공간이 의식이 행해지는 곳으로, 공간적인 구분과 그에 따른 필요한 공간으로 월랑, 행각들은 처음부터 각 전각과 같이 계획된 것이다. 그러나, 침전의 경우 처음부터 계획된 것보다는 공간에서의 필요성으로 점점 지금과 같이 연결된 행각의 모습이 되었을 것으로 본다. 침전의 영역에 있어서는 개개의 각 필요 실이 있는 건물들이 늘어남으로 행서 이 건물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하나의 행각을 이루어 공간을 감싸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월랑, 행각, 행랑을 알아봤고, 또 창덕궁과 창경궁에서 월랑, 행각의 배치 및 역할 등을 알아보았다. 조선시대의 한시기에 만들어지고 그리고 후기의 기록인 동궐도형도를 가지고 전체적인 행각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는 것에 무리가 있다. 궁궐 건물 중에서 가장 변화가 심한 것이 행각일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용도의 필요나 변화에 가장 빨리 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이 작업에 그 전시대의 기록들과 비교 작업들을 통해 좀더 정확한 월랑, 행각 등의 개념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다음 연구로 남기기로 한다. Even only main buildings of a palace like Jengjon(正殿), Pyonjon(便殿) and Chimjon(寢殿) are generally considered as palace architectures, there are actually many other buildings which surround main buildings and do for subsidiary functions. Although they can be more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whole construction of palaces, poor recognition of them has made the studies be biased to main buildings only. Though this paper, meanings and relationship to main buildings of Hanggak(行閣)s was searched. Also, it discussed about meaning of Wollang(月廊)s and Hanggak(行閣)s whose meanings are in confusion, based on Choson Wangjo Silok(Choson Dynasty Chronicles). Relationship between Wollangs, Hanggaks and main buildings was studied by comparison with Dong Gual Do Hyung(東闕圓形) as well. Moreover this paper considered how their meanings had been changed depends on sites. According to Choson Wangjo Silok and Dong Gual Do Hyung, Wollangs had been used for official ceremonies and locates at Jengions or Pyonjon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cords about Hanggaks. But considered that many fires had occurred there and it was rarely used for the other purpose, it is possible to conjectured that they are much related to the fire. In other words, Hanggak must be related to dwelling places. Also if review Changkyong palace and Changduk palace based on Dong Gual Do Hyung,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main buildings and Hanggaks, Wollangs can be found. Firstly, according to Choson Wangjo Silok and Dong Gual Do Hyung, Wollangs are for official ceremonies and locates at the left and right side of main gate of Jengjon or Pyonjon and also in front of Hanggak which positions at the left and right side of Jengjon. Secondly, the roles of Wollangs and Hanggaks depend on their sites. They had been used for either subsidiary space or walls which section realm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Finally, some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Hanggak of Jengjon, Pyonjon and that of Chimjon. Whereas Wollang, Hanggak of Jengjon, Pyonjon are facilities had been built at the beginning of palace Construction to supply subsidiary space and section the realms, it of Chimjon had been formed like present features by adding the rooms when needed. This paper studied about meanings, locations and roles of Hanggak, Hangrang and Wollang. But it seems little unsuitable to apply Dong Gual Do Hyung Do made out at the point in late of the Chosun period to whole period Hanggak. Because Hanggak is the most changeable building in a palace, it is necessary to review remains and records over whole period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this would be discussed at the next time.

      • 노량진수산시장 내 소매점포 상환경 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한주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산물은 시장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상품과는 다르게 바다에서 포획, 채취한 살아있는 생물이기 때문에 생산 환경에 따른 의존도 및 시간에 따른 선도 변화, 온도에 따른 변질의 위험 등으로 수족관, 해수, 산소공급장치, 여과기, 얼음, 저온저장장치, 염분 등의 수산물 선도 유지 장치가 필수적이다. 또한, 활어류, 선어류, 냉동어류, 조개류, 갑각류 등 수산물의 종류 및 판매방식에 따른 진열과 보관이 다르고 계절별, 원산지별, 어획량 등의 자연환경 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 상품가치에 대한 평준화 및 규격화가 어렵다. 따라서 생산지와 근접한 연안에 형성되어 있는 수산물시장 조차도 시설과 관리에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을 취급하는 소매점포의 상환경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노량진수산시장 내 소매점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현장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세 가지 공간구성요소인 ‘물리적 공간요소’, ‘기능적 제품요소’, ‘심리적 환경요소’에 따른 20가지 세부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소비자 그룹과 판매자 그룹 간의 요소별, 항목별 만족도에 따른 개선항목에 대한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수산물을 취급하는 소매점포군의 상환경 공간 디자인 계획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의 진행은 앞서 언급한 세 가지 공간구성요소별 세부평가항목에 대한 소비자 그룹 및 판매자 그룹별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보통의 만족도 이하를 개선 항목으로 추출하였으며, 조사 결과 소비자들로부터는 공간구성요소별로 ‘바닥의 물고임 문제’, ‘공공간판의 문제’, ‘청결함이 부족해 보이는 문제’를 포함한 14가지의 개선 항목이, 판매자들로부터는 ‘바닥의 물고임 문제’, ‘부족한 수납공간의 문제’, ‘계절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시장 온도에 대한 문제’를 포함한 11가지의 개선 항목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 8개 항목이 그룹 간 일치되는 개선 항목으로 나타나 총 17개 항목에 중점을 둔 공간구성요소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공간요소’의 측면에서는 물 사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환경적 특수성에 따라 바닥 조성에 대한 계획이 가장 중요하며, 바닥 마감재의 내구성 및 방수성, 평활도, 배수 등의 시공계획이다. 둘째, ‘기능적 제품요소’의 측면에서는 판매대를 중심으로 집기의 제작계획과 조도, 발열성, 색온도, 눈부심 등을 고려한 조명계획, 그리고 주목성, 가독성,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한 간판의 제작 및 설치계획이다. 셋째, ‘심리적 환경요소’의 측면에서는 공간의 조화, 통일성, 쾌적성, 시각적 효과 등을 고려한 색채계획과 공간 사용의 조화 및 통일성을 고려한 정리정돈계획, 그리고 관리 및 환기를 통한 냄새억제 계획을 개선방향으로 도출하였다. 이처럼 수산시장 내 소매점포의 환경은 생물학적, 화학적 변질 및 부패성이 강한 수산물을 취급하는 판매 상품의 특수성과 더불어 물, 염분 등의 사용이 빈번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에서 추진하는 시설개선사업과는 다르게 소비자 및 판매자들의 사용상 편의성을 고려한 공간구성요소별 세심한 상환경 디자인 계획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Freshness support equipment such as fish tank, oxygen supply system, filter, low temperature storage system, seawater, ice, salt and so on is essential for marine products because it is living creatures captured in the sea so that it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environment. In addition, because of marine products have to display or store differently by its types and sales method of products and those are sensitive to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products value. Therefore, even fish market that is located in nearby a fish port needs to detailed facility management plan.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fish market's commercial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targeting retail stores in Noryangjin Fish Market. Three space composition factor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factors, and twenty detailed evaluation items are drawn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field research. Surveying consumer and seller groups through three space composition factors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several matters are drawn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Fourteen items are extracted such as ponding on the floor, public sign and lack of cleanliness from consumer groups and eleven items are extracted including lack of storage space, temperature affected by season from seller groups. Among these matters, eight items are overlapped so that total seventeen improvement directions came up from the matters. Firstly, in view of physical space factor, I suggest floor construction plan such as durability and water resist of finishing materials, surface flatness and drainage because fish market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water. Secondly, in view of functional space factor, I suggest furnishing, lighting and sign design plan. Furnishing plan has display stand design and so on.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dazzling should be concerned for lighting plan and attractiveness, readability, installation position should be concerned for sign design plan. Lastly, in view of emotional space factor, I suggest color planning, arrangement plan and odor control plan. Color planning and arrangement plan should be considered harmony of space use, unity and visual effects. And odor control plan should be considered management and ventilation for fresh air.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retail stores in fish market need detailed design plan for each space composition element because fish market uses water and salt frequently and marine products spoil easily. That should be considered special commercial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consumers and sellers. It is distinct from facilities improvement project of general traditional market modernization.

      • 韓國と日本における交通流動の地域構造

        한주성 東北大學 1982 해외박사

        RANK : 247631

        교통유동은 사회·경제적 활동에 의한 지역간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교통기 관의 발달에 의해 지역간의 결합상태는 현저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 역구조의 해명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는 貨客유동을 국가수준에서 분석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최근 10년 혹은 20년간 사이에 현저한 경제성장을 하였으며, 또 이 기간에 고속교통기관이 등장하여 각 국의 지역구조에 현저한 변화가 인정된다. 본 연구는 양국에 있어서 국가적 기능지역의 변모과정을 파악하여 지역구조의 재편성 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교통유동으로써 여객·화물을 든 이유는 사 회활동을 주로 하고 있는 여객의 기능지역과, 경제활동을 주로하고 있는 화물의 기능 지역을 통일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즉 교통지역의 문제로써 貨客유동을 사회·경 제활동의 total 시스템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 방법으로써는 주로 계량적 방법 을 사용하였으며,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 교통 발달·경제 발전이 컸는 1960년대와 197 0년대를 대상연도로 하여 교통수단별 여객유동과 양국에 있어 모두 수송톤수 분담율이 가장 많은 자동차 화물유동을 취급하였다. 이들의 貨客유동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단 위지역은 한국의 경우 62개 교통단위지역(죤)을 일본의 경우는 46都道府縣을 단위지역 으로 하여 양국의 교통부와 운수성이 발간한 OD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 수단에 의한 교통유동패턴은 각각 다른 사회·경제의 발전이나 교통체계의 발전과 더 불어 양국 모두 貨客유동 패턴에서 본 교통지역은 서로 강한 유사성을 갖고 있다. 종 래의 복수의 중심을 갖고 분립한 교통지역의 구조에서 국가적 중심을 갖는 전국적 기 능지역으로 통합되어 종래 부차적 결절점별로 형성된 교통지역은 그 속에 포괄되어 가 는 것도 양국에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일본에 있어서는 전국적 기능지역의 형성속에서 대도시에 집적한 공업의 지방분산등 대도시 기능의 분담과 더불어 부차적 결절점의 강 화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 점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교통유동에 의한 지역구조는 복수의 중심을 갖는 분립적 기능지역에서 전국적 기능지역으로, 더 나아가 전국적 기능지역 속에서 부차적 결절점의 강화가 인정되었다.

      • Highly Selective Catalytic Hydrogenation and Etherification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for Valuable Chemical Production

        한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nsform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derived 5-hydroxymethyl-2-furaldehyde (HMF) to fuels and additives is of considerable interest for reducing the dependence on fossil fuels. This study presents an efficient process to produce 2,5-bis(alkoxymethyl)furan (BAMF) as a potential biodiesel. We have synthesized Ru(OH)x/ZrO2 catalyst for selective hydrogenation of HMF to 2,5-bis(hydroxylmethyl)furan (BHMF). Ru(OH)x/ZrO2 catalyst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of selective hydrogenation of HMF’s aldehyde group to alcohol group under optimized condition. This reaction proceeded well in various n-alcohol solvents in more than 98 % yield. Moreover, the catalyst can be reused 5 times without significant loss of catalytic activity. The resulting solution of BHMF in various alcohol solvents was sequentially etherified to BAMF by Amberlyst-15 catalyst. From this two-step sequential reaction process, the valuable potential biodiesel chemical, BAMF, which has diverse alkoxy groups, can be obtained efficiently. The yields of BAMF were more than 70 % except for 2,5-bis(methoxymethyl)furan (BMMF) which gave 50 % y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