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양 음악 어법을 활용한 거문고 연주법 확장 연구와 창작음악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장은총의 Warped Time for Geomungo(2020), 걸터듬질:샅[Geolteodeumjil:Sat] for Violin and Geomungo(2021)를 중심으로

        장은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Geomungo has many distinctive features from other instruments, such as six strings, the playing method using suldae, the ton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fret-mode and technique, and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from Daemo covered with leather and the wooden part. It wa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at the concept of composition came into Korean music. It's not that long ago. Therefore, the research on musical instruments and playing method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Western music. If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specified as one instrument,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find. The introduction discusses the concept of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performing that appear differently in Western and Korean music. After that, it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to apply the approach with "sound itself" in Western music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at have developed around melody. Chapter 1 of the body examines the history, characteristics, and playing methods by limiting the scope of research to Geomungo among Korean instruments. Chapter 2 analyzes the works Warped Time (2020) and Geolteodeumjil:Sat (2021) composed by this researcher, Jang Eunchong, to find out the actual utilization of Geomungo in creative music. I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different development aspects of Korean and Western music as above,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music and study it from various angles is con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spective from the melody-side approach to the "sound itself" and record this research process systematically and in detail so that performers and composers can make use of it. All of these processes will eventually create new uses of Korean instruments, including Geomungo studied in this paper,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nd composers. 6개의 현, 술대를 이용한 연주 방식, 같은 음정이지만 괘법과 주법에 따라 달라지는 음색, 가죽 부분으로 덧대어져 있는 대모 부분과 나무 부분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 등 거문고는 다른 악기와 구별된 특징이 많다. 한국 음악에 ‘작곡’의 개념이 들어온 것은 20세기 전반으로, 그 역사는 길지 않다. 따라서 악기나 그 주법에 관한 연구 자료, 창작음악의 작품 개수가 서양 음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편이다. 한국 악기 전반이 아닌 한 가지 악기로 특정하면 더 적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의 서론에서는 서양 음악과 한국 음악에서의 작곡 개념과 연주 방식의 차이를 논하고 있다. 이후 기존에 선율 중심으로 발전해 온 한국 음악의 악기로 서양 음악에서 논의되어 온 ‘소리 자체’로서의 접근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본론 제1장에서는 한국 악기 중 거문고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여 거문고의 역사와 특징, 연주법을 살펴본다. 본론 제2장에서는 본 연구자인 장은총 작곡가의 <Warped Time> for Geomungo(2020)와 <걸터듬질:샅[Geolteodeumjil:Sat]> for Violin and Geomungo(2021)를 분석하여 창작음악에서의 거문고 실제 활용도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의 상이한 발전 양상을 바탕으로 한국 음악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다각도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국의 악기를 선율적 접근의 작곡 방식에서 서양 음악에서의 ‘소리 자체’로서의 관점으로 그 범위를 넓히고, 이 연구 과정을 세세히 기록하여 연주자와 작곡가가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본 논문에서 연구한 거문고를 비롯하여 한국 악기의 새로운 쓰임을 만들어나가 한국의 음악, 한국 작곡가의 발전을 이끌어낼 것이다.

      • 교회의 보편성과 한국교회 :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론을 중심으로

        장은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교회론에 관한 연구이다. 바빙크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개혁파 신학자로서 16세기 칼빈 이후 발전된 개혁신학을 체계화시켰으며, 개혁파 전통이 근대에까지 이어지도록 공헌한 신학자라 할 수 있다. 그의 대표 저서 『개혁교의학』을 보면 ‘주관성의 세기’라 할 수 있는 18세기의 개혁파 신학의 요소가 잘 나타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철학과 교회의 역사에 능통한 신학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오직 성경 중심’으로 신학을 전개하였다. 또한 바빙크는 네덜란드 교회의 격동기를 살았던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그는 자신이 처한 교회 현실 상황을 외면하지 않았다. 그래서 ‘분리측’(Af'scheiding) 교회 출신이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초월하여‘애통측’(Dolean'tie)과 합동에 앞장서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바빙크는 신학과 신앙의 터전인 교회의 일치를 추구하 였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공적인 영역의 지위를 잃은 채 신앙 안에서만 논구되고 있는 당시 신학 현실을 바라보면서 교회의 보편성의 중요성을 드러내어 밝혔던 신학자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학적 정황이 담긴 바빙크의 교회론을 그의 교의학적 주저인 『개혁교의학』과 교회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음 네 가지 차원으로 논구하고자한다. 1.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교회의 본질), 2. 그리스도가 주인인 교회(교회의 통치), 3. 하나님의 법으로서의 교회(교회의 권세)를 통해 개혁파 교회론을 세운다. 4. 세상과 관계하는교회에서는 「바빙크의 일반은총」(Common Grace), 「기독교와 교회의 보편성」을 통해 바빙크가 가지고 있던 세상과 관계하는 교회의 보편성을 고찰한다. 따라서 본 논문이 추구하는 바는 바빙크 자신이 가졌던 박식한 철학, 인문학 지식과 신학 지식을 이론에만 머무르지 않고 네덜란드 교회현장에서 신학과 신앙을 실천했던 것을 고찰해 봄으로서 교회론을 다루는 것은 단순한 이론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이론을 현재화 하고 현실 교회에 적용하며, 또한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자 함에 있다. 더 나아가 지구촌이 세계화되는 가운데 문화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서도 변함없이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기를 원하신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을 섬기는 하나님 백성의 모임이 되어야 한다.”는 교회론의 기본을 떠나지 않는 가운데, 바빙크의 교회론에 입각하여 한국교회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직시함으로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세상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교회론을 세워 나가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an ecclesiology of Herman Bavinck (1854-1921). As a reformist theologian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Bavinck systematized Reformed theology developed after Calvin in the 16th century, and contributed to the Reformed tradition extending to modern times. His representative book, "Reformed Dogmatics", shows not only the elements of the Reformed theology of the 18th centur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entury of the subjectivity", but also the theologian who is well versed in the philosophy and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time. Based on the above, he developed theology as 'Sola Scriptura(by scripture alone)'. Bavinck also lived in the turbulence of the Dutch church, but he did not turn away from the reality of his church. Thus, although he came from Af'scheiding church, he transcend his position and pioneered the collaboration with Dole'tie church. In this way, Bavinck not only pursued the unity of the church, which is the place of theology and faith, but also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in a situation where Christianity had only been discussed within faith, but losing its status as a public real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Bavinck's ecclesiology with the above theological contexts in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focusing on the “Reformed Dogmatics”, which is his principal work, and his works which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Establish a Reformed ecclesiology through: 1. The church as God's people (the essence of the church), 2. The church where Christ is the master (the reign of the church), 3. The church as the law of God (the power of the church). In the 4. The Church's relation with the world, I examined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in relation to the world that Bavinck had, through "Common Grace" and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act that dealing with ecclesiology is not a matter of simple theoretical dimension, but that it brings the theory to the present day, applying it to the actual church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Bavinck practiced the theology and the faith in the field of the Dutch church without remaining in his erudite philosophy, humanities knowledge and the theological knowledge. Furthermor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world is becoming globalized and culture is increasingly spreading, without leaving the basis of ecclesiology such as "God wants to save the world through the Cross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church must be a gathering of God's people who serve the world.",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cclesiology that will mak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by diagnosing and facing up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Babcock's eccles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