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日 古代 法令體制의 比較 經濟史的 연구

        한경성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professor of Harvard University, Cart J . Eckert insisted that the origin of Korean capitalism was the develop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lso Bruce Comings insisted that essential differentiation in historical evolu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 lack of feudalism in Korea. While ,Japan had passed the period of feudal society,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on the problem.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and Japan . To study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ny society we should use historical concept and category. Marx stated as follows ; "In broad outlines we can designate the asiatic, the ancient, the feudal, and the modern bourgeois methods of production as so many epochs in the progress of the economic formation of society." According to Marx,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is defined by large-scale public works and autonomous village communities, and the essential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is to impose taxes through the village communities. Until now, many studies have been made it to be evident that the ancient states of Asia were based on the large-scale public works and autonomous village communities. Recently James W. Russell said that essential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is the fusion of ruling classes with state apparatuses. And Russell defined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as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What was essential about state modes of production was that the ruling class's means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was direct control of the state apparatus. They monopolized power such that competing centers or classes were no more than weakly developed and supported themselves by exploiting taxes from subject classes. Variable features of state mode of production included the extents to which military, political, and religious leadership institutions were fused, the states oversaw large -scale public works, and village communities were economically self -sufficient and communally or organiz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and Japan by the use of historical category of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Korea and Japan in ancient society introduced the Chinese Yulyo˘ng(律令) system by which the state ruled people and land to exploit agricultural surplus. In chapter 2 , it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Yulryo˘ng system introduced to Asia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Yulryo˘ng system. Yulryo˘ng codes consisted of two parts : the Yul (律), or criminal laws, and Yo˘ng(令), or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these were added later supplementary precedents and regulations known as kyo˘k(格) and shik (式). In chapter 3, it is to analyze the basic character of the Yulryo˘ng system in ancient Korea. The Yulryo˘ng system in Korea consisted of the census register system to be called the Jangjo˘k(帳籍) system, the land system to be called the Yo˘nsuyujo˘ndab(烟受有田畓) system or Jo˘ngjo˘n(丁田) system, and the tax system t o be called the Jo·Yong ·Yo˘kyo˘k(租·庸·力役) system and so on. The general feature of the land system in Unified Silla that is called the Yo˘nsuyujo˘ndab(烟受有田畓) system or Jo˘ngjo˘n(丁田) system is confirmed by the Silla village document. This thesis verified the fact that the Yo˘nsuyujo˘ndab(烟受有田畓) system in Unified Silla was similar to the land system to be called the Kyunjo˘n(均田) system in Dang(唐) age of China. That is , the number of Kyeyo˘n (計烟) that wa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Jo˘ngnam(丁男) determined the size of land which the state supplied the peasantry by regulations of the Yulryo˘ng law. Therefore It is similar to the Kyunjo˘n(均田) system in Dang(唐) age of China. The next, it is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handicraft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under this social, economic charac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handicraft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which stood on the basis of Yulryo˘ng system was developed more public group than private group. In chapter 4, it is to analyze the basic character of the Yulryo˘ng system in ancient Japan. The Yulryo˘ng system in Japan also consisted of the census register system to be called the Jangjo˘k(帳籍) system, the land system t o be called the Banjo˘nsusu(班田收授) system, and the tax system t o be called the Jo·Yong·Jo(租·庸·調) system and so on. The land system in ancient Japan that is called the Banjo˘nsusu (班田收授) system had been influenced by the Kyunjo˘n(均田) system in Bukwi(北魏) age of China. The general feature of the land system in ancient Japan that is called the Banjo˘nsusu(班田收授) system is confirmed by the Jo˘nryo˘ng(田令) of Yangroyulryo˘ng(養老律令) and the Hojo˘k(戶籍) documents. In chapter 5, this study compared the nature of Yulryo˘ng system in ancient Korea and Japa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in ancient Korea and Japan is grasped by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Because a historical material is absent except the Silla village document, through analogical method using counter- part such as the Yangro - yulryo˘ng(養老律令) and the Hojo˘k(戶籍) document of ancient Japan, it is attempted to be comparative analysis the Yulryo˘ng system of ancient Korea and Japan in detail. But by the 12th century it arose that the social economic condition was changed by the gross productivity and the private property of land. And the accumulation of land in private hands arose. As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influence on the provinces in Japan, the landlords that accumulated ,the land and had the powerful forces armed with many soldiers. In this conditions the Kamakura-bakuhu(鎌倉幕府) system to be called feudal system continued until the 19th century. Its similar situation in Korea of the 12th century also appears in sight, but political, geographical conditions did not permit to develop feudal system.

      • 선교지원전문가 양성 체계 구축 방안

        한경성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6년 세계선교전략회의(NCOWE)에서 제시된 연구 과제 중 선교행정 분야에 대한 관심은 필드 중심의 행정으로 바꾸고자 하는 취지로 ‘선교행정 전문가 양성과 개발’이라는 주제가 요지였다. 이를 위해서는 선교단체의 행정시스템을 개선 및 강화, 선교시스템 개발과 적용, 선교행정간사의 전문성 개발과 지원하는 방안 모색이 필수 과제였다. 본 연구는 선교행정간사를 선교지원전문가로 양성할 뿐만 아니라 선교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을 실현하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의 시급성을 피력하였다. 이를 위해 선교행정간사의 선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멤버케어 및 디브리핑 등의 지원이 필요하고, 선교지원 전문 사역자로서의 업무 수행 능력 증진을 위한 정규 교육 체계 마련 및 직무연장교육 그리고 행정업무 관련 전문화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선교행정간사의 지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교단체와 선교기관 및 교단 선교부에 근무하는 본부 사역 선교사와 선교행정간사를 대상으로, 담당업무 파악, 업무 만족도, 이직률, 자기 개발 필요성 인식도, 선교관련 정보 습득 경로 등의 문항을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선교행정간사들은 선교지원전문가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근무연한이 짧은 경우와 저연령인 경우 조기 퇴사 내지는 이직하는 빈도가 높았다. 선교행정간사들은 선교계의 변화와 이슈 등을 선교사들의 방문 선교 보고와 개인적인 교제, 사무실 회의 및 선교사 기도편지 등의 간접경로를 통해 접하고 있어 선교단체 리더들의 생생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교행정간사들은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행정실무에 적용하기 원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선교행정간사들의 전문성 제고 문제 해결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선교단체 본부의 직무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조직관리 및 업무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선교행정간사의 선교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과 호칭 변경, 그리고 선교단체와 교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선교행정간사의 전문성 증대를 위한 선교지원전문가 양성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선교행정간사의 성경에 대한 지식과 적용 및 선교 훈련, 선교의 기본 소양과 직무 활용 능력, 선교단체 시스템 단일화 및 공유, 선교단체와 한국 교회의 연합교육 및 행정선교사로서의 지위 보장이다. The interest shown in the topic of mission administration during the 2006 National Consultation of World Evangelization(NCOWE) was demonstrative of the movement towards a fled-centered administration with a crucial emphasis on the “Training and cultivating experts in the mission administration.” The necessary steps of this approach were improving and reinforcing administrative systems in missionary organization. These steps are to reinforce developing and applying mission systems and researching avenues to support the training. This would aide in the fostering of professionalism in the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This study explores the urgency of not only fostering the training of mission administration staff into mission support specialists, but also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o recognize and realize their status as administrative missionaries. Furthermore, the research investigates if various needs exists. These needs can consist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ary identities in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provision of appropriate support systems of guidance and debriefing opportunities, development of a formal educational program, of in-service training courses and of specialized job training programs in administration to enhance work performance as professional minis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and missionaries in home offices of missionary organizations were surveyed on questions regarding their work responsibilities. They were also questioned on criteria such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work, turnover rate, awareness of the need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the route of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missionary work. The results revealed low levers of awareness of mission support specialists, and that most employment periods were short-lived with a higher rate of turnover shown among younger employees. The study also found that mission administrative workers had few opportunities to listen to the vivid opinions of leaders of the organizations as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nges and issues in the missionary community largely came from passive sources such as visiting missionary reports, personal and office meetings, and prayer request letters. Missionary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confirmed that they wer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wanted to apply it to administrative practices. The study has demonstrated an urgent need to resolve the issues of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mission administrative workers, and to that en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missionaries.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s a need systematic guidance and debrief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is study has proposed four measures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to develop mission support professionals. These include the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biblical knowledge with missionary training of mission administrative staff, reinforcement of knowledgeability on the basics of missionary work and related work ability, the integration and sharing across systems of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a cooperated educational curriculum by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Korean churches, and status guarantee of the staff as an administrative missionary.

      • 21세기 효과적인 선교행정을 통한 선교전략

        한경성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1세기 효과적인 선교행정을 통한 선교전략에 대한 연구이다. 선교행정의 역할을 알아보고 선교의 네 구조의 모델 연구로 선교행정의 중요성과 선교행정을 통한 선교전략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효과적인 선교행정을 통한 선교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선교행정의 이론적 배경과 성경적 의미, 선교의 두 구조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파송교회, 교단선교부, 선교단체에서 현재 운영되는 선교행정의 역할들을 살펴보았다. 하나님께서 창조를 계획하신 그 때부터 선교행정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선교행정은 선교의 목표를 가지고 필요한 사항들을 계획, 조직, 조정하는 일이며 선교사와 관련된 인사, 재정, 자녀교육, 훈련, 위기관리 등을 포함하는 제반사항이다. 선교행정이 어느 한 쪽에 치우칠 수 없는 것은 한 개인이 선교에 동원되어, 훈련을 받고, 파송으로 현장에 나아가 현지인들을 제자 삼아 교회를 이양한 후 은퇴하여 생을 마치기까지 모든 영역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이다. 선교의 두 구조인 모달리티와 소달리티 구조는 주님의 선교 명령을 성취하기 위해 모두 존재할 필요가 있고 서로 조화를 이루어 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회와 선교단체, 선교사가 협력하여 예수님의 대위임령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 선교행정을 통한 선교전략이 동반되어야 함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선교행정은 교회와 교단선교부, 선교단체가 비슷하게 운영되었고 세부지침에서 약간의 차이를 지니고 있었다. 선교의 구조별로 살펴 본 선교행정은 교회와 교단선교부, 선교단체가 고민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고,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선교행정의 필요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부의 비전과 전략에 따라 사역의 방향은 다르지만 더 나은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고민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선교행정은 선교의 한 분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선교계에서 선교지원전문가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선교전략은 선교행정을 바탕으로 세워지며 어느 한 기관을 위한 선교행정이 아니라 팀사역과 협력선교, 국제화에 발맞춘 선교행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선교는 지난 시간 동안 급성장하였고 선교대국의 위치에 올랐다. 그러나 앞만 보고 달려 온 시간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교회와 선교단체는 동반자 관계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본부 사역자와 간사들의 자질향상을 위해 선교 현장 방문과 양질의 교육, 세미나 등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본부의 자세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교회와 교단선교부, 선교단체의 선교행정 강화와 전문성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요청하며, 본부와 선교현장의 요구를 준비하는 시대의 흐름에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FMEA 기법을 적용한 분기기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한경성 동양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침목플로팅궤도(STEDEF)상에 부설된 목침목 분기기는 25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정확한 유지관리 이력에 대한 파악이 부족하고, 분기기 시스템의 고장원인 분석에서도 미흡하였다. 문제가 되는 분기기 구성품의 고장원인을 파악하고 교체하여야 하나, 실제로는 고장 구성품을 즉시 교체하고 인력 궤도검측을 실시하여 기준치 이내 임을 확인 후 종결된다. 이러한 유지관리로는 정량적인 유지관리 이력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분기기 구성품의 교체 항목 및 시기에 대한 유지관리 이력데이터의 부족으로 향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잠재된 손상에 대한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분기기에 유지관리 이력데이터 및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기기의 부품별, 위치별 문제점을 분석하고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분기기 손상원인(메커니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철도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분기기 구성품의 민감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분기기에 사용되는 여러 구성품들을 FMEA의 기법을 적용하여 위험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실제 목침목 분기기 구성품의 손상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MEA 분석을 통해 구성품의 손상빈도 및 위험도 지수를 반영하 였다. 또한 계획적인 분기기 구성품의 교환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분기기 유지관리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wooden sleeper turnout of the sleeper floating track (STEDEF) was insufficient in the accurate maintenance history and failure cause analysis until now, after 25 years. Currently, damaged parts are repeatedly replaced without analyzing the failure cause of the components. Therefore it was a difficulty in predicting potential damage due to the lack of maintenance history data on the replacement item and timing of the turnout component. In this study, the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turnout compon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maintenance history data and on-site inspection. And the failure cause of the turnout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metho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railway engineers, and the sensitivity of the turnout components was estimated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risk analysis was performed on various components in turnout system using FMEA method, and damage priority was estimated. The damage occurrence and risk priority of components were estimated. As the results, a plan for improving the preventive maintenance of the turnout was proposed.

      • 장애인의 취업으로 인한 가구소득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경성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취업으로 인한 근로소득이 가구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여 가구소득에 대한 취업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가구에서도 취업과 가구소득 간의 인과성이 나타나고, 또한 취업의 가구소득에 대한 효과성이 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답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여기에 대한 엄밀한 경험적 실증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아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애인을 둔 가구의 장애인이 취업할 경우 그 가구의 소득이 변화하여 소득계층 이동으로 나타나는지, 또한 장애인을 둔 가구의 장애인이 취업할 경우 그 가구의 가구원 근로소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한 상호 관계의 인과성에 대한 경험적 실증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현재 정부가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하여 온 고용서비스 및 의무고용과 같은 다양한 고용정책의 결과가 어느 정도 성과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간접적인 근거가 된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향점수매칭을 결합한 이중차이모형을 이용하여 장애인을 둔 가구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장애인 취업변수만을 독립변수로 하여 투입하였을 때 종속변수인 가구소득과 장애인을 둔 가구의 가구원 근로소득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즉 그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가구소득함수를 사용하여 취업변수가 가구소득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도 상호 비교를 추가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연구과제로 제시하고,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적 실증분석으로 연구과제에 대한 검정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즉, 장애인을 둔 가구에서 장애인의 취업은 전체 가구소득과 장애인을 둔 가구의 가구원 근로소득에 영향을 미치는가? 영향을 준다면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이러한 효과는 장애인 가구의 소득계층 상향이동에 대해 어느 정도 유효한 결과로 나타나는가?를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연구과제와 관련된 이론으로는 Mincer의 인적자본소득함수론을 변용한 가구소득함수가 있으며, 부가노동자효과와 실망노동자효과이론이 있다. 후자의 부가노동자효과와 실망노동자효과이론은 장애인을 둔 가구에서 장애인의 취업과 가구원 근로소득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론들과 함께 근거중심정책모델은 장애인 취업과 가구소득 간의 인과성과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왜 필요하며,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위해 연구과정이 어떠한 절차로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적 배경이 된다. 연구과제를 검정하기 위해 연구의 분석틀로서 사용되어진 추정모형으로는 성향점수매칭모형을 결합한 이중차이모형이 있으며, 장애인 취업과 가구소득 간의 인과성을 검정하는데 적합한 가구소득함수모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정모형에 패널데이터를 투입하여 종단적 분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향점수매칭을 결합한 이중차이분석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 2008년에 미취업 상태였던 장애인이 2010년에 취업한 장애인으로 전환되었을 경우 약 322만원에 해당하는 가구균등화소득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나, 장애인 이외의 가구원 근로소득액은 반대로 약 124만원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전자와 같이 장애인 취업이 가구소득에 미친 효과는 가구소득함수모형에서도 변수의 설명력은 낮지만 유의미한 인과성이 있는 것으로 재검정되었다. 둘째로 장애인의 취업에 의한 가구균등화소득의 변동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을 통한 소득계층 상향이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가구균등화소득의 중위소득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또한 장애인이 가구주이고 미취업일 경우 가구원 근로소득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증장애인이 가구주일 경우 가구원근로소득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현상은 실망노동자효과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은 장애인 고용정책뿐만 아니라 장애인을 둔 가족을 위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개입과 장애인가족지원법의 입법 추진에 대한 근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로 실증적 근거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 및 정책적 개선사항들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정규학교 교육에 대한 인적 자본의 개발 및 투자가 필요하며, 근로빈곤을 지속시키는 이중노동시장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 고용을 위해 장애인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는 최대 5년간 지원기간의 제한에서 벗어나도록 사회적기업 육성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인을 둔 가족의 취업을 위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으로 가족의 노동권 보장과 가족의 탈가족화를 위한 정책으로 장애인활동보조제도의 확대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원고용에 의한 직업재활서비스를 활성화하고 근로능력을 가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장애인에 대해 근로소득세 지원이 필요하며, 탈수급 시 일정 기간 의료급여 수급권 유지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단순한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근로시간 단축이 필요한 장애인에 대해서는 비장애인과 동일한 소득지원이 이루어지고 취업상담 및 취업알선과 같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다섯째, 근로능력이 없는 중증장애인에게는 장애인연금법에서 지급되는 장애인연금 급여액의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 소득보장을 위한 장애인연금은 근로능력을 상실한 중증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생활안정을 지원하여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해 지급된다. 그러나 현재 의학적 판단 기준 중심의 근로능력 판정체계로서는 장애인연금수급 대상자가 되기 위한 근로능력의 상실 및 감소에 대한 판정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활동과 참여 제약에 대한 ICF의 기준을 측정 척도로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도 측정상의 한계로 인해 근로능력 판정을 적용함에 있어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여섯째, 장애인 탈수급과 가구소득 증진을 위해 좋은 일자리에 대한 장애인 의무고용과 고용할당제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애아동복지지원법에서 장애아동과 가족의 지원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를 확대하고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관련하여 근로능력을 가진 장애인 가족의 지원에 관한 독자적인 별도의 장애인가족지원법 제정이 필요하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 1차 조사에서 3차 조사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에 미취업 상태에서 취업 상태로 전환 시 가구소득의 변동을 추정하였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취업과 가구소득 변수 간의 인과성에 대한 영향력과 설명력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이론적 일반화에 대한 기여 면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후속연구에서 장기적인 장애인패널조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애인 취업과 가구소득 간의 인과성과 영향력에 대한 추가적인 검정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longitudinal effect on household equivalence scale and family earned income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e statistical analyses applied panel data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rom 1th(2008 year) to 4th(2011 year) are the Frequency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and T-test. Models for statistical analysis is DID Combined with PSM Model and Household Income Function Model.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verified that household equivalence scale of employed panel disabilities is higher about 3,220,000won than household equivalence scale of unemployed panel disabilities. When the employment status of panel disabilities transfer from unemployment in 2008 to employment in 2010, it is appeared that family earned income of panel disabilities is decreased about 1,240,000won. Second, it is appeared that household equivalence scale is increased by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but, household equivalence scale of employed panel disabilities is still less than the median income of household equivalence scale to Korean households as a whole. Third, when the disabled has not the ability to work by severe disability, the employment promotion policy for increase of earned income of family and expansion of the assistant support service for family is required. Finally,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and Legislation of Family Support Act of the disabled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