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관광동기·태도가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종완 계명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Why people from urban visit rural areas and how they recognize their visit should be researched to improve rural tourism. In other words, some alternatives for developing endemism of rural areas can be suggested by grasping what the motives of visiting the rural area are. However, a study to find these inactives has not been done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rural tourism in the Mt. Chiri area and to develop its potential attractions effectively so that it can maximize utilization of the rural resources. The step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ourist motive for visiting the Mt. Chiri area and researched various factors which attract tourists in order to analyze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spects of attraction, purpose of visit, and selective convenience. Second, we investigated the way of desirable development by finding out the potential visitors' behaviors and the local market trend in the area. Third, we found out whether visitors recommend or introduce their experiences from their trip in the area in positive way to others so that rural tourism to the Mt. Chiri area can be flourished. This study did actual-proof research based on document researches and consisted of a preliminary survey and a formal survey. This survey was based on the findings of 362 valid questionnaires collected by visitors to Mt. Chiri from June 10 to July 31, 2005. The research model for the actual-poof research schematized a hypothetic construct and set the hypothesis. It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3.0 and LISREL 8.54.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earch model based on primary factors which are motive of visit, attitude, intent to revisit and to recommend. It targeted visitors from urban to Namwon-Si, Gurye-Gun, Hadong-Gun, and Sanchung-Gun where are in the Mt ,Chiri are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ive has a positive effect on expectations in relation to the facilities, approaches, endemism, environment,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Second, attitude positively affects expectations in relation to the preference of facilities,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Third,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also positively affects both intention on revisit and to recommend. The results to verify differences of visitors about four tourist spots in the Mt. Chiri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milarly different in a result of analyzing the motives of visit except self-discovery motive. Namwon-Si is the place where visitors want to go. It is similar to the self-discovery motive. Second, it is similarly different in the aspects of endemism in the result of analyzing expectation in each area. The believes in the attitude have a similar effect on it after a visit to each area. The belief about Namwon-Si is the highest as well.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ttitude. It shows similar differences in attractions and activities except approaches and attitude that are for importance of attribute and its belief. Third, the preference of the places is similarly differen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nt to recommend and revisit. Namwon-Si got the highest mark. The result of researching intent to recommend and revisit by examining the motives of visits to the areas in the Mt. Chiri, the expectation of rural tourism, that is the attitude, preference, it can get the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amination on developing the measure for the actual-proof research, it would be helpful to advance the theory which explain as each type by building up 6 factors. Second, plans can be made for distinctive rural tourism to consider aspects of convenience, attraction of resources, and activities so that the research model can be sui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r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recommend and revisit as a further behavior in the aspect of the attitude of prefere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visitors have a preference for rural tourism. This conclusion would be helpful to advance an academically logical theory. Fourth, the preference depends on areas because there are endemism and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who needs to activate rural tourism to develop the creation of income, jobs, taxes, and develop investment. When approaches strategically, what needs to analyze the motives of visit and preference for each tourist spot. It is a practical problem to make a strategic plan according to the conclusion. 농촌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도시민들이 무엇 때문에 농촌을 찾으며, 농촌을 방문한 도시 관광객은 방문지역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농촌관광동기에 의한 관광경험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농촌의 고유성을 살릴 수 있는 관광개발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농촌관광을 유발하는 동기요인과 농촌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농촌관광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지리산권 농촌지역의 관광활성화를 위해 농촌관광자원의 잠재적 매력성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농촌자원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별적 개발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을 거쳤다. 첫째, 지리산권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관광동기를 분석하고, 관광객이 관광동기에 의해 농촌지역을 찾을 때 지리산권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하게 되는 주요 차원을 자원의 매력, 관광목적, 선택적 편의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각각의 차원에 대한 신념을 분석하여 농촌관광지역으로서의 차별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둘째, 지리산권에 대해 잠재관광객의 행동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별 시장성과 이에 따른 의미를 고찰하여 바람직한 차별적 개발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지리산권을 찾는 도시민의 관광동기와 동기에 의한 농촌관광 체험 후 태도를 분석하고 형성된 태도는 재 방문이나 타인에게 방문을 권유하는 긍정적 효과로 파급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지리산권 농촌관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조사기간은 2005년 6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지리산권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유효설문지는 362부였으며 이를 본 연구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은 가설적 구성개념을 도식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SPSS 13.0과 LISREL 8.54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의 내용은 지리산권을 4개의 지역인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 산청군으로 나누어 이곳을 찾아온 도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동기와 태도, 그리고 태도에 의한 재방문 의도 및 추천의도를 주요변수로 한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하여본 연구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농촌관광 동기가 농촌관광 기대에 대한 신념 중 관광시설, 접근성, 고유성, 자연경관, 참여동기, 놀이 활동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관광객 태도와 선호간의 관계에서는 농촌관광을 위한 시설, 자연경관, 참여활동이 선호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관광 경험을 통해 관광의 선호 정도에 따라서 지리산권 농촌관광에 대한 추천의도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두 변수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리산권 4개 지역 별 농촌관광지에 대한 관광객 차이를 검정하여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지리산권 방문 지역에 따른 방문동기의 차이분석 결과 자아발견 동기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지리산권 농촌관광지 4곳 중 관광욕구가 가장 높은 곳은 남원시였다. 그리고 자아발견 동기에서는 4 곳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둘째, 농촌관광지 4곳 중 각 지역에 대한 기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유성과 놀이 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지역별 방문 후 각 태도 속성에 대한 신념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4곳 중 남원시에 대한 신념이 농촌관광지역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역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접근성을 제외한 매력성과 활동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남원시가 속성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신념인 태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관광지 4곳에 대한 선호가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와의 차이를 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원시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지리산권 4개 지역의 농촌관광에 대한 관광동기와 이에 따른 농촌관광기대에 대한 신념으로서의 태도, 그리고 선호도를 고찰하여 선호태도가 타인에게 추천의도뿐만 아니라 자신의 재방문의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위한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한 결과 6개의 요인으로 적재되어 이론적인 근거에 적합한 요인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관광동기를 유형별과 설명할 수 있는 이론구축에 일조하였다고 판단된다. 둘째, 지리산권 각 농촌관광 지역에 대한 선호도는 편의성, 자원의 매력성, 그리고 활동성의 차원으로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가설적 구성개념에 의한 연구모형의 적합성이 검정된 사실에서 농촌관광의 차별성은 이 세 가지 개념에서 부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이는 이론적 근거에도 매우 합당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농촌관광지에 대한 선호도는 차후행동으로써 타인에게 추천의도와 자신의 재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관광 역시 관광객의 선호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결론은 타 연구들의 누적과 함께 논리적인 학문적 이론정립에 기여하였다고 판단된다. 넷째, 농촌관광지 역시 지역에 따라 그 고유성과 매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다. 이와 같은 학문적 시사점에 따라 농촌관광을 활성화하여 지역의 소득창출, 고용창출, 조세효과, 투자 개발효과를 향유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고려할 때 가장 먼저 그 지역을 찾게 되는 농촌관광 동기를 파악하고 동기에 의한 특정 관광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에 따라 전략적 실천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현실적인 과제라고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